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한-
dc.contributor.author張源柱-
dc.creator張源柱-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86-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law of exclusive use of Han-gul was promulgated in 1948, there have been arguments for writing in Han-gul only or mixing the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origin words in Korea. Such confusion was caused by that they did not consider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which we used traditionally the Chinese characters as our charactery over two thousand years within the cultural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and brought by the unreasonable policy-making of those days which was not influenced by the policy maker's long-range vision but by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interests. For the result, the general nation has become higher-educated illiterates who could not read correctly only a page of news-paper. Especially, using together of Chinese characters in school education was frequently reversed and national charactery education without Chinese characters caused a break from cultural inheritance and a social confusion. Thinking and expressing ability of student was dwindled in national language and another science education. For that reason, there must be an urgent demand of qualititive conversion in our charactery policy. So, the writer, I investigated the change of educational policy of Chinese characters, consulted a preceding documents, and groped a reform measure of Chinese characters, after log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at. The writer, I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or improvement. 1. Recognize importance of an early stage education and practic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rimary school. 2. Strengthen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secondary school. 3. Increase distribution of marks at the entrance examination. 4. Develope a considerat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5. Teach Chinese characters by the experts who maj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6. Revise and make up for basic Chinese characters to be taught at middle and high school.;우리나라의 語文政策중 가장 커다란 쟁점인 漢字교육 與否의 문제는 1948년 '한글전용법'을 공포한 이래 한글전용과 國漢文混用이라는 혼란을 거듭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정책상의 혼란은 정책수립과정에서 우리나라의 특수한 교육환경 즉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漢字文化圈으로서 거의 2천년 동안이나 漢子를 우리 언어화하여 사용해 온 사회문화적 諸般與件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고, 정책결정자의 개인적 또는 집단적인 가치관이나 신념에 따라서 長期的인 안목에서 보다는 당시의 집단간의 이해관계 등에 따라 보편성을 잃은 정책을 실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결국 일반국민은 언어생활에서 심각한 문제, 즉 일반사회에서는 漢字를 여전히 사용하여 신문 한장 제대로 읽지 못하는 高等文盲者가 되었으며, 특히 학교교육에서의 한자倂用은 여러번 반복되었으며 漢字가 排除된 국어교육은 과거 문화유산과의 斷絶을 초래하여 사회 혼란을 야기시켰고, 학생들은 사고력이 떨어져 국어교과 및 일반교과에서의 학력저하는 물론 독서능력도 상당히 저하되는 등 학생들만 피해를 입는 정책이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어문정책은 그 質的 轉換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本稿에서 漢子교육정책에 대한 방향전환을 도모하기 위하여 먼저 교육정책을 이론적으로 고찰을 한 후, 해방이후 漢字교육정책의 變遷過程을 살펴보고 先行 硏究자료와 각종 문헌들을 參考 比較함으로써 우리나라 漢字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漢字교육에 관한 개선책을 다음과 같이 提議하고자 한다. 첫째, 早期敎育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민학교부터 국어교육의 일환으로 漢字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중등학교의 漢字교육을 强化한다. 세째, 漢文의 입시 配點을 늘려야 한다. 네째, 漢字學習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專攻敎師가 漢文을 가르쳐야 한다. 여섯째, 교육용기초한자는 補完 및 添削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緖論 = 1 Ⅱ. 교육정책의 이론적 고찰 = 3 A. 교육정책의 개념 = 3 B. 교육정책 형성에 관한 諸理論 = 6 C. 교육정책형성에 영향을 주는 諸變因 = 11 Ⅲ. 우리나라 漢字교육정책의 變遷過程 = 16 A. 漢字병용기 (1945~1964.8) = 16 B. 漢宇일부혼용기 (1964.9~1970.2) = 19 C. 한글전용기 (1970.3~1975.2) = 20 D. 漢字부분병용기 (1975.3~현재) = 23 Ⅳ. 우리나라 漢字교육정책의 문제점 = 29 A. 우리나라 漢字교육정책의 문제점 = 29 B. 한글전용론의 문제점 = 31 C. 漢字교육의 必要性 = 46 Ⅴ. 結論 = 54 * 참고문헌 * = 59 附錄 = 64 Summary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580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자교육-
dc.subject한자교육정책-
dc.subject교육학-
dc.subject교육행정-
dc.title우리나라 漢子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mmary of a study on issue about educational policy of Chinese characters-
dc.format.page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