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양림-
dc.contributor.author한지원-
dc.creator한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3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2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313-
dc.description.abstract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surfaces of oocytes were studied during oogenesis of Asterina pectinifera (Mu¨ller & Troschel)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suming that yolk precursors are transported from the outside of oocytes. Coated pits, coated vesicles and endocytotic vesicles form at the surfaces of oocytes, changing their activities at various stages. The coated vesicles are presumably fused to form yolk granules and the fusion is the most active at the stage later than 130㎛, suggesting that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may be involved in transport of yolk precursor. Microvilli are randomly distributed at the surface of oocyte in the early stage and make contact with the microvilli from the other oocytes. In oocytes ranging from 15㎛ to 67㎛, microvilli are varied in thickness, length and configuration, whereas in oocytes greater than 100㎛ microvilli are well developed between vitelline coats. Follicle cell processes were observed to reach the surface membrane of oocyte through the vitelline coat and to form a junctional complex at the 7㎛ stage and at stages greater than 100㎛. Vitelline coats, where thickness is 200-300nm, form in oocytes greater than 100㎛ diameter. The coats are set apart from plasma membrane by 50-60nm distance. From observations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a few structurally-varied types in transporting yolk precursors, suggesting that structural differences may reflect functional differentiation during oogenesis.;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Mu¨ller & Troschel)]의 난모세포의 난황립 형성을 위해서 외부로부터 물질이 이입될 것이라 추측되어, 난자형성 동안에 물질이입과 관계되는 난모세포 표면의 구조적 변화를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직경 25㎛-160㎛의 난모세포에서 coated pit, coated vesicle과 내포소낭이 존재하였으며, coated vesicle이나 내포소낭은 형성단계에 있는 난황립과 융합하였다. 이러한 융합은 난자형성 초기와 중기에 비해 직경 130㎛ 이상의 난모세포 시기인 난자형성 후기에 활발하였으므로, 'receptor-mediated endocytosis'과정이 난모세포 성숙 단계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하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난자형성 초기 단계에 난모세포의 미세융모는 가늘며 많은 수가 세포막을 따라서 무질서하게 분포하고,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난모세포와 여포세포로부터 나온 미세융모와 엇갈리어 분포하였다. 15㎛에서 67㎛에 이르는 난모세포는 동일한 세포일지라도 세포막 부위에 따라서 미세융모의 굵기와 길이 그리고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고, 100㎛이상의 난모세포에서는 잘 발달된 미세융모가 난황층에 존재하였다. 직경 7㎛의 난모세포와 난자형성 후기에 있는 난모세포에서 여포세포로부터 나온 돌기가 난모세포의 난황층을 뚫고 난모세포막에 닿아 'junctional complex'를 이루고 있었고, 난황층은 난자형성 초기에 나타나지 않고 100㎛의 난모세포에서부터 관찰되며, 난모세포막과 50-60㎚의 간격을 두고 200-300㎚두께의 난황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별불가사리의 난자형성 기간에 난모세포 표면의 구조적 변화는 난모세포막을 통한 외부 물질 투과와 관련된 구조의 변화로 생각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5 1. 실험 동물 및 해부 = 5 2. 투과 전자현미경 시료 처리 = 6 3. 난모세포의 크기 측정 = 7 Ⅲ. 결과 = 8 1. 난모세포의 난소 내 위치와 난자형성 단계 = 8 2. 난모 세포막과 표면층의 변화 = 10 (1) coated pit와 내포소낭 = 10 (2) 미세융모와 여포세포 돌기 = 13 (3) 난황층 = 14 (4) 난모세포 표면에서 나타나는 기타 구조물 = 15 Ⅳ. 고찰 = 17 1. 미세융모의 분화와 여포세포 돌기의 출현 = 17 2. 난황층의 분화 = 18 3.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 21 Ⅴ. 결론 = 24 참고문헌 = 26 도판설명 및 도판 = 34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74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별불가사리-
dc.subject난자형성-
dc.subject난모세포-
dc.subject표면-
dc.title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Mu¨ller & Troschel)〕의 난자형성 과정중 난모세포 표면의 미세구조적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ltrastructural Changes of Oocytes Surfaces during Oogenesis of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Mu¨ller & Troschel)-
dc.format.page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