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언어경험접근법에 의한 국민학교 1학년 읽기 지도 프로그램 모형 구성

Title
언어경험접근법에 의한 국민학교 1학년 읽기 지도 프로그램 모형 구성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Reading Guidance Program for 1st-yea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Authors
김애연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언어경험접근법국민학교1학년읽기 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의 초기단계 지도에서 언어경험 접근법을 주장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한 국민학교 1학년 입학 초기의 읽기 지도 활동 프로그램의 모형을 구성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자는 언어경험 접근법의 제이론과 국민학교 제 5 차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읽기의 초기단계에 있는 1학년 아동에게 적합한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경기도 파주군에 위치한 B국민학교 1학년 아동 중 1개 학급 46명을 대상으로 13주간 실시해 본 후 1차 수정하고,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현직 국민학교 교사 12명에게 의견을 물은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정하여 최종적인 읽기지도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 제시하였다. 제시한 읽기의 초기단계 지도 프로그램 모형의 형태는 학습주제 선정, 목표, 활동 조직, 교수학습 원리, 교실 조직, 평가의 순서로 구성되며 그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학습주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 5 차 교육 과정의 국민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과 읽기 단원의 주제와 동일하게 선정하였는데,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단원이 아동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소재를 중심으로 선정되어 있으므로 아동 자신의 경험과 흥미를 바탕으로 읽기학습 능력을 기른다는 언어경험 접근법의 기본개념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아동이 읽기 활동에 즐겨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스스로 읽기 활동에 관심을 갖게 하며 글을 읽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데 두었다. 본 프로그램 모형의 학습 단계는 사고(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창작의 5단계로, 사고(듣기)에는 읽어 주기, 말하기와 쓰기에는 경험이야기 받아쓰기, 읽기에는 어휘 학습과 이해 기능의 학습 및 학급문고와 인쇄물의 활용이 포함되며, 창작에는 노래, 그리기, 놀이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교수학습 원리는 아동들의 언어경험을 중심으로 의사 소통을 위한 언어의 형태, 말하기 및 쓰기의 사용에 강조를 두고 있으며, 평가는 지식보다는 아동의 직접적인 언어 수행 능력에 중점을 두어 실시하였고 평가 결과는 아동 각자의 읽기 능력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 모형에서의 학급 조직은 학습활동의 특성과 아동의 경험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직하였고, 자주 재조정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발견된 사실은, 아동 자신들의 언어를 읽기 교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아동들이 읽기학습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흥미와 즐거움을 가지고 학습 활동에 참여하였다는 점과 비록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한 아동일지라도 책이나 읽을거리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자신들의 이야기인 경험이야기 받아쓰기 및 읽기 활동을 통해 읽기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 의식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학습이라는 고정적인 개념보다는 자연스런 과정을 통해서 읽기능력을 익혀나갔다는 점이다.;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wo-fold. One wa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in guiding children at their earlier stage of reading.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the present study also purported to develop a guidan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the earlier period of their first year. Referring to various theories of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and the fifth-version curriculam of elementary school, a readers' program had been prepared for 1st-yea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the initial stage of read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46 children from a same class of school "B" located at Paju-Gun, Kyongki-do for 13 consecutive week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13-week trial, the program was modified. Then twel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in service critically reviewed the modified program. The review results taken into account, the final version of the readers' program was developed. The readers' program developed here includes 'Selection of Reading Subjects', 'Goals of the program', 'Activity Steps', 'Learning Principle', and 'Evaluation' in their order. The underlying direction of each topic is presented below: The reading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identically with those of the fifth-version curriculam Korean Language textbook currently in use for children at the 1st semester of 1st Grade.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subjects of the textbook currently in use are organized centering on the topics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experiences and interests. And that line of subject selection is 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The goal of the program was to make children read and catch meanings themselves by leading them to enjoy and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The current program is composed of five learning steps - thinking(listening),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creating. The thinking(listening) step was based on "reading for children", speaking and writing on dictation of their own experienced stories, reading on vocabulary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the creating step on singing, drawing and playing activities. The learning principle underlying the program was to put an emphasis on language practice experiences in identifying words, speaking and writing. And the evaluation was focused on children's ability and performance in language practices rather than on their knowledge of words. The evaluation results served to prepare activities appropriately tailored to each child's reading ability. In this program, classes can be flexibly organiz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lass activities and children's experiences and ability. Several important results accrued with the current study. First, since the program employed the children's own language,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with interests and joy, while not overburdened. Second, even those underdeveloped in reading and writing were led to have an interest in books and reading materials. Third, the participating children developed confidence in reading more effectively through dictationing and reading the stories experienced by themselves. Finally, in the current program, the children graded up their reading ability in a more natural process, compared to traditional learning proce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