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창극의 변모 과정과 그 성격

Title
창극의 변모 과정과 그 성격
Authors
白賢美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창극변모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호순
Abstract
1900년대 초에 판소리의 공연방식이 변화하면서 형성된 창극은 다양한 변화를 하면서 오늘날까지 공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창극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창극이 지닌 연극사적 성격에 접근해보았다. Ⅱ장에서는, 창극형성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창극형성의 내적 배경으로는 판소리의 담당층과 수용층이 지역과 신분을 넘어서서 광범한 사회적 기반을 획득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판소리가 지닌 독특한 연극성을, 외적인 요인으로는 1900년을 전후해서 외국과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서구식 실내극장이 생기고 일본과 중국의 연극이 우리나라에서 공연되었다는 사실을 각각 지적하였다. Ⅲ장에서는, 창극의 형성단계라는 입장에서, 1908년 전후부터 조선성악연구회 결성 이전까지의 판소리에 나타난 변모를 살폈다. 이 단계에서는 창극이 부분적으로 여타의 전통연예물과 함께 공연되었다는 점에서 근 30년 동안 별 차이가 있었던 건 아니지만, 1911년 이전에는 판소리의 분창화 수준에 머물렀다면, 임성구에 의해 신파극이 공연되는 1911년 이후에는 창극이 신파극·가극 등과 관계를 맺으면서 무대공간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친일세력과 결탁하면서 공연되기 시작한 창극은 이후에도 흥행위주의 극양식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면서, 본래 판소리의 사회적 기반이었던 다수 평민의 현실적 요구에서 점차 이탈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1933년 조선성악연구회 결성 이후 창극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창극공연을 주로 하는 창극단이 조직되면서, 창극이 대중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1940년 이전까지는 고전의 창극화가 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무대에 올리게 되면서 연출개념이 도입되고 각색자의 역할이 부각되며, 한편으로 사실적인 무대장치와 연기가 요구되기 시작한다. 1940년 이후에는 창극단이 수적으로 확산되고, 창작사극의 공연이 활발해지면서 내용전개뿐 아니라 무대효과 면에서 통속적 성향이 두드러진다. Ⅴ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논의를 통해 창극의 연극사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창극은 형식면에 있어 판소리 공연방식을 변모시키면서 연극성을 확대시켰지만 독자적 연극미학을 확립하지는 못했다는 점과 대중적으로 확산되었음에도 통속적인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창극이 지속적으로 공연되었다는 점과 창극형성에 즈음하여 여규형의 한문연희본과 「증상연예 옥중가인」 등 판소리계 문학에 기반을 둔 희곡이 쓰여진 것은, 민속극과 문학적 연극으로 분리되곤 하는 한국연극사의 단절현상을 극복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In the first of the 1900's, having been formed from changes of Pansori's performance method, Changgeuk has made a variety of changes and is performed up to today. This thesis concretely studied its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till 1962 when the objective study is possible. In the chapter Ⅱ, the background of Changgeuk's formation is studied. It is individually pointed the facts that in the internal backgroud of Changgeuk's formation, the charging and receiving classes of Changgeuk were beyond area and status obtaining the extensive social basis and characteristic drama character of Pansori, and in the external factor, contacting often with foreign nations in about the 1900's, the western indoor thearters came into being, and the Japanese and the Chinese dramas were performed in this country. In the chapter Ⅲ, from the standpoint of the formation stage of Changgeuk, it is studied the changer of Pansori from about 1908 to the time before organization of Josunsungakyonkuhoi. In this stage, Changgeuk was not different for about 30years when it was partly performed with the other traditional performances but before 1911, if it remained at the level of Pansori which had been divided, the difference is that Changgeuk was relating with Shinpageuk and musical drama, and the recognition on the stage spare came to form after Yim Seonggu performed Shinpageuk in 1911. Colluding with the pro-Japanese, Changgeuk began to be performed, keeping then close relation with the drama form which put performance first in importance, and at last, the result has been incurred that it gradually diverged from the real need of the common people that was orginally the social basis of Pansori. In the Chapter Ⅳ, after the organization of Josunsungakyonkuhