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무용무대의 공간구조개념에 따른 시각적인 표현효과

Title
무용무대의 공간구조개념에 따른 시각적인 표현효과
Other Titles
VISUAL EXPRESSION EFFECT ACCOMPANING THE SPACE IDEA OF DANCING STAGE : Through Stage Media
Authors
최지연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Keywords
무용무대공간구조개념무대매체표현효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형자
Abstract
Dancing is the very existence theat is prerequisite for the dancing as an art, and it is meant that such an existence would make the dancing possessed by the style as an art. Therefore, in order to fully perform the work as being an art it can materialize the maximization of expression effect only when, first of all, an appropriate stage arrangement and the space-use(or utilization) in the established stage as wellas the stage design, etc. are perfectil combined in harmony. When the dancing is on performance, that the spectators and audiences would be able to see and feel is the dancing space by all means. When the movement of dancing and the media such as lightinh, stage setting as well as costumes would be able to effectively demonstrate what the choreographer intends to do through interaction, it should be affirmative to predict that the dancing art as being one of the comprehensive arts will bring about a perfect success in the process of effective conveyance. In this thesis a series of explanation have been attempted on the maximum extent of visual effect possessing the reflection of stage design on the emphasis of stage space of movement for the feeling of each part and the expression in the path of flow on the stage. Further, another study has been conducted on space perception and visual perception by performing the two creative works and the two traditional dancings respectively on the four kinds of stage styles, namely, prosynium stage, projecting stage, roundstage and polygonal stage. In this context, with the rapid change of society and the progress of technogy as well as that of science, the audience would require a new stimulus. Therefore, the unchanged indolence and the simplicity to only perform in providing space given by the existing stage form would not cast any big rapport. Thus, it is the present age that the choreographer should be responsible for perfectly exercising his or her intended expression by understanding the variable and flowing space of the third dimensional stage and the technical-know-how and variety suitable for making the stage that would fit into the work piece.;무용은 예술로서의 무용을 전제조건으로 한것이며 그것은 예술로서의 형식을 갖출 무용을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로써의 작품을 완성시키려면 먼저 작품에 적합한 무대설정과 설정된 무대에서의 공간사용 그리고 무대 디자인들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룰때 비로서 표현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무용이 공연되어질때 관객이 처음 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무대공간이다. 공간의 느낌과 작품의 성격이 어우러지고 거기에 무용의 움직임과 조명, 장치, 의상 등의 매체들이 상호관계를 통해 안무가가 의도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준다면 종합예술로서의 무용예술은 효과적인 전달과정에 있어서 완벽한 성공을 가져 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대상에서의 각 구역의 느낌들 그리고 사용한 동선에서의 표현을 움직임 공간성을 위주로 표현전달에 있어 무대디자인의 반영으로 가지는 최대의 시각적인 효과를 설명했다. 4가지 형태의 무대 즉 프로시니엄 무대, 돌출무대, 그리고 다변형무대에 각각 2개의 창작작품과 2개의 전통무용을 올려 그 공간성과 시각성을 연구했다. 사회가 변천하고 기술과 과학이 발전됨에 따라 관객은 새로운 자극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무대 형태가 주는 장소 제공에 그쳐서 공연하는 구태의연한 안일함과 단순성은 이제 큰 교감을 던져주질 못한다. 작품에 맞는 무대를 만들어가야 하는 즉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3차원의 무대공간과 매체들의 기술성과 다양성을 이해하여 안무가가 갖는 표현의도를 완벽히 구사해 내야 할 의무가 있는 현 시대인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