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저드슨 그룹」의 초기활동과 한국현대무용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저드슨 그룹」의 초기활동과 한국현대무용의 상관관계 연구
Authors
김희진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저드슨 그룹한국현대무용1980년대소극장공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우옥
Abstract
While Martha Graham phenomenon of the American modern dance was rising up In parts of the country In the 1900's, there was a small performance at the Judson memorial Church. This becomes the nether of Judson Movement and their practices becomes an important role in post-modern dance. In Korea, after Nuer Danz, Martha Graham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by Wansoon Yook. And ever since it has encouraged many dancer to do many creative works. It could be said that American modern dance of 1950's is similar to Korean modern dance of 1980's in two ways. One, because of the economical growth, the income level had increased and Materialism had spread all over. So, the poverty of mental state brought the necessity of cultural thirst. Second, Isadora Duncan technique seemed to be losing its light and was beginning to be tied down to a certain structure. So invitably, the dancers wanted something else to show their freedom of body and spirit. According to these two reasons, it can be said that the social envoirment was very similar between 60's of America and the 80's of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I would like to approach some experimental forms of dance and comment about small theatre performances. In chapter 2, I've commented about Judson group's activities through its social envoirment background. The first pack of people who performed were called the 'first term' and the rest the 'second term'. Here, I've noted about the first term. In chapter 3, I've stated the social statis of Korea during the time when modern dance was Introduced and also discussed about the foundation of small theatre performances. I've written about some special performances which carry post-modernism techniques or has special characteristics. In chapter 4, I've compared the tendencies of American post-modern dance and Korean modern dance and discovered following problems of the small theatre performances. First, the choreographer must have his/her own philosophy and an objective point of view in dancing. Second, he/she must entangle dancing Imaginations with special and theatrcal imaginations in order to do the best structure work of performance in a small theatre. I hope this thesis will help the trend of small theatre works and the solution made here should become sufficient.;1960년대 미국현대무용에서 탈(脫) 마사 그라함적 현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저드슨 교회(Judson, Memorial Church)에서는 비교적 작은 공연이 올려지게 되었다. 이것은 후일 미국 후기 현대 무용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인식되는 저드슨 운동이며 이들의 활발한 실험작업은 미국의 후기현대무용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다. 한국에서는 신무용(新舞踊) 이후 육완순에 의해 미국의 마사 그라함(Martha Graham)의 무용기법이 소개되었고 이후 꾸준한 창작활동과 더불어 현대무용의 새로운 지표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나타나고 있는 한국의 현대무용의 경향은 1960년대 미국의 후기 현대무용 상황과 여러가지 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우선 두가지로 요약해 보면, 첫째 경제적 부(富)의 축적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물질적 풍요로움이 팽배해 짐에 따라 정신적인 빈곤과 더불어 그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문화적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는 유사한 시대적 현상을 들 수 있다. 둘째, 발레의 정형성에 반발하여 인간신체의 자유로운 해방을 기치로 내세운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의 춤으로 부터 시작된 현대무용이 마사 그라함(Martha Graham)의 무용기법에 의해 점점 정형화된 틀로 고착됨에 따라, 또 다시 신체 표현 욕구에 대한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대두되기 시작한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현대무용 역시 점차 마사 그라함 테크닉으로 부터 벗어나 새로운 움직임을 추구하는 일련의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두가지 측면은 미국의 후기 현대무용과 1980년 이후 시작된 한국의 소극장 현대무용을 살펴봄에 있어 공통된 맥락으로 여겨지는 점들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미국후기현대무용의 대표적 실험활동으로 불리는 저드슨 그룹 저드슨 그룹 (Judson Group)의 초기활동과 한국의 소극장무용의 성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저드슨 그룹의 활동을 통하여 당시 미국 후기 현대무용의 흐름을 파악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제1회 공연에 참가한 공연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과 특성을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한국현대무용의 시대적 배경과 아울러 소극장 현대무용의 성립을 알아보고, 1980년 이후에 소극장을 통하여 공연된 작품들 가운데 몇가지 특징적 성향을 보이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미국의 후기현대무용과 한국 소극장 현대무용의 성향 비교를 통해, 한국의 소극장 현재무용공연이 지향해야 할 몇가지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소극장 무용에 있어서 안무자의 철학과 주관적 인식의 정립이 요구된다. 둘째, 소극장에 적합한 무용의 구상과 공간에 대한 분석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들을 제기해 봄으로써 본 논문은 향후 전개될 한국 소극장 현대무용의 흐름에 발전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