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은미-
dc.creator장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49-
dc.description.abstract국민학교는 창의적이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기초교육 기관으로서 학생으로 하여금 자율적인 분위기 속에서 풍부한 학습경험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을 가르치는 전문가이므로 학문연구와 학급경영 등 교육활동에서의 자율성이 교사에게 주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국민학교 교사가 교직에서 인식하는 자율성의 정도를 교사의 과업별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고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동해서는 '자율'의 의미와 유래 및 교육적 의미의 자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서울시내 24개교의 공·사립 국민학교 교사 4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질문지를 자료처리하였다. 질문지는 Likert식 5단계 평정척을 사용하여 교사의 과업별 내용으로 작성되었으며 처리는 문항별 빈도분석과 ANOVA(변량분석법)를 통해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사운영과정에서 교사들은 자율성의 정도를 대체로 보통으로 인식하였으나 학교 행사면에서는 자율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2. 교육과정운영에서는 특히 교육내용면에서 교사들이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목표와 평가면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3. 교원인사에 있어서 교사들은 신분상의 문제나 근무평점으로 인해 교육활동이 위축되는 일은 별로 없으며 자기 주관대로 소신껏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수와 교직단체의 자율성에 있어서 교사들은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자율성이 결여된 것으로 풀이된다. 4.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 교사는 학부모와 외부단체로부터 간섭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시설이용에 있어서 교사는 학급비품을 신청할 때 서무과로부터 적극적인 도움을 받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6. 공립학교 교사들은 사립학교 교사들의 생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Today's school education focuses on bringing up creative and adaptable human being in the world of rapid change and expanding knowledge. In the elementary school as an institution for basic education, autonomous environment is required under which children can acquire basic skills and attitude needed in their life through sufficient learning experiences. And, as experts,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for their autonomy in their academic research and the management of the class. In fact, while strict school system may limit the teacher's autonomy, unlimited autonomy is granted in their independent classroom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eachers' recognition of the level of autonomy by the task they carry ou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re analyzed: 1. What are the tasks that require teachers' autonomy? 2. To what extent, teachers think they have autonomy in carrying out those tasks? As the research methods,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field survey and some statistical analyses were utili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 autonomy in general and the autonomy in educational perspectives were studied. And specific tasks for which the autonomy is important are identified. Those tasks were the process of school affairs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the community relationship, and the facilities utilization. Field survey made the use of 411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the teachers o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five-scale method of Likert with advices form outside expert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frequency by question and ANOVA for those data. 1. Teachers think that the degree of autonomy is at medial for the school affairs management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the management of school events. 2. The degree of autonomy is high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particular. But it is not enough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objects and for the evaluation. 3. Teachers are seldom restricted by education activity for personal identity or work performance. So they can work on their tasks as they want. But they think they don't have enough autonomy in taking a training and 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for teachers. 4. There are few interferences by the parents of students and the outside group. 5. In using facilities, teachers think it's difficult to get active help from the general affairs section when they want class fixtures. 6. Public school teachers think that they have relatively less autonomy than private school teachers think they ha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율성 = 6 B. 교사의 과업 = 9 Ⅲ. 연구의 방법 = 26 A. 연구의 대상 = 26 B. 조사도구 = 27 C. 통계자료 처리 =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9 A. 학사운영과정의 자율성 = 29 B. 교육과정운영의 자율성 = 32 C. 교원인사의 자율성 = 40 D. 지역사회관계에서의 자율성 = 47 E. 시설이용의 자율성 = 50 Ⅴ. 요약 및 결론 = 53 A. 요약 = 53 B. 결론 = 55 참고문헌 = 57 부록 = 61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3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교사-
dc.subject자율성-
dc.subject교육행정-
dc.title국민학교 교사의 자율성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Autonomy in Elementary School-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