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덕혜-
dc.contributor.author權智賢-
dc.creator權智賢-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2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489-
dc.description.abstractModern civilization is represented as loss of human nature, loss of human subjectivit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in scientific civilization and mass media. For this reason, the modern painting has endeavored to seek for a real meaning in acquiring the importance as a subjective human being, who hopes for a new life by escaping from the material civilization. As the modern society has been developed into a highly industrial one, man has faced with such problems as mental confusion and wandering, thus art can stay no longer in a state of a pure formative activity. In the situation of loss of human dignity and uncertain interchange between the human self and the world, artists have concentrated on the fundamental search for man and reality, furthermore art itself. With this effort, the abol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the common life has been realized. This trend of painting can be regarded as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 of value in modem society. According to that trend of the modern painting, I tried to deal, as a motive, with the internal emotion of man who lives in modern society. That is, I tried to pursue harmony betwen man and the nature from the motive that man admits reality of his times and get it over. I tried to express in my works the mental world of the man who searches for a hope for life through recovering new order. As one method for overcoming the situation of reality, my interest in man' s internal world made me develop varous gropings for from expressions throuph a concrete form to abstract work that has no objects, seeking for internal necessity. As a method, on the basis of my abstract intention trying to express man' s internal world, I chose Chinese ink and tried to find out a possibility Of a painting form that will be more native and have a deep root. In a complex color sense of modem times and life consciousness, I try to grope for a possibility of a moulding through the rich expressive power of Chinese ink and the characteristics in expressing the high mentality. Therefore in this thesis,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modern times, I studied the expression of man's internal image in order to find out the real meaning of myself. I described why I should use Chinese ink in expressing this internal image, and studied the rich expressive power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k. This study is based on my recent production of works through the reconsideration and introspection for my procedure of production of works till now. So far by studying work as a procedure of producing works, I tried to reconstruct my view point of painting, and to get help from it for the activities in my future production of works.;現代文明은 과학문명과 대량매체의 발달로 인한 '주체성 상실', '인간성 상실'로 대변할 수 있다. 이에 現代繪畵는 물질문명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희망하는 주체적 인간으로서의 중요성을 획득함에 진정한 의미를 추구하고자 노력해 왔다. 즉, 현대의 고도산업사회로 발전해오면서 인간은 획일화된 대중 사회속에서 精神的 葛藤과 彷徨등의 문제에 當面하였고, 따라서 예술을 더 이상 순수 조형 행위의 場으로서만 존재할 수 없게 만들었다.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되고 자아와 세계와의 교류가 불안한 상황에서 예술가들은 인간이나 현실 나아가 예술자체에 대한 본질적 탐구에 주력하였고, 이러한 의식과 함께 생각하고 행동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을 주축으로하여 美術과 日常과의 境界의 廢止가 現實化 되었다^(1))는 점이다. 결국, 이러한 회화적 경향은 현대사회의 價値觀 變化에 따른 意識의 變遷이라 볼 수 있다. 본인은 이와같은 회화적 맥락 속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人間의 內的 情緖를 모티브로 다루고자 하였다. 즉, 인간 삶의 모습에서 現實을 收用하고 克服해 나가는 人間 存在로서 자연과 현대에 존재하는 인간과의 調和를 追求하며 새로운 질서 회복을 통한 生의 希望을 回復하고자 하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실 상황의 극복을 위한 일환으로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한 관심은 본인의 작품제작에 있어 구체적 형상을 통한 표현에서 내면적 필연성을 추구하는 無대상적인 抽象作業까지 다양한 摸索을 전개하게 하였다. 방법적으로는 人間의 內面世界를 表出하고자 하는 본인의 抽象 意志를 바탕으로 墨을 採擇, 보다 토착적이면서 뿌리를 지닌 회화 형식으로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대의 복합적 미감과 상황의식속에서 먹이 갖는 풍부한 表現性과 高度의 精神性이라는 可能性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現代"라는 時代的 狀況을 認識하고 진정한 자신의 의미를 찾기 위해 인간의 내적 이미지 표현을 연구하였고, 본인의 이러한 내적 이미지 표현에 있어 먹을 쓰는 당위성을 서술하고, 먹이 갖는 풍부한 표현성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본인의 연구가 그 동안의 작품 제작 과정에서 느낀 반성과 성찰을 통한 近間의 作品製作에 根據를 두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작업을 하나의 제작과정으로 연구함으로써 본인의 회화관을 재정립, 이를 계기로 앞으로의 제작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1 Ⅱ. 本論 = 3 A. 時代的 狀況에 의한 現代藝術狀況 = 3 B. 作品製作의 表現樣式 = 4 1. 墨의 抽象性 = 4 2. 繪晝에 표현된 入間의 이미지 = 6 C. 作品에 있어 人間의 內的 表現 = 8 1. 作品方向 = 8 2. 表現方法 = 9 Ⅲ. 作品分析 = 11 Ⅳ. 結論 = 23 參考文獻 = 24 ABSTRACT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71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간-
dc.subject내적 표현-
dc.subject작품-
dc.subjectworks of art-
dc.title作品을 통한 人間의 內的 表現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Expression of Man's interior through works of art-
dc.format.page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