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현대 한국춤의 주제와 표현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Title
현대 한국춤의 주제와 표현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ymbolism of Subjects and Expressions in Korean Modern Dancing
Authors
정난숙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국춤상징성주제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1980s of the Korean creative dancing could have seen its quantative expansion and qualitive improvement with the continuous efforts to "modernaize Korean dancing". Such an effort has a tendency to have the geners like Korean dancing, ballet, and modern dancing indistinct one another and to collapse the originality the Korean dancing has maintained. The effort to modernize Korean dancing is said not only to highlight the development of dancing vocabularies and its symblolic techniques and the variety of its subjects but also to popularize the art of dancing, by not employing what belong to others but what belong t o us, in other words, hardworkingly grading up our Korean emotion. Taking the cultural festivals of both the '86 Asian Game and '88 Seoul Olympic the opportunity, more people come to see the dancing performance increasingly and thus dancing art come to emphasize the popularization of dancing. The popularazation of dancing is thought to be important in that it is a kind of aesthetics formed by dancers and spectators together, As such, the important matters for the Korean dancing are to take more various, fresher, and wider subjects instead of limited ones, to develop new symbolically expressional techniques, to improve unique dancing vocabularies for dancers, and to pay critical attention to the object of works. The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modern dancing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dancing from its birth to the present growth and looks into the trend of choosing subjects in the works shown in the R.0.K Dancing Festivals (from the first to the 11th events) and the Korean Dancing Festivals (from the first to the 7th events) which have had influence on the dancing creation activities in the 1980s.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with the aid of such an approach, to find ou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Korean danci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main stream of the modern Korean dancing and to grasp the roles of dancers and the importance of subjects which tell the perception world of the dancers themselves. For the free and creative works, a variety of subjects instead of limited subjects should be introduced to expand expressional vocabularies and any it must be understood that a trend which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social situations only for the expansion itself is not developmental. The findings of analyzing the R.O.K Dancing Festivals and the Korea Dancing Festivals show the fact that they are the ones not to be ruled out from the modern dancings performed in the future but to be treated more widely and expanded further: for these reasons, they should be studied methodologically though the Western subjects or any social subjects which do not often employed in the modern Korean dancings have a weak point that they cannot lead themselves to the Korean disposition. With the review of the subjects, the subject, contents, forms, expression technique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 and which show symbolic expression and form smooth and common feelings with spectatiors are analyzed on the bases of literatures of critics and dancers to study the methods of communicating their messages, which are hop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s of modern Korean dancing.;80년대의 한국창작무용은 양적인 팽창과 질적인 향상을 수반하고 동시에 "한국무용의 현대화" 작업을 꾸준히 시도해 오고 있다. 이러한 작업으로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의 장르가 불분명해지고 한국무용의 독자성이 무너지는 추세를 보였다. 한국무용의 현대화작업은 새로운 춤언어개발과 상징적 표현 기법, 그리고 주제의 다양성을 부각시키면서 우리 것에 아닌 남의 것을 도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적 정서를 끌어올리는 의지를 수반하여 무용예술의 대중화를 시키는 작업이기도 하다.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문화축전의 계기로 무용관객이 증가되었으며, 무용예술의 대중화에 중점을 두였다. 무용예술의 대중화는 관객과 안무자간의 하나의 공감대 형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한국춤은 한정된 주제 선정보다 다양하고 새롭고 폭 넓은 주제를 선택하여 새로운 상징적 표현기법을 개발하고 안무자의 독특한 춤언어개발과 작품의 객관성에 촛점을 두는 것에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춤의 개념과 현대춤이 생겨난 배경에서 현대한국춤에 이르기까지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며 80년대에 들어 무용창작활동에 영향을 끼친 대한민국무용제 (1-11회)와 한국무용제전(1-7회)에 출품된 작품들을 통하여 주제별 선택경향을 파악하고 현대 한국춤의 흐름을 인식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 해결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안무자 자신의 의식세계를 말하고 있는 주제의 중요성과 주제에 따른 안무자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유로운, 창작을 위해서는 한정된 주제보다는 다양한 주제로서 표현언어를 확대해 나가며 주제 확대의 필요성으로 사회현상을 외면하는 경향은 발전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무용제와 한국무용제전을 분석해본 결과 현대 한국춤에서 잘 다루지 않는 사회적인 주제와 서양적인 주제는 한국적인 심성으로 끌어올리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앞으로 현대 춤에서 제외시켜서는 안될 주제들로 다양하게 다루어 확대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면서 상징적인 표현기법을 나타내고 관객과의 원활한 공감대를 형성한 작품 <흰새의 검은 노래> <민들레 왕국> <메아리 애가>의 주제와 내용, 구성, 표현기법 및 구성상의 특징 등을 평론과 언론의 반응을 토대로 분석하여, 메세지 전달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논문에서는 현대한국춤창작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