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준승-
dc.contributor.author鄭垠卿-
dc.creator鄭垠卿-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06-
dc.description.abstractThe effects of viral and cellular harvey ras oncogene expression on polarized phenotype of MDCK cells were investigated. Stable transformed MDCK cell lines expressing the v-H-ras and c-H-ras oncogenes were generated via trnaformation with v-H-ras and c-H-ras inserted animal expression vector. When grown on plastic substrata, transformed cells formed continuous monolayers with epithelial-like morphology. However, on permeable filter supports, where normal cells form monolayers of well-differentiated cylindrical forms, transformed MDCK cells rounded up and developed multilayers. Evidence for disruption of cell polarirty was provided by immunolocalizat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A-CAM) : a normal adherene junction type cell adhesion molecules (A-CAM) were distributed on the cell border, however, A-CAM localized on apical as well as baso-lateral surfaces in the transformed cell lines. Moreover, discrete distribution of insulin receptor on basal surface was also disrupted in transformed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H-ras and c-H-ras transformation alters cell-substratum and cell-cell interaction of epithelial cells. Furthermore, ras gene expression perturbs polarization.;세포내에서 ras 유전자에 의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전이될때 전형적인 극성을 유지하던 세포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MDCK 세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MDCK 세포를 v-H-ras (0.7 kb) 와 c-H-ras (6.5 kb) 가 삽입된 expression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시키고, neomycine을 처리하여 형질전환된 세포주만을 분리하였다. 정상세포나 형질전환된 세포를 Plastic 배양기에서 키우면 모두 명확한 경계를 형성하며 단층으로 자라는 특징을 보이지만, collagen matrix 나 nitrocellulose paper 와 같은 permeable support 에서 세포를 키우면 ras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 주에서 둥글게 변한 세포가 느슨한 연결체를 이루며 여러겹으로 겹쳐서 자라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광 염색법으로 CAM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정확한 극성유지기작으로 측면부위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CAM 이 암화되면서 그러한 극성분포가 없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기저부위에 존재하는 insulin 수용체의 분포도 암화되는 과정에서 달라졌다. 이상으로 ras 유전자의 과대발현에 의한 세포내의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이 세포의 형태변화까지 이어지며 극성유지 기작에도 영향을 주어 정확한 극성을 유지하며 자라는 세포의 극성이 깨어짐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서론 = 1 실험 재료 및 방법 = 4 Ⅰ. 재료 = 4 Ⅱ. 방법 = 4 1. 세포 배양 = 4 2. Transfection 된 세포주의 확립 = 5 3. Northern analysis = 6 4. Indirect immunofluorescence = 6 5. Electron Microscope = 6 (1)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6 (2)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7 6. ^(125)I-insulin 의 결합 = 7 (1) insulin의 ^(125)I 표지 = 7 (2) ^(125)I-insulin의 결합 = 8 결과 = 9 1. ras 유전자를 이용한 MDCK 세포의 형질전환 = 9 2. ras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의 형태변화 = 9 3. ras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의 비대칭성 변화 = 19 고찰 = 30 참고문헌 = 33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566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ras-gene-
dc.subject과대발현-
dc.subjectMDCK-
dc.subject세포주극성-
dc.titleras-gene의 과대발현이 MDCK 세포주극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verexprssion of v-h-ras or c-h-ras oncogene causes loss of MDCK cell polarity-
dc.format.page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과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