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준우-
dc.contributor.author姜美淑-
dc.creator姜美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81-
dc.description.abstract담즙산염 (bile salt)과 Sodium Dodecylsulfate (SDS) 가 이루는 혼합 미셀의 형성 및 이의 물리화학적 성질들을 연구하였다. 담즙산염/SDS혼합 미셀의 임계미셀농도를 표면 장력법으로 측정하였고, 형광 정류 상태 소광법에 의하여 평균 회합체수를 관찰하였으며, Pyrene 과 Bis(1,3-pyrenyl)propane 을 표지물로 사용하여 미세 극성도와 미세 점성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담즙산염은 Sodium Deoxycholate 와 Sodium Cholate 이다. ^(2+)_(3)담즙산염과 SDS가 이루는 혼합 미셀의 임계미셀농도는 이상적인 혼합에 대하여 음의 편차를 보였으며, 인력 파라미터 (β)는 NaDC/SDS와 NaC/SDS 계에 대하여 각각 -1.5, -1.9로 얻어졌다. 발광 소광법에 의한 단일중 미셀의 경우 NaDC, NaC 그리고 SDS 는 각각 11, 9, 72 개로 얻어줬으며, 혼합 미셀의 평균 회합체수는 미셀의 조성(몰분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혼합 미셀의 미세 극성도는 담즙산염의 몰분율이 증가할 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미세 점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NaC/SDS외 경우는 α^(NaC)가 0.7 이상에서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Ru(Me_(2)bpy)^(2+)_(3)의 발광 파장 이동 및 Pyrene과 Bis(1,3-pyrenyl)propane의 형광 성질 관찰로부터, 담즙산염/SDS 혼합 미셀이 α_(bile sait)=0.7-0.8 부근에서 SDS 와 비슷한 형태에서 담즙산염에 가까운 형태로서의 구조적인 전이가 일어남이 추측되었으며, 대략적인 미셀 형태를 제시하였다. NaDC는 1차 미셀들간의 회합에 의하여 pH 7.3, 0.2M NaCl 인 용액에서 NaDC의농도가 높을때 2차 미셀을 형성하였으며, 형성된 2차 미셀은 SDS와 NaC를 첨가시 파괴되었다. 이는 NaDC외 2차 미셀 형성에 있어서, 1차 미셀의 구조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Mixed micellization between bile salts and Sodium Dodecylsulfate (SD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celles have been studie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mean aggregaation number, micropolarity and microviscosity of the mixed micelle were determined by surface tension, fluorescence steady state quenching method, pyrene and bis(l,3-pyrenyl)propane probed luminescence studies, respectively. Cmc of the bile salt/SDS mixed micelle showed negative deviation from ideality. The interaction parameter (β) wewe about - 1.5 and - 1.9, respectively for NaDC/SDS and NaC/SDS sytemes. Aggregation numbers of the the mixed micelle varied lineary with the mole fraction of bile salt (α_(bile salt)) in the surfactant mixture. The micropolarity decreased steady with the increasing mole fraction of bile salts, while the microviscosity increased with α_(bile salt) However sharp decrease in microviscosity was obseved when α_(NaC) exceeds 0.8 . Dependance of emission behaviors of Ru(Me_(2)bpy)_(3)^(2+), pyrene and bis(l,3-pyrenyl) propane an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tant mixtures indicated a structural change of the micell at about α_(bile salt)= 0.7 - 0.8. A schematic models for the structure of micelle were proposed. At high concentration of NaDC, the bile salt formed the secondary micelle at pH 7.3 and 0.2 M NaCl. SDS as well as NaC distruped the secondary micellization of NaDC,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e of primary micelle for the secondary micel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실험 = 6 Ⅱ-1. 시약 및 시약의 정제 = 6 Ⅱ-2. 실험 방법 = 6 Ⅱ-2-1. 완충 용액 및 용액의 pH = 6 Ⅱ-2-2. 표면 장력 측정 = 6 Ⅱ-2-3. 혼합 미셀의 평균 회합체수 결정 = 7 A. 용액의 제조 = 7 B. Ru(Me_(2)bpy)_(33)의 발광 및 9-MA에 의한 소광 = 7 Ⅱ-2-4. 혼합 미셀의 미세 극성도 측정 = 8 Ⅱ-2-5. 혼합 미셀의 미세 점성도 관찰 = 8 Ⅱ-2-6. 점성도 측정 = 8 A. NaDC의 2차 미셀 형성 = 8 B. SDS와 NaC 첨가에 따른 8 mM NaDC 용액의 비점성도 관찰 = 9 Ⅲ. 결과 및 토의 = 10 Ⅲ-1. 혼합 미셀의 임계 미셀 농도 = 10 Ⅲ-2. 혼합 미셀의 평균 회합체수 = 18 Ⅲ-3. 혼합 미셀 내부의 극성 관찰 = 25 Ⅲ-4. 혼합 미셀의 미세 점성도 관찰 = 28 Ⅲ-5. NaDC Gel 형성 및 NaC, SDS 첨가 효과 = 33 Ⅳ. 결론 = 36 Ⅴ. 참고문헌 = 37 ABSTRACT = 41 부록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56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담즙산염-
dc.subjectSodium Dodecylsulfate-
dc.subject혼합미셀-
dc.title담즙산염과 Sodium Dodecylsulfate간의 혼합미셀형성 및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화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화학·나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