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일-
dc.contributor.author용미리-
dc.creator용미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4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22-
dc.description.abstractThe discussion of th reunification of Korea is vitalized with the recent South and North Korea prime minister conference as a momentum, which makes Korean people more anxiou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unification. It might be of significance to take a look at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North Korean Dance as a part of its culture and art which leads us to widen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North Korean Dance, and to grope for the possibility of reciprocation so that we can contribute to overcome the dissimi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is, the concepts and kinds of North Korean Dance are described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ance, the cor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Koguryo' period when Korea was most powerful and independent in its history is examined and also the real aspects of folk Dance which is the subject of North Korea's creation and excavation in the field of dance, and the thoughts and the process of the systemization of North Korean Dance as an opera dance are investigated. In chapter Ⅳ, the transition of North Korea's political ideology is reviewed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policy oil culture and art and the so-called socialistic 'chuche' dance is done so that we might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under which North Korean Dance has been formed. In the last chapter, dealing with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performances of North Korean Dance, the problem of connection between South Korean Dance and that of 'Yonbyon' Korean living in China is mentioned and the possibility and the method of advanced reciprocation in d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suggested.;최근 남북총리회담을 계기로 통일논의가 재차 활성화되는 가운데, 민족의 염원인 통일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일층 고조되고 있다. 남북분단으로 야기된 남북간의 이질화를 극복하는 한 방안으로서 북한의 문화예술 중 북한무용의 배경과 특징 및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북한무용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우리와의 교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일것이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북한무용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Ⅲ장에서는 북한무용의 형성과정과 성격분석을 통해 우리역사에서 국력이 가장 강대하고 자주역량이 왕성했던 고구려와 북한무용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으며, 북한이 창작·발굴대상으로 하는 민속무용의 실상과 가극무용으로서의 북한무용의 사상과 체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그러한 북한무용이 형성되기까지의 배경으로서 정치이념의 변천과 문예정책의 성격분석, 그리고 사회주의적 주체무용의 특징을 살펴 보았으며 제V장에서는 그런 북한무용공연에 대한 현황을 다루면서 연변조선족 무용과의 연계, 그리고 남북교류에서 보여준 우리쪽의 반응을 검토하면서 결론적으로 남북 무용예술의 교류 가능성 및 그에 대한 방안을 살펴 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 2 Ⅱ. 북한무용의 개념 및 종류 = 5 (1) 북한무용의 개념 = 5 (2) 북한무용의 종류 = 7 Ⅲ. 북한무용의 형성과정 = 12 1. 북한무용의 고구려적 요소 = 12 (1) 고구려의 역사적 의의 = 12 (2) 고구려 문화·예술의 특징 = 12 (3) 북한무용에 반영된 고구려적 유산 = 15 2. 북한의 민속무용 = 17 (1) 북한 민속무용의 의의 = 17 (2) 북한 민속무용의 실상 = 19 3. 가극무용 = 23 (1) 항일무용과 혁명가극 = 23 (2) 혁명가극에 있어서 "최승회"의 위치 = 25 (3) 혁명가극의 무용적 요소 = 28 Ⅳ. 북한의 문예정책과 북한무용 = 33 1. 정치이념의 변천 = 33 2. 주체문예이론 = 36 3. 북한 문예정책의 기본원칙 = 42 4. 주체무용과 4대 명무 = 46 5. 북한무용의 공연형식 = 59 6. 북한무용에 대한 평가 = 61 Ⅴ. 결론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3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6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북한무용예술-
dc.subject북한무용-
dc.subject무용-
dc.subject변천과정-
dc.subject.ddc700-
dc.title북한무용예술의 변천과정과 특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