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1 Download: 0

기관절개술 환자의 호흡기계 병원감염에 관한 연구

Title
기관절개술 환자의 호흡기계 병원감염에 관한 연구
Authors
장보경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기관절개술호흡기병원감염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The increase in size and numbers of general hospitals in the process of conspicuous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has been accompanied by a serious increase in hospital acquired infections. Hospital infection heightens the danger of multiple reinfections related to prolonged periods of hospitalization causes pain and discomfort, may threaten life, adds an economic burden, and delays recovery and return to society. In addition, these problems have implications for nurses' ethical responsibilities. Even though respiratory hospital infection rates resulting from tracheostomy and respiratory inhalation therapy, may be low, they are serious because of their bad prognosis and high mortailty rat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certain aspects of respiratory infection of patients with a tracheostomy and thus provide baseline data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preventive or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colonization in the trachea, clinical signs, infection rate, type of colonized bacteria and senstivity to antibiotic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November 20, 1989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ubjects were 15 patients with a tracheostomy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or Cerebral Vascular Accident Centre. Respiratory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using a checklist based on previous study outcomes. Bacterial culture, sensitivity test to antibiotics, WBC counts and Chest X-ray were also performed Cultures were done on the day of tracheostomy, and on the third, fifth and seventh days; by which all 15 patients tested positively for at least one colonization. Cultures were then done once a week for four weeks after the first colonization. Data were analized for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number of bacterial cultures done on the 15 subjects was 52. The incidence of bacteria colonization was 32 (61.54%); 7 (46.66%) on the day of tracheostomy, 6 (40.0%) on the third day, and 2 (13.33%) on the seventh day. In only two instances (16.67%) were colonies of mixed growth isolated, both on the day of tracheostomy. 2. The observed clinical signs were high fever 3 (20.0%), Leucocytosis 12 (80.0%), infiltraction seen on chest X-ray 6 (40.0%) purulent secretion 2 (13.33%). 3.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to tracheostomy; without clinical signs colonization 9 (60.0%), tracheobronchitis 1 (6.67%), and pneumonia 5 (33.33%). 4. The total number of types of bacteria isolated among the 15 subjects was 38; gram ?? 9 (23.68%), gram ?? 28 (73.68%), and normal flora 1 (2.63%). The dominant bacteria type was staphylococcus aureus 15.80% for gram + and Pseudomonas 31.58% for gram -. 5. The sensitivity tests done on 12 antibiotics showed that gram -, especially the Pseudomonas were all resistant to six types of antibiotics, and 83.3% of the staphylococcus was resistant to six kinds of antibiotics. 6.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to use of antibiotics: Pneumonia in 5 (38.46%) and colonization alone in 7 (53.85%) were observed among the 13 patients on antibiotics for preventive medication, but colonization alone in the two patients not on antibiotics. 7. Respiratory infection related to use of a mechanical ventilator of the 10 patients not on a mechanical ventilator, nine had colonization alone and one developed pneumonia. Among the five patients on a ventilator, four developed pneumonia. The dangers of infection for patients with tracheostomies and on ventilators appear to be serious. Priority for research directed to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se respiratory infections is indicated.;현대의학의 발전에 따른 병원의 대형화, 수적증가는 국민건강에 공헌하는 바 컸지만 한편으로는 병원감염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병원감염은 입원당시 감염증상(잠재적 증상 포함)이 없었던 환자가 입원후 감염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환자들은 처음의 건강문제와는 다른 2차적인 합병증으로 입원기간의 연장, 신체적 고통과 회복지연, 경제적 부담등의 불이익을 감당하게 된다. 이러한 병원감염은 주로 의사·간호사의 손이나 호흡기를 통한 직접감염과 기구 물품등을 통한 간접감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병원의 무균적 처치와 위생관리로 예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병원환경이 각종 병균을 보유하고 있는 환자가 주로 모이는 장소이고 환자 자신이 저항력과 방어력이 약한 질병상태에 있는 관계로 완전 근절 내지 예방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호흡기계 병원감염은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나 호흡기계 흡입요법등을 받은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발생빈도는 낮으나 예후가 나빠 사망률은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가 입원으로 인해 병발되는 호흡기계 감염 현상을 파악하여 병원감염의 심각성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를 계획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절개술 환자의 기관지내 세균의 균집락화 정도, 호흡기 관련 임상증상 및 감염율, 감염원인균종 및 분리된 균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1989년 7월 1일부터 1989년 11월 20일까지 A대학병원 중환자실과 뇌졸증 센터에 입원하여 기관 절개술을 실시한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호흡기 관련 임상증상은 선행 연구결과의 문헌 고찰을 통해 checklist를 작성하여 관찰하였고 세균 배양검사와 항생제에 대한 내성검사와 백혈구수 측정, 흉부 X-ray 촬영이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15명의 평균 관찰일 수는 14.53일이었고 총 균배양 횟수는 52회였으며 이 중 균이 검출된 회수는 32회(61.54%)였다. 기관절개술 제1일에 균이 검출된 예는 7명(46.66%)이었고 제3일에 6명(40.0%),제7일에 2명(13.33%)이었다. 제1일에 처음균이 검출된 예 중 2명(13.33% )만 2종류의 균이 동시에 분리되었다. 2. 기관 절개술로 인한 호흡기계 감염율은 단지 세균집락화만 있었던 예가 9명(60.0%), 농성분비물을 포함한 임상증상은 있었으나 폐침윤 소견이 없었던 예(기관기관지염)가 1명( 6.67%), 폐렴증상이 관찰된 예가 5명(33.33%)이었다. 3. 기관 절개술 환자 15명에서 분리된 총 균수는 38회였으며 이를 그람 양성균이 9회(23.68%), 그람 음성균이 28회(73.68%), 정상균총이 1회(2.63%) 분리되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에는 Staphylococcus aureus가 15.80%, 그람 음성균 중에는 pseudomonas aureus가 31.58%로 가장 많았다. 4. 감염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 검사 실시결과 Staphylococcus는 11종류의 항생제 중 6종류에 대해 83.3%이상 내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 특히 pseudomonas는 12가지 항생제 중 6종류에 대해 전예에서 내성을 보였다. 5. 항생제 사용유무별 호흡기계 병원감염은 항생제를 사용치 않은 군 2명은 모두 단순한 균집락화만 관찰되었으나 항생제를 사용한 13명중 5명(38.46%)에서 폐렴이 관찰되었고 7명(53.85%)에서는 단순히 균집락화만 관찰되었다. 6. 인공호흡기 사용유무별 호흡기계 병원 감염은 인공호흡기를 사용치 않은 군의 10명중 8명(80.0%)에서 단순한 균집락화만 관찰되고 1인에서 폐렴이 관찰되었으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군 5명 중 4명(80.0%)에서 폐렴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파악된 기관절개술 환자의 호흡기병원감염 현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1) 기관절개술 실시 환자는 전예에서 1주일 이내에 기도내 균집락화가 이루어지며,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고 있다. 2)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균집락화는 물론 폐감염 임상증상까지 동반하고 있고 3) 분리된 병원균은 반수이상이 이미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고 있으며 패혈증등을 유발하는 그람 음성균으로 균교대현상을 나라내고 있다. 4) 인공호흡기와 같은 호흡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폐염발생율이 8배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병원감염은 상당히 심각한 단계로 이미 항생제로 조정하기는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와 모든 병원종사자들의 병원감염에 대한 인식과 무균적 처치를 통해 대상자가 입원으로 인해 초래되는 불이익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