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호-
dc.contributor.author金淑賢-
dc.creator金淑賢-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44-
dc.description.abstract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은 대부분 언어적 상호작용인 문답활동을 통해서 이루어 지는데, 문답활동의 핵심이 되는 것은 교재로 사용되는 교과서의 내용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료의 주류를 이루는 교과서 중에서도 제 5 차 현행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국민학교 <읽기> 교과서를 주요분석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읽기는 독자와 읽기 자료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여러 읽기 기능들이 통합적으로 동원될 때 일어나는 복잡한 정신적 과정이다. 그러므로 읽기를 잘 학습하려면 읽기 기능의 숙달이 필요하고, 읽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전략들이 습득되어져야 한다. 최근 연구 동향에 의하면, 읽기 과정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질문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가 달라진다는 결과가 나와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첫째, 국민학교 현행 교육 과정은 각 학년별로 어떤 읽기 기능을 길러주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가? 둘째, 국민학교 <읽기> 교과서의 읽기 기능에 관련된 학습문항으로서의 질문의 방법이나 수준은 어떠한가?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년별 읽기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읽기 학습 내용을 분석, 읽기 학습 활동 요소를 도표화 하고,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연계성을 알아보았으며,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방법은, 학습 활동에 있어서 질문을 제시하는 단계로서의 질문의 위치가 제재글을 읽기 전인가, 후인가, 읽는 중인가의 관점에서, 그리고 질문 수준은 Pearson과 Johnson의 문제-해답 유형 분류에 기초하여 사실적, 해석적, 적용적 수준의 질문의 빈도를 백분율로써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기능은 기초, 독법, 독해, 독서의 하위 기능들이 학년별로 반복순환적위계(repeated cyclic hierarchy)를 띠며 학습되고 있다. 둘째, <읽기> 교과서의 질문 방법은 글을 읽고 나서 답하기 (제재 뒤 질문), 물음을 생각하며 읽기(제재 앞 질문), 글을 읽으며 답하기(제재 글을 읽는 중의 질문)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읽기> 교과서의 질문 수준은 해석적 질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실적, 적용적 질문 순으로 나타났다.;The instruction activity in classroom is generally archived by the question and answer of mutual action in language, and the core of the question and answer activity is contents of textbook which used in classroom. This study have regard primary school's reading textbook as a major target of analysis which published by current the fifth a education process in kinds of main materials. The reading is complex processing of sprit which occers in integration by mutual action between reader and reading material of several reading functions. Therefore, to be well done of reading, it is need to come proficient in reading function and learn various strategy of reading. Reporting by recent study, the reader's archivement degree for reading is depandant to level of various questions evolved from reading process. So, refer to this point, this study try to know, first, what function of reading is raised by current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process in each grade ? second, how advance the quality and the method for question of relative elementary school's reading textbook as a learn problem to reading function? And, to know the reading function of each grades, reading content of instruction process showed on tearcher's teaching book is studied and activity factor of reading instruction is tabled relative to learning object of textbook. The question method of reading textbook is analyzed in location of question, such as pre, post or inter of passages. The question level of textbook is analyzed by sort method of Pearson and Johnson's question and answer in percentage degree for frequent degree of actuality, interpretation and adaptibility. The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for reading function, lower level function, just like reading method, interpretation, reading and basis is instructed in repeated cyclic hierarchy. Second, In view of frequency for the question method of reading book, the postpassage question is highest. Then, the prepassage questionis middle and interpassage question is low. Also, in view of frequency for the question level of reading textbook, the text implicit question is highest, the text ecplicit and the scriptally implicit question is follow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대상 = 3 C.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읽기의 정의 = 6 B. 읽기의 기능 = 8 C. 읽기 기능 신장에 있어서 질문 방법의 중요성 = 12 Ⅲ. 국민학교 <읽기> 교과서 분석 = 17 A. 현행 <읽기> 교과서의 특성 = 17 B. 읽기 학습에 있어서의 읽기 기능 요소 분석 = 19 C. <읽기> 교과서의 질문(학습 문항 설정의 재양상)분석 = 32 (1) 질문의 제시 단계 분석 = 33 (2) 질문 수준 분석 = 37 (3) 총 질문수에 대한 질문 수준의 변화 정도 분석 = 43 (4) 질문 수준과 읽기 기능과의 관계 = 46 Ⅳ. 결론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55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16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읽기 교과서-
dc.subject질문-
dc.subject학습문항-
dc.subject.ddc400-
dc.title국민학교 <읽기> 교과서의 질문(학습문항)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Analysis of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s' Reading Textbook-
dc.format.page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