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남식-
dc.contributor.author안재선-
dc.creator안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643-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selected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aute jump motion. Subject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3 women college ballet dancer. The equipment used for the experiment were 16mm photosonic high speed camera and A.M.T.I. force platfor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to substanti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was appeared that performance time of S_(2) was shorter than that of S_(1) in on-weighting phase and portioned impulse phase, but in free-flight phase S_(2) was longer than S_(1). 2. It was appeared that velocity of center of gravity changed more largely in S_(2) than S_(1) 3. Maximal vertical take-off velocity affected on jump height was larger in S_(2) than S_(1) except subject A. 4. Angular displacement of knee joint changed suddenly in S_(2) more than S_(1), and angular velocity of knee joint change constantly in S_(2) more that S_(1). 5. The slope of curve in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changed suddenly in S_(2) and S_(1). 6. There appeared to be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sideward and forward-backward maximal vertical take-off velocity, but in up-ward it was appeared the larger in S_(2) then S_(1).;본 연구는 무용의 효율적 훈련에 도움이 되고자 발레중 수직 점프를 수반한 동작의 기본이 되는 Saute´ 동작을 숙련자 3명(A, B, C)에게 뒷꿈치에 힘을 많이 가했다가 점프하는 동작 Saute´_(1) (S_(1))과 뒷꿈치가 닿는 순간 점프하는 동작 Saute´_(2) (S_(2)) 두가지를 실행시킨 후 차이점을 운동 역학적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6㎜ 고속 카메라와 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1. 각 동작 단계별 운동수행 시간은 A, B, C 모두 체중 적하단계에 체중충격 단계에서 S_(2)가 S_(1)보다 짧게 나타났고, 공중단계에서는 S_(2)가 S_(1)보다 길게 나타났다. 2. 신체중심의 속도 변화는 S_(1)보다는 S_(2)의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났다. 3. 수직도의 높이를 결정하는 최대 수직이륙 속도는, A를 제외한 B, C의 경우 S_(2)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슬관절의 각도는 S_(1)보다 S_(2)가 더 급격하게 변하였으며, 슬관절의 각속도는 S_(2)보다 S_(1)가 더 일정하게 변하였다. 5. 동작 유형별 지면 반력의 곡선 형태는 수직 지면 반력의 경우 S_(2)가 S_(1)보다 곡선의 경사가 급격하게 변하였다. 6. 점프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수직 반력은 좌우방향과 전후 방향은 차이가 없었지만, 수직방향의 경우 S_(2)가 S_(1)보다 각각 0.01B.W., 0.17B.W., 0.11B.W. 크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緖論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Saute' 동작의 특성 = 5 B. Saute' 동작의 수행 방법 = 5 C. Saute' 동작의 측정 = 7 Ⅲ. 硏究方法 = 10 A. 연구의 접근방법 = 10 B. 피실험자의 선정 = 11 C. 실험 일시 및 장소 = 11 D. 실험 장비 = 11 E. 실험 방법 = 14 F. 자료 처리 방법 = 15 Ⅳ. 結果 및 論議 = 18 A. 동작 단계별 운동 수행 시간 = 18 B. 신체중심의 속도 변화 = 21 C. 최대 수직 이륙 속도 = 23 D. 슬관절의 각도 및 각속도 변화 = 25 E. 지면 반력의 형태 = 29 F. 최대 지면 반력 = 33 Ⅴ. 結論 = 35 참고문헌 = 37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쏘떼 동작-
dc.subject운동 역학-
dc.subjectSaute-
dc.subject.ddc700-
dc.title쏘떼 동작의 운동 역학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Biomechanical Analysis of Saute en premiere-
dc.format.page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