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옥숭-
dc.contributor.author배민아-
dc.creator배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2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39-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들은 죽음을 직시하지 않고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첨단 의술과 재력의 도움으로 장수를 꾀하는 직접적인 시도는 물론이며, 살아생전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쾌락을 경험하려는 생지상주의(生至上主義)도 죽음회피의 또 다른 표현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같이 현대인들이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의미를 사고(思考)함에 있어 흔히 가질 수 있는 부정적(否定的)이고 회피적(回避的)인 태도(態度)를 기독교적인 관점(觀點)에서 재조명(再照明)하여 보다 긍정적(肯定的)인 태도로 죽음을 사고(思考)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試圖)이며, 더 나아가서는 당위적(當爲的)인 죽음 앞에 선 인간의 유한성(有限性)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 세상에서의 삶을 종말론(終末論)적인 삶으로 이끄는 것을 기독교교육 과정으로 수용(愛容)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인의 죽음의식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영향(影響)을 끼쳐왔다고 생각되는 무속과 불교, 유교에서의 죽음관 및 내세관(來世觀)을 고찰(考察)해 보았다. 그리고 논자(論者)가 의도(意圖)하는 기독교적인 죽음이해인 창조신앙과 연관지어 논리(論理)를 전개(展開)함에 있어 기독교적인 죽음이해와 가장 가깝게 접근(接近)시킬 수 있도록 한국인에게 보편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죽음을 '자연(自然)으로 돌아가는 것'에서 출발하여 기독교적인 죽음이해와 연계관계를 맺기 위해 동양사상(東洋思想) 가운데 자연에 관한 의식(意譏)과 죽음과 자연의 관계를 고찰해 본다. 이러한 기본(基本) 고찰(考察)을 출발점(出發點)으로 하여 죽음의 문제는 창조질서의 문제와 관련하여 접근해야 함을 주장한다. 인간들이 죽음에 대하여 갖는 부정적인 태도와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생각은 인간이 자신의 피조성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과 동일선상에 서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피조물로서의 유한성이라는 범주를 통하여 죽음과 창조질서를 관련시키는 방법 위에 서서 죽음준비 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제Ⅰ장은 서론으로 최근 현대사회의 메카니즘 속에서 현대인들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입장과 기독교인들의 죽음 앞에선 태도를 제시하고, 타부시되고 있는 죽음문제를 지적함과 동시에 기독교적 시각의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를 밝힌다. 제Ⅱ장은 본론으로 세가지의 주제로 전개된다. 첫째는 한국인의 죽음의식에 기초를 형성하고 있는 몇몇 종교들의 죽음관, 즉 무속(巫俗), 불교(佛敎), 유교(儒敎)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입장들을 비교하며 이 세상에 대한 이해의 폭과 한계, 죽음의 의미를 밝히고, 기독교적 죽음준비교육의 기초를 하나님의 창조세계 안에서 풀어가기 위한 매개체로서 동양사상의 자연이해와 죽음에 관하여 살펴본다. 무속(巫俗)에서는 이 세상에서의 삶이 저 세상에서의 삶보다 낫다고 생각하며 삶에 강렬한 애착을 지닌다. 그러나 죽음을 외면하는 것이 불가피함도 설명하며 죽음 후의 심판을 위해 이 생을 착실히 살아가야 함을 이야기하고, 불교(佛敎)에서는 이 세상을 무상(無常)한 것으로 보며 죽음이란 이 세상을 탈출하여 영원한 자유인이 되는 계기로 설명한다. 또 유교(儒敎)에서는 죽음이나 내세에 대해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지만 삶을 알면 죽음은 저절로 알게 되며 현세의 연장이 곧 내세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세 종교의 죽음해석과 죽음처리방법에 대하여 논자는 각각의 고유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즉 삶과 죽음에 관해 이야기한 각 이론의 독특성 속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엄격히 하면서 삶과 죽음을 긍정하는 새로운 변증법적 방법이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둘째로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죽음의 의미를 예수, 바울을 중심으로 살피고 하나님의 창조신앙의 측면에서 죽음을 해석한다.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이 세계 모든 만물을 창조하셨고 인간조차도 하나님에 의해 흙으로 창조된 피조물임을 고백한다. 이러한 창조신앙의 연장선 속에서 인간의 죽음이란 바로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창조의 원형으로 되돌아감을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질서에 순종하는 것임을 밝힌다. 셋째로는 죽음준비교육의 기독교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하며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셨다는 고백에 기초하여 죽음과의 관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피조된 인간의 유한성을 직시하는 것이 죽음준비 기독교교육 과정의 전제임을 밝히며 죽음준비교육의 기독교교육과정을 제1단계 : 체험 -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제2단계 : 명상 - 생명의 태동에서 죽음이후까지, 제3단계 : 실천 - 하나님의 창조를 완성해가는 삶으로 등의 3단계로 나누어 예시함으로 기독교교육적 실행 가능성을 모색한다. 