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연주-
dc.creator정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10-
dc.description.abstract회화는 인간의 시각적, 사고적 활동의 결과를 화면상에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예술적 창조행위와 화면과의 끊임없는 대화와 긴장, 역동적인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는 산물이다. 또한, 조형예술의 역사속에서 어떤 형태로든 추상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의 경향이 서로 엇갈리면서 상호보완적인 영향을 주어왔다. 현대미술의 출발점은 현대미술의 본질을 규정하는 관점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나 20세기초기부터 시작된 미술의 전반적인 추상회화의 경향을 그 출발점으로 본다. 1945년이후 전후의 미술은 전통과의 단절로 인한 개별적인 추구라는 점에서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면을 가지고 다양한 조류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전개속에서 미술가의 개별적인 존엄성을 강조하는 일면이 계속 되었고, 다른 한면에서는 과학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제작하는 방향으로 되어갔다. 이러한 Modernism은 1950년대의 추상 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1960년대의 팝 아트(Pop Art), 1970년대의 미니멀 아트(Minimal Art)를 거쳐, 'Support/Surfas'등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양식을 띠며 거쳐왔다. 또한 1970년대말에 대두된 신표현주의(Neo Expressionism)의 등장은 Modernism에 대한 반동으로 개념적이고 양식적인 새로운 영역이 등장되었다. 1980년대에 대두된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은 다원주의 (Pluralism)적 경향으로, 이미지의 재등장과 '네오지오(Neo-Gio)'등의 비구상적 움직임등 잡다한 양식과 내용을 표현하는 작품들이 많아졌다. 이러한 각 시대별 양식이란 것은 그 시대상황에 따른 필연적 생성물이요, 사회를 반영하기도 했다. 본인의 작품은 제작에 있어서 현대문명에서 보여지는 건축적인 이미지와 생활환경에서 전이된 기하학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또한 정신적인 측면에서 감성적인 내적공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에 있어서 현대사회의 환경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적 조형원리를 회화와 연결시켜 투시적인 공간의 조형성과 본인의 내면세계와의 연관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적 측면에 있어서는 기하학적 구성에 의한 관계적 구성방식에서 본 Jack Tworkov의 작품과 투시적인 공간관계를 보여주는 Ronald Davis와 Al Held의 작업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평면적 공간요소를 도입한 투시적 공간을 통한 2차원적인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계적 화면구성의 측면을 중시한 화면공간을 탐구하는 조형의지에서 비롯되었으며,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통하여 본인의 내적공간을 적절히 나타내고자 하였다.;Painting is a product which is formed through constant conversation of the creative acts intended to express the result of the visual and thoughtful acts of humanbeing with the picture, tension and dynamic relation. Also, through the history of plastic art, both the abstract and realistic tendencies have been altenatively influenced complementary in any types. The general trend of "Abstract art" which arose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art, though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rescribing essence of modern art. After 1945, art developed to various tendencies with very complex and abtrusive aspect in the point of the individual inquiry caused by the separation from tradition. Through these development, the individual dignity of the artist emphasized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scientific method explored and produced. Such Modernism passed through "Abstract Expressionism"in the 1950s, "Pop Art" in the 1960's, and "Minimal Art" in the 1970's, then entered into various and complex forms such as "Support /Surface." Neo-Expressionism arose in the end of 1970's brought new conceptual and formative area as a reaction to Modernism. Many works of Post-Modernism in the 1980's, which is pluralistic, express complex style and contents like as anti-conceptual movement of Neo-Gio and the reappearance of image. These classification of each era is the inevitable produc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imes and the reflection of society. In the productional perspective, I intended to express the architectural image shown modern culture and gemetric structure transferred from the living circumstance and emotional inner space in the psychological aspect. I tri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forw ativity of the perspective space and my inner scope by connecting picture with the geometric formative principle shown in the modern society circumstance in the study of theor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I want to compare Jack Twarkov's work shown in the relation of geometrical constitution with Ronald Davis's and Al Held's works showing perspective spatial relation. Also, I want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dimensional spatial expression through the prespective space introduced planar spatial factor. This study stemmed from the formative will investigating screen space emp hasized the screen constitution and tried to express my inner space properly through formative el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5 A. 내용적 연구 = 5 1. 시각환경에서 전이된 조형성 연구 = 5 2. 회화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 = 7 B. 방법적 연구 = 10 1. 관계적 화면구성 = 10 2. 평면의 도입을 통한 투시적 공간 = 12 3. 내적 공간의 표현 = 14 참고작품 = 16 C. 본인작품 분석 = 17 Ⅲ. 결론 = 31 참고문헌 = 33 Abstract = 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95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투시적 공간-
dc.subject기하학적 추상-
dc.subject서양화-
dc.subject미술-
dc.title투시적 공간을 통한 기하학적 추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GEOMETRIC ABSTRACT THROUGH THE PERSPECTIVE SPAC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