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순자-
dc.creator김순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3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this to find out the different styles of leadership activities of principals of middle school i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in Pusan. The research involves first, an examination to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dership activities by read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s, and secondary to survey the different styles of leadership activities actually undertaken by principals. Unde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A.W. Halpin's L.B.D.Q-were selected. It is composed of 30 items, designed to analyze the leadership style.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53 middle school in Pusan, and answered by 1,189 teacher. The collected data are divided into four leadership styles which are efficiency, harmony with faculties, work achievement, and inefficiency including the nariables. The variables considered for the questionnaire are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the sex and career record of principal, and the career record and sex of redponding teachers. The scores are calculated by the ratio with variables 5% of devia-tion is considered for the statistic adjust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urvey is as follow. 1. In practice, the achievement is more considered as an efficient, leadership activities than the harmony with faculties. 2. The career record of principal are to correlated the leadership style of the principal. Principals of career record beween 2 and 4 years are more efficient than any other principals. 3. The background of foundation to which the principals belong effected differently on grouping the style of leadership. The private school principals are more harmony oriented than the public school principals. And the former are more efficiency oriented styles. 4. In each 53 sample school, the principals of the efficient leadership style was discovered most generally and than inefficient, harmornious, and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style in turn.;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에 대해 일선 교사들이 인지하고 있는 실제 현상 그대로를 조사·분석하여 일선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유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선 연구들을 통해 지도성에 대한 여러 이론을 살펴보고, 부산 시내 공·사립 중학 53개교를 무선표집하여 각 학교마다 A.W.Halpin의 LBDQ(지도자 행동 기술표)를 사용한 질문지 25부씩을 25명의 교사에게 배부해서 회수한 총 1,189명의 반응결과를 통해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을 효율형, 인화형, 과업형, 비효율형의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리하여 학교장 지도성 행동에 대해 먼저 유형별로 진단·분석하고 학교장 특성 변인( 행정 경력별 ) , 학교 특성 변인( 설립 배경별 )에 따른 각 지도성 유형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대상 학교의 학교장 지도성 행동에 대한 그 학교 소속교사들의 반응을 통해 단위 학교별 학교장 지도성 유형을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과업·인화 문항별 평균을 산출하여 그 평균점을 기준으로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은 인화와 과업 양 차원의 지도성을 적절히 배합한 효율적 지도성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효율적 지도성 유형도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과업적, 인화적 지도성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2. 학교장 행정경력별로는 교장 행정경력이 2년 미만은 과업중심적으로, 2 ∼ 4년은 효율적으로, 5년 이상의 경력 소유자는 비효율적 지도성으로 나타나 경력별로 지도성 유형이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3. 학교 설립배경별로는 공립학교 교장은 효율적이거나 비효율적 유형으로, 사립학교 교장은 효율적·인화 중심적 지도성 유형으로 나타나 설립배경별로 지도성 유형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부산시내 중학교 교장의 지도성 행동은 바람직한 인간관계 유지 및 과업 성취의 양 차원에서 성공적인 지도력을 발휘하여 학교 교육목표 달성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성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반면 인간관계면과 과업면 양쪽의 지도력이 다 낮은 비효율적인 지도성 유형도 높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지도성 이론과 연구 경향 = 5 B. 선행 연구 = 19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23 A. 도구 = 23 B. 표집 = 23 C. 자료처리 방법 = 24 D. 연구의 제한점 = 25 Ⅳ. 조사결과 및 해석 = 26 A.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에 대한 교사집단의 반응 = 26 B.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유형과 각 변인과의 관계 = 30 Ⅴ. 요약 및 결론 = 35 A. 요약 = 35 B. 결론 = 37 참고문헌 = 40 부록 1 = 42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3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교장-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교장-
dc.subject지도성-
dc.title학교장 지도성 유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산시 중학교 교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YLE OF LEADERSHIP ACTIVITIES OF PRINGIPAL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