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혜순-
dc.contributor.author현재은-
dc.creator현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4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1960s, second and/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integrative test, which takes a real communicative situation into great consideration. Since then, dict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ESL/EFL education as a representative form of the integrative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at the traditional discrete-point test, which demands Huch time and effort, is dominantly used in the majority of schools in Korea, and then to maintain that dictation should be more extensively accepted in the classrooms as a means of assessing the students'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writer applied two kinds of dictation tests, spot dictation and standard dictation, for 102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year) and 100 high school students (second year). With the test scores, the writer calculated four types of correlations as follows: (1) between the scores of dictation and of school tests which had been discretively taken for two months: (2) between the two types of dictation tests, spot dictation and standard dictation: (3) between dictation and each subsection, i. e. vocabulary and grammar, of the school tests: (4) between each subsection of the school tests and all the remaining subsections combined, and between dictation and the same remaining subsections combined. As the last step of the statistical process, the writer compared the two correlations mentioned in (4). The results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School tests (discrete-point tests) and dictation are highly correlative. 2. Spot dictation and standard dictation are highly correlative. 3. Dictation and each subsection of the school tests are highly correlative. 4. Each subsection and dictation shows a parallel correlation with all the remaining subsections combined. These results shows that dictation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t should be used in the classrooms.;1960년대 이후로 심리 언어학과 사회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통합평가는, 언어에 관한 지식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해 준다는 점에서 분리평가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ESL상황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이미 입증된, 통합평가중 하나인 받아쓰기평가를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우리 교육현장에서도 받아쓰기평가가 언어 능력 평가 척도로서 적용 가능한지를 논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실험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A중학교 2학년생 102명과, B여자고등학교 2학년생 100명을 대상으로, 부분 받아쓰기와 전체 받아쓰기 2종류의 받아쓰기평가를 실시하고, 종래의 학교 영어시험 결과와 받아쓰기평가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받아쓰기평가의 타당도를 알아 보고자 했다. 그 비교분석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받아쓰기평가와 학교 영어성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교생들 모두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분 받아쓰기와 전체 받아쓰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생들 모두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부담을 덜 줄 수 있는 부분 받아쓰기를 전체 받아쓰기 대신 사용해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학년의 경우는 부분 받아쓰기부터 익숙하게 하는 것이 학생들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Patricia Irvine, Parvin Atai, John W, Oller, Jr. 의 실험모델에 따라, 중학생들이 치룬 두달간의 기존 영어시험문제를, 발음(P), 어휘(V), 작문(W), 독해(R),문법(G)의 하위평가로 나누고 청취력평가(LC)까지 하위평가로 포함시킨 후, 각각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고, 이 6가지 하위평가와 받아쓰기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받아쓰기평가는 각 하위평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LC와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때 고등학생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4. 영어성적의 총점(P+V+W+R+G+LC)과 각 하위평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데 있어서 영어성적의 총점(P+V+W+R+G+LC)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하위평가의 점수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가중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영어 성적의 총점에서 각 해당 하위평가의 점수를 뺀 후, 이 점수에 대한 각 해당 하위평가들과 받아쓰기평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그 결과, 가중치 효과를 배제한 총점과 각 해당 하위명가들의 상관관계와 가중치 효과를 배제한 총점과 받아쓰기평가간의 상관관계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Irvine, et al.의 실험 모델에 따른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현재의 영어 시험이 꼭 복잡하게 하위평가로 분리되어 평가될 필요가 없으며, 받아쓰기평가와 같은 단일 평가로도 언어능력을 훌륭히 평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받아쓰기평가가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평가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상장을 고려해 볼 때 받아쓰기평가를 현재의 학교 영어시험과 완전히 대치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학교 영어시험은 물론 고등학교나 대학입시에서 받아쓰기평가를 주관식 문제의 일환으로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분리평가와 통합평가 = 4 A. 분리평가(Discrete - Point Test) = 4 B. 통합평가(Integrative Test) = 7 Ⅱ. 받아쓰기평가(Dictation Test) = 12 A. 정의 및 절차 = 12 B. 채점방법 = 15 C. 받아쓰기평가에 관한 논의. = 17 D. 받아쓰기평가의 유형 = 22 Ⅳ. 실험연구 = 25 A. 실험의 모델: Patricia Irvine, Parvin Atai, John W. Oller, Jr.의 연구 = 25 B. 실험대상 및 절차 = 29 C. 채점 및 자료분석 = 31 D. 실험결과 및 논의 = 33 Ⅴ. 결론 = 45 참고문헌 = 48 부록 = 51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06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통합평가-
dc.subject받아쓰기평가-
dc.subject영어-
dc.subject평가-
dc.title통합평가로서의 받아쓰기평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ctation as an Interactive Test for Korean Students-
dc.format.page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