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金禮淑-
dc.creator金禮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3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32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tried to be shown that the education of dancing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was important as the basement and the element of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it was planned to make the idea model of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education of dancing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s of this thesis was analyzed for a dancing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historic changing of a general curriculum and for giving help in conforming the importance of a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danceing and planning the model of program. The special feature of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was dividied the first stage (7-9age) and the latter stage (10-13age). This special feature was observed four scopes physical, social, psychologial and intellectual. There are the aim and contents of studying, the voluntariness in guiding, evaluation and so on. They were placedon the dancing curriculum of the primary school as a center of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thletics. Therefore, the principle of childlens growth and development is orderly. That is, it was done from simple to particular. Especially, the physical developnent and the advancement of human knowledge are done orderly from high to low. In the long run, the education of childrens dancing will be achieved effectively when we understand enough step features.;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통한 무용교육이 전인교육을 위한 요소로서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전인교육을 위한 기초로서 모든교육의 기반이 되는 국민학교 무용교육을 위한 이상적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교육의 중요성과 국민학교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모형을 설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일반 교육과정의 역사적인 변천에 따른 국민학교 무용교과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어린이 성장발달에 따른 단계적 특정을 크게 초기단계(7-9세)와 후기단게(10-13세)로 구분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그리고 지적측면등 4개 영역에서 살펴보았다. 위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국민학교 무용교육과정의 모형을 현행 국민학교 체육과 교과과정의 구성체제를 중심으로 학습목표, 학습내용, 지도의 요점, 평가 등 4개 영역으로 구성하여 언급하였다. 국민학교 무용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해 본 결과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내용 학습내용에 있어서는 학년이 높아 질수록 점차적으로 내용을 발전시켜 구체화 하였다. 각 학년별에 따른 주요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2학년 ① 기본적인 움직임을 통하여 신체활동에 필요한 기초동작을 익힌다. ② 집단으로 사물 흉내내기를 하여 사회성을 기르도록 한다. ③ 음악을 이용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④ 무용의 기본스템을 걷기동작과 연결하여 스텝의 기본개념을 인식시킨다. 3, 4학년 ① 흥미있는 동작을 따라하게 하여 체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②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물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사회성을 기르도록 하였다. ③ 일상의 움직임을 아름답게 변형시키도록 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었다. ④ 무용의 형태와 이론을 지도하여 지적발달을 가져오게 하였다. 5, 6 학년 ① 동작의 유형들을 자유자재로 이용하도록 하여 신체의 유연성을 기르도록 하였다. ② 집단별로 사물의 특성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사회성을 기르도록 하였다. ③ 리듬을 타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었다. ④ 여러나라 민속무용의 기본이론을 이해하도록 하여 지적발달을 가져오게 하였다. 2) 지도의 요점에 있어서는 자유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흥미를 잃지않도록 하는데 그 중요성을 두었다. 3) 평가는 이해, 태도, 기능 둥의 3개 분야를 감안하여 구성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초등 교육의 중요성 = 5 B. 무용의 교육적 가치 = 9 C. 국민학교 무용교육의 필요성 = 12 1) 국민학교 무용교육의 목표설정 = 13 2) 국민학교 무용교육의 내용선정 = 13 Ⅲ. 우리나라 국민학교 무용교육 과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 15 A. 1차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 44호:1955-1963) = 16 B. 2차 교과과정 (문교부령 119호:1963-1973) = 18 C. 3차 교과과정 (문교부령:1973-1982 ) = 21 D. 4차 교과과정 (문교부 고시 제 442호:1982-1985) = 23 E. 현행 교과과정 (문교부 고시 제 87-9호:1987년 6월 30일) = 25 Ⅳ. 어린이 성장 발달의 일반적인 특징 = 27 A. 초기단계(7-9세) = 27 1) 신제적 특징 = 27 2) 심리적 특징 = 27 3) 사회적 특징 = 28 4) 지적 특징 = 28 5) 움직임의 특징 = 29 B. 후기단계 (10-13세) = 29 1) 신체적 특징 = 29 2) 심리적 특징 = 29 3) 사회적 특징 = 30 4) 지적 특징 = 30 5) 움직임의 특징 = 31 V. 국민학교 무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 32 A. 모형설계을 위한 이론척 체게 = 32 1) 신체적 측면(움직임의 측면) = 32 2) 사회적 측면 = 33 3) 심리적 측면 = 34 4) 지적 측면 = 35 B. 학년별 무용교육 프로그램 모형 = 36 1) 학년목표 = 36 2) 학습내용 = 37 3) 지도상의 요점 = 39 4) 평가 = 41 Ⅵ. 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5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43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무용-
dc.subject무용 교육과정-
dc.subject.ddc700-
dc.title국민학교 무용 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