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옥라-
dc.contributor.author조혜란-
dc.creator조혜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4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4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도시빈민 현실과 연구와의 괴리 가운데 특히 '여성' -여성중심:현실가족생활:남성중심:연구 및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을 시발로, 구체적인 사례를 점검, 이 '여성'을 도시빈민의 중심에 위치지우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금까지 여성연구가 생활세계에 치중하여있거나 혹은 도시빈민 각 주요 영역들에 단절적으로 분석되어있는 것에 주목하여, 도시빈민 연구영역과 생활영역을 단위로 총체척인 분석을 해보고자 의도했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먼저 연구의 배경은 현실과 연구로 각각 나눠, 현실적 배경에서는 파행적 산업화, 도시화의 결과로써 창출된 이농민 중심 도시빈민 가족생활에서의 여성중심성 및 그 제한성을 살펴보고 주로 남성인 '가구주' 중심 기존 연구의 실천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리고 논의를 위한 설명들은 성별분업을 기초로 점검했다. 또한 이 설명들을 중심으로 일상생활과 주민운동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의 역할 관계 및 태도가 어떤 형태를 띄고있는가, 남녀활동의 특성, 정체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 성별분업적 남녀역할이 각 영역에서 어떤 제약성을 지니는지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평가에서는 이상 논의를 토대하여 결론 및 실천적 대안모색을 간략히 점검해왔다. 주요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상생활에서는 가족일 경우 여성:부인, 주부:남성:주인, 가장이란 구도하에 여성은 사회구조적 심리적으로 제약되어 생산, 재생산을 전담하거나 남성과 제한적으로 분담한다. 지역단위로는 통반장 등 공식조직:남성, 부업, 계 등 비공식 연결망:여성으로 분리된 채 여성이 지역생활을 주도한다. 그리고 이런 조건하에서 여성들은 자녀세대 성차별의 재생산자가 되기도 한다. 또한 소득활동영역에서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제약은 여성전담가구의 생활을 더욱 열악하게 한다. 이와 더불어 여성간 관계에서는 개별 가족의 이해가 우선이라는 제약 속에 여성 부정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한편 주민운동과정에서의 남녀간 참여형태 역할 태도 그리고 관계들은 일상생활의 남녀간 기본구도를 보다 확연히 보여준다. 소위 '합법'인 가옥주 조직에서는 남성:대표 및 조직원, 여성:주부 혹은 공식 조직활동의 '간섭자'로 세입자 조직에서는 가옥주 조직과 유사한 구도 하에 조직활동에서 여성:주도, 남성:지도가 뚜렷하다. 또한 각 조직 내 투쟁기간에도 여성은 여전히 재생산영역을 합당하여 개인적으로는 여성의 활동이 가중됨과 동시에 조직적 역량 또한 약화되기도 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조직활동을 통해 주부의식을 강화하며, 여성간 위계 보이기도한다. 이상 두 영역을 비교, 점토해보면 <여성-주부>, <남성-가장>이란 기본구도하에 남은 변화되는 지위체계를 보이는 반면 여성은 가족 내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들의 경우, 점차 위계적 공식 지위체계로 접근하고 있음에 반해 여성의 경우 '주부'라는 위치에 여전히 머물러 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남너의 주인 주부의식이 투쟁과정에서 점차 강화되기도 한다. 이처럼 사회적 지위가 계속 가정에 머물면서 '주부의 도리'로 가족생활을 위해 하는 여성들의 활동의 결과물은 결국 가장인 남성에게 귀속되며 여성의 활동 또한 '주인' 남성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한 것이 되고만다. 그러나 여성들은 이런 제약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빈곤한 가족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여성들은 가족생활의 유지자로서 결과적으로 가족이기주의의 핵심이 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전체평가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주요 결론을 도출했다. 그리고 이와같은 도시빈민 현실이 남녀 양 성간의 문제로만 귀속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리고나서 지금까지를 기초로 부부단위의 제도적 보장장치 및 의식화의 필요성을 점검했다.;This thesis is begun from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a different perspective on urban poor women. So the concrete cases were examined one by one and that tried to place women in the center of the study on the urban poor because up to now the studies on urban poor are inclined toward the daily life or discontinuously analyzed the main area on the urban poor. Therefore it is tried to analyze, on the whole, the studies of the urban poor and the every day life. The conclusive summary of this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The analytical frameworks are based on the women's centrality in the urban poor family which had given up farming owe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on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showed in the center of male householder at the urban poor family. According to these frameworks, it is examed how different the rel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role and behavior are in