제 Ⅲ 장은 결론으로 이상의 연구내용들을 종합하여 죽음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를 확립하고 기독교적 죽음준비교육이란 결국 하나님이 우리의 창조주이심을 고백하고 교육하는 것이라는 것으로 정리하며 논문의 결론을 맺는다.;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christain educational device in the morderns' attitude on preparation for death In these days, depending on the power of money and the mordern medical art, many people try not to face up to reality of death. This attitude on death can be turned into much activer, affirmativer one by the christain educational device in preparation for death. The contents are following. In the 1st chapter as an introduction, I mention how the death can be accept by the moderns in modern chanism, especially, the christian the base of christai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death, as a link of God's creation world, is examined about understanding for nature and death in orientalism. And then pointing out that they put the taboo on death, I make clear this thesis' intention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eparation for Death in a christian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the 2nd chapter as a main subject, this part gets divided into three subdivisions. First, comparing some religions' outlook on the death one another Shamaniam, Buddihism, Confucianism I examine the generosity and limitation of understanding about this world in each religions. In Shamanism, they think this world life is better than that world one, so Shamanists feels a passionate love for this world But they also acknowledge inevitability of man's try to escape death. So they insisted that people should lead a sound life to prepare for the judgment after death. In Buddihism, this world is compared with dust. From this point of view, death paved the way to be the eternal free man and help him to escape from this world In Conducianism, the direct mention about death or life after death is not founded, but Confucianist say clearly that to know life is to know death, and that world is and extention of this world. I suggest it should be added to understanding about death in each three religions that death means coming from nature and going back to nature. Second, meaning of death in Christianity is death with laying stress on Jesus, Paul. I interpret Christian death through the belief in creation of the world by God The Christians make profession of thier faith that in the begining God called into being the whole things in the world, even human being is the creature made from mud. In an extention of this belief, human death means not departing from God's creative world but going back to origine of creation; obeying God's orders of creation. Third, I present a possbility of the christai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death. Based on profession of faith that God created the whole things in the world, it is promised that human being, as a link connecting with death, face up limitedness of a created thing. The course of the christai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death can consiste of three stages. Through 3 stages, I grope for possiblilty in practical execution of the christai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death. I stage: experience - an education which enable to experience God's creation of world, 2 stage: meditation - from a quickening of the birth to a circumstances after death, 3 stage: practice - leading a life to accomplish God's creation. In 3rd chapter, synthesizing the fact mentioned above, I fix the meaning of death in Christianity, and then, conclude that It is the christai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death enabling us to make profession we are created by G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論文槪要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硏究目的)과 의의(意義) = 1 B. 연구내용(硏究內容)과 전개(展開) = 2 Ⅱ. 본론 = 5 A. 한국인의 죽음의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 5 1. 무속(巫俗)에서의 죽음관 = 5 2. 불교(佛敎)에서의 죽음관 = 9 3. 유교(儒敎)에서의 죽음관 = 13 4. 동양사상(東洋思想)의 자연이해(自然理解)와 죽음의 의미(意味) = 16 B. 기독교의 죽음이해 = 21 1. 예수 죽음의 이해 = 22 2. 바울의 죽음 이해 = 25 3. 창조신앙에 비추어 본 죽음이해 : 피조성(被造性)을 긍정(肯定)하는 창조(創造) 안에 있는 죽음 = 31 C.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방안 = 38 1.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必要性) = 38 2. 죽음준비교육을 위한 기독교적 교육과정(敎育課程)의 기초(基礎) = 39 Ⅲ.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64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죽음준비교육-
dc.subject기독교-
dc.subject타종교-
dc.subject죽음관-
dc.title죽음준비교육의 기독교적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타종교의 죽음관에 비추어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ristain Educational Device in Preparation for Death-
dc.format.page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