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이수경-
dc.creator이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4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hetorical structure of coherent English expository tex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discourse anaphora used in these texts. For these purposes, the expository texts presented as models in writing text books were analysed on the basis of Barbara A. Fox's rhetorical structure analysis, which shows the informational and interactional relations among the clauses, and the forms of 3rd person anaphora were also analysed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the rhetorical structure of the 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herence of the texts can be recognized as hierarchically organized structure. This means that it is not impossible to analytically describe textual coherence. Second, anaphoric forms and patterns of anaphora were correlated with the hierarchically organized structure of the text. Most of the patterns of the 3rd person pronoun belonged to the basic pattern for pronouns suggested by Fox: full NPs appeared, regardless of the properties of their referents, more frequently at the beginning of a new rhetorical unit than within a rhetorical unit, while pronouns appeared more frequently within a rhetorical unit than at the beginning of a new rhetorical unit: the new rhetorical units were associated with the uses of full NPs than those of pronouns. In the continuing rhetorical unit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anaphora varied with the properties of the referents. That is, when a referent was a human, pronouns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NPs, while the distributions of full NPs and pronouns were not much different when a referent was a nonhuman. This may be because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roperties of nonhuman referen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choosing an anaphoric form. From these results, two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coherent texts are not merely strings of clauses but are instead groups of hierarchically organized clauses which bear various informational and interactional relations one another. That is, a writer hierarchically organizes the text to make readers understand his intention. Second, the anaphoric patterning is not merely determined by referential distance, as Talmy Givon suggests, but also by the rhetorical structure of the tex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writing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organize the text to help them write a coherent text, and choosing the proper form of anaphora should be treated not through separated sentences but through the whole text. Further studies should consid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rhetorical structure to writing classes and the practical way of teaching anaphoric devices through coherent texts.;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설명문의 일관성이 계층적 수사구조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설명문에 사용되는 조응대용어가 글의 수사구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영작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글의 각 절들 간의 정보관계 및 상호작용적 관계를 나타내주는 Barbara A. Fox의 수사구조 분석방법을 기초로 영작교재에 모델로 제시된 설명문의 수사구조를 분석하고, 이들 설명문에 사용된 3인칭 조응대용어들을 대명사와 명사구로 나누어 조응대용어의 형태를 글의 수사구조와 관련시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의 일관성은 수사구조 분석방법에 의해 계층적 구조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글의 일관성에 대한 객관적 분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일관성 있는 영어 설명문에 사용된 조응대용어의 형태와 조응대용의 유형은 글의 계층적 수사구조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3인칭 대명사의 조응대용 유형은 대부분 active pattern, controlling pattern, return pop pattern으로 글의 수사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명사구는 그것이 지시하는 지시대상의 속성에 상관없이 동일 수사구조 내에서보다 새로운 수사구조를 시작할 때 더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대명사는 새로운 수사구조를 시작할 때보다 동일 수사구조 내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새로운 수사구조를 시작할 때는 조응대용어가 지시하는 지시대상의 속성에 상관없이 대명사보다 명사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동일 수사구조 내에서는 지시대상의 속성에 따라 조응대용어의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즉 선행사가 3인칭 사람인 경우, 동일 수사구조 내에서 대명사가 명사구보다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선행사가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대명사와 명사구의 분포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람이 아닌 선행사의 문법적, 의미적 속성이 조응대용어 선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일관성 있는 글은 단순히 절의 나열이 아니며 서로 서로 정보관계 및 상호작용적 관계를 가진 절들이 계층적으로 조직된 절들의 모임이다. 즉, 작자는 작자의 의도를 독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글을 쓰기 위해 글을 조직한다. 둘째, 조응대용어의 형태는 글의 수사구조와 독자와 작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생들이 일관성 있는 글을 쓰도록 돕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글의 주제와 관련된 각 절과 단락을 정보관계, 상호작용적 관계에 따라 조직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적절한 조응대용어 선택의 지도도 단편적 문장이 아닌 일관성 있는 글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이러한 영작지도를 위한 실제 적용방안과 영작교재 편성에 대해 구체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글의 결합성과 일관성 = 3 B. Fox의 수사구조 분석 = 12 1. 수사 구조 분석 (Rhetorical Structure Analysis) = 13 2. 설명문의 수사구조와 조응대용 = 19 Ⅲ. 연구 방법 = 28 A. 분석 자료 = 28 B. 자료 분석 방법 = 29 1. 설명문의 수사구조 분석 = 29 2. 설명문의 수사구조와 조응대용 = 3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6 A. 설명문의 수사구조 분석 = 36 B. 수사구조에 따른 조응대용어 분석 = 42 1. 대명사의 조응대용 유형 = 42 2. 명사구의 조응대용 유형 = 48 3. 선행사의 위치와 조응대용어 분포 = 57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96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영어 설명문-
dc.subject수사구조-
dc.subject조응대용어-
dc.subject담화-
dc.title영어 설명문의 수사구조와 담화 조응대용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hetorical Structure and Discourse Anaphora in English Expository Texts-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