View : 443 Download: 0

抽象的 表現에 의한 Image 表現硏究

Title
抽象的 表現에 의한 Image 表現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age Expression based on the Abstract Expression
Authors
李仁田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추상적표현IMAGE표현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Kandinsky는 예술가를 '美의 司祭'로 보았고, 리이드는 "美는 바로 表現性이다. "라고 말했다. 화가는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표현하고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意味化 시키는 주체자로서, 內面的 감정이나 사상을 구체화 시키는데 있어서 그 표현수단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기계 문명과 과학의 발달로 급속히 변모되는 현대 사회에서 시대의 문화는 시대적 사회 배경 상황에 따른 산물이라고 볼때 그 시대에 사는 예술가의 미술 양식 또한 주체자로서 시각의 변화에 造形論理를 맞추는 것이 불가피 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表現性에 있어서 오늘날의 美感에 전달할 수 없다면, '美는 바로 表現性이다' 라는 리이드의 전제와 예술가를 미의 사제로 본 Kandinsky의 정의에 상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볼때 주체자로서 예술가 자체가, 변화된 시대의 구성인으로서, 韓國畵의 의미가 단순히 전수하는 것에 있지 않고, 서구 방식을 습득하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 회화의 현대적 수용에 있다고 할때, 표현수단의 매체 역시 변모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예술이 사물의 現狀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때, 이는 보다 정신적 활동으로서 내면적인 언어, 근원적인 힘, 진실성, 이미지 전달과 객관화 하는 것이다. 본론에서 추상표현으로서 관념 세계와 공간이라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공간의 이해와 표현 수단으로 감정의 직접적 전달과 표출이 다양한 추상표현 주의 방법을 택하고, 칸딘스키의 화론을 빌어 색채와 운동과 반복적 표현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本人은 내적 충동에 의한 자연스런 표현을 함으로써 여기서 얻어지는 우연성, 행위적 표현성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자 했다. 따라서, 무의식적인 표현과 감정의 직접적 표출을 하는 추상 표현 형식을 빌어 내적 에너지를 속도감이나 운동감으로 리드미컬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동력적 요소로 반복과 운동에 대한 표현의 모색과, 추상표현 원리를 살펴 보고, 본인의 작업을 분석 연구 하여 회화적 가치관을 정립해 보고자 한다.;Kandinsky regarded the artist as 'the priest of beauty' and Reed said "beauty is just the expressivity". Painter will have to think about the expression means in embodying the internal feeling or thought as the subject person to express on the basis of his own expreience and to make into not simple reproduction but meaning. Today, in the modern society being transfigured rapidly by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civilization and science, to regard the culture of era as the product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situation of era, the artist who lives in the era will have to accept that it is inevitable to fit modeling logic to the change of sense of sight as the subject person, about the fine art mode. If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expressivity to the aesthetic sense of today, it is mutually contradictory to the premise of Reed 'Beauty is just the expressivity.' and the definition of Kandinsky who regarded the artist as the prist of beauty. To see like this, the artist himself as the subect person is the composer of changed era, and the medium of expression means of Korean painting cannot help being transfigured in the modern acceptance of traditional painting which is not simple initiation and the simple acquirement or imitation of Western style. When they say that art is in expressing not the phenomenon of thing but the meaning, maube it is in the transmission and objectification of internal language, original power, authenticity and religious image as more spiritual activity. thus, the author tried ito make the human inner energy into modeling with the understanding as the space of life and with the endless affirmative acceptance attitude. above all, about the idea world as the abstract expression and about th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space, the author tries to select the abstract expressive method with the understanding of space as the objectivity of era sense and with the diversity ofdirect transmission and expression of sentiment as the expression means in my own way and tries to examine the repetition and motion as the dynamic element, including the understanding with the space and time as the field of human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