daily life and the process of the inhabitants' struggle movement. The conclusion is that women not only took charge of the main role o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in every day life, but also were restricted Psychologically or social structually by the concept of man=bread winner, woman=housewife. It is divided into, especially by regional unit, formal area=man, informal area=female hut women initiated to lead the regional society. This phenomenon of sexual heirachy, however, is resulted from the sexual division of work and under this conditions, women were internalized, reproduced and taught it to her daughter and son Also in the struggle against the clearing of slums, it is showed evidently how different the relation between man's role and woman's and behavior are more than every day life. In formal organization of a landlord, it is showed that man is a representative or a member init but woman, a housewife or an interferencer. However in informal organization of tenants, woman took the initiative, man being inclined to lead it. And in the process of the struggle, women were placed in charge of the area of reproduction so that this overwork weekened woman's abilities in organizing. Some conclusions are followed. First of all, it is found out to be maintained the basic system of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man is a breadwinner woman, housewife. Second, according this system, man is always accepted as a house holder in every aspect, but woman in defined as a housewife in the relation of her husband. Third, without any concrete opportunity, woman could not overcome the false consciousness which was forced to accept woman's role but not emancipate from the oppression in real life. In spite of these conclusions, some questions are followed. That is, what's the relation between sex discrimination and poverity? What's any relation between sex/gender and class? These relations are too important to ignore. But from this analysis,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 and ethnography, the overcome of the sex discrimination could not lead to relieve the poverty. So that some suggestions are re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the family representation system in the center of householder changes into a couple one and organized a joint householder representation system as a, social apparatus system. Second, the work of conscious raising for women should be proceded to overcome the false consciousness of housew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우리말 줄임글 = Ⅴ Ⅰ. 머리말 = 1 가.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 1 나. 연구의 범위와 절차 = 3 Ⅱ. 연구의 배경과 분석틀 = 4 가. 연구의 배경 = 4 나. 분석틀 = 14 Ⅲ. 조사방법과 지역 개관 = 21 가. 조사방법 = 21 나. 조사지역 = 28 Ⅳ. 지역내 일상생활 = 39 가. 가족 생활 = 39 (1) 가사노동 : 집안 일 = 39 (2) 가족 관계 = 43 (ㄱ) 가족 = 43 (ㄴ) 부부 관계 = 44 (ㄷ) 부모-자녀 관계 = 47 (3) 경제활동 = 49 나. 지역생활 = 54 (1) 공식조직 = 55 (2) 지역사회 연결망 = 58 다. 소결 = 69 Ⅴ. 주민운동 = 71 가. 주민운동의 형성배경 = 72 (1) 재개발과 주민분화 = 72 (2) 주민분화와 주민조직 = 74 (3) 주민운동과 여성 = 75 나. 재개발 추진위원회 (이하 추진위 약칭) = 77 (1) 집행부의 참여세력 = 78 (2) 여성의 참여 = 81 (ㄱ) 참여의 계기 = 82 (ㄴ) 여성 참여의 영향 = 84 다. 세입자 대책위원회 (이하 세대위 약칭) = 85 (1) 세입자조직의 결성과 여성 = 87 (2) <여성:주도> <남성:지도> = 89 (ㄱ) 여성중심 조직의 형성 (1987.8.16~12.27) = 90 (ㄴ) 남성임원의 등장 (1988.2.1-6.14) = 101 (ㄷ) 남성들의 부상 (1988.6.15-11.18) = 108 (ㄹ) 여성과 남성 (1988.11.19-1989.9. ) = 112 (3) 운동의 결과 = 117 라. 소결 = 119 Ⅵ. 전체평가 = 123 * 도움받은 글 = 128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609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재개발지역-
dc.subject주민운동-
dc.subject일상생활-
dc.subject여성-
dc.subject.ddc300-
dc.title도시재개발지역내 일상생활과 주민운동에서의 여성과 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사당2동 사례분석-
dc.format.page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