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영희-
dc.creator최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0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026-
dc.description.abstractHuman beings are Homeothermie and normally their coretemperature either by increasing heat production or by heat dissipation. But heat loss during anesthesia occurs because anesthetics depressant render inefficient temperature regulating mechanisms of the body. Cutaneous vasconstriction is inhibited by anesthesia while muscle relaxants prevent shivering for heat production. Also heat loss during anesthesia is influenced by low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humidity, by the infusion of cold fluid and blood, ventilation With cold gases and exposure of body cavities. Hypothermia defined as core temperature below 36℃ has cardiovasular, neurologic, hematologic, immunologic and metabolic effects. It can also affect body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Especially hypothermia in the period after surgery may be responsible for excessive shivering whitch increase the consumption of oxygen and con tributes to arterial hypoxemia.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hypothermia can be directly related to patient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base line data for further preventive and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res each related toward temperature regulation and relief of postoperative hypothermia discomfort.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how patient's temperature are measured during surgery and recovery and their actual temperature change during surgery and recovery and time needed for return to normal after surgery. Sixty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classified as twenty heat lamp, twenty circulating water blanket and twenty control group. Body temperature were recorded every ten minutes after induction measuring lower third esophageal temperature and axillary temperature were measured after trasfer to recovery room.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AS computer statistical program.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and the time for recovery normal were presented by Mean ± SD,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show the relations on body temperature decline during surgery, duration of anesthesia, amount of infused fluid, body surface and 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ypothesis that "The time for body temperature recovery with heat lamp group will be shorter than with circulating water blanket group" was surpported (P= 0.001). The degree of surgery patient's body temperature decline will be related to anesthesia time, infused fluid during surgery, body surface, and age was surpported only by body surface(P= 0.01). The results of research suggest that adult patient during surgery and recovery need nursing care for the prevention of hypothermia. Thus body temperature should be monitored during surgery and recovery. It cal be used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from discomfort related hypothermia. Therefore heat lamp is recommended to hypothermia patient after surgery.;인간은 환경의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내부온도를 유지하는 항온 동물이다 (Erickson 1982, Guyton 1986, Reuler 1978, 차영선 1971). 전신마취하에서 수술을 받는 환자는 마취약제로 체온조절 중추의 기능이 저하되고 말초혈관의 이완 및 근이완제에 의한 떨림의 억제로 열보존 반응이나 열생산 반응이 일어날수 없어 체온조절이 어렵다. 더욱이 낮은 수술실의 온도, 차가운 수액 및 혈액제의 정맥내 주입, 과도한 신체부위의 노출, 개복 수술시 체강의 노출, 차가운 세척액, 휘발성 소독액으로의 피부준비, 그리고 세척액이나 혈액으로 젖은 소독포와 차고 건조한 흡입 마취가스 등으로 열손실이 일어나 저체온 상태가 되기 쉽다(Goldberg & Roe 1966, Pflug 1978, Vaughan 1981, Rodriguez 1983, Slotman 1985, White 외 1987, 김철규 외 1988, 이상도 외 1988). 저체온 상태에서 인체는 심부체온을 유지하기위한 기전으로 말초혈관 수축, 전율 및 홀몬 분비를 통한 대사율 증가등으로 산소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되고 이산화탄소생성 증가와 젖산등의 노폐물이 축적되어 산염기의 불균형 상태를 야기한다. 저체온이 지속되면 심근의 감수성 증가, 호흡중추의 억제, 산소의 친화력 증가, 혈액의 점성도 증가, 말초혈관의 혈류장애 등이 발생되어 마취와 수술로부터의 회복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저산소증으로 죽음을 초래할수 있다 (Vaughan 1981, Reuler 1978, Rodriguez, 1983, White 1987). 또한 전율시에는 근육의 긴장과 떨림으로 인해 불편감을 나타낸다(Pflug 1978). 이와같이 수술시나 수술후 저체온 발생이 높고 그 부작용으로 회복지연과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문헌과 연구는 수술과 회복시 호흡과 심맥순환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체온에 관한 연구도 체온조절 기전이 미숙한 노인(Vaughan 1981, White외 1987, Cooper 1983)이나 영유소아(Roe 1966, Goudsouzion 1973, Natio 1974, Stephen 1969)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인은 수술대상자중 대다수를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이나 영유소아에 비해 신체적 기능면에서 우세하다는 이유로 관심의 초점이 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저체온으로 인한 불편감이나 저체온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에 대한 규명이 미비한 실정이므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로 인한 저체온에 대한 간호중재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는 의의 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서울시내 위치하는 일 종합병원을 택하여 전신마취하의 성인 수술환자의 수술후 저체온에 대한 간호중재로서 가온 램프와 전기순환물담뇨(Circulating-water blanket)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설계는 수술후 열요법을 적용한 집단과 열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1992년 3월 2일부터 동년 4월 10일까지 K 대학 부속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성인환자를 임의표출하여 가온램프군 20명, 순환물담뇨군 20명, 대조군 20명으로 나누어 열요법을 적용하였고 체온은 Hewllet Packard사 모니터로 수술중에는 식도하1/3 부위에서, 수술후 회복실에서는 액와로 측정하였다. 그외 대상자의 제특성과 정상체온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에 의하여 대상자의 제특성, 체온변화정도 정상체온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 수술중 체온하강 정도와 마취시간, 수술중 주입된 수액량, 체표면적,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위해 Pearson Correlat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각 집단간의 차이분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가설, "수술후 저체온 환자에게 적용한 열요법중 가온램프 적용집단이 전기 순환물담뇨 적용집단보다 정상체온 회복 시간이 짧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01). 대상자의 수술중 체온하강 정도와 마취시간, 수술중 주입된 수액량, 체표면적, 연령과의 관계에서 체온 하강 정도는 체표면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수술후 저체온환자의 열요법중 가온램프 적용이 수술후 체온회복 시간을 빠르게 하며 체표면적이 클수록 체온하강도가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수술후 회복실에서 저체온환자의 보온과 안위를 위한 간호중재로서 가온램프의 열요법 적용과 체온 측정이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Erickson의 온도적응 모델과 체온조절 기전 = 7 B. 저체온의 예방과 간호 = 13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 설계 = 18 B. 연구 대상 및 기간 = 18 C. 연구 진행 = 19 D. 자료 수집 방법 = 21 E. 자료 분석 방법 =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4 B. 수술중 체온변화 = 25 C. 수술중 체온하강 영향요인 = 27 D. 가설 검증 = 28 Ⅴ. 결론 및 제언 = 31 A. 결론 = 31 B. 제언 = 32 참고문헌 = 33 부록 = 44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11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정상체온회복-
dc.subject열요법-
dc.subject수술-
dc.subject연구-
dc.title수술후 정상체온 회복을 위한 열요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the heat therapy in the post operate hypotherma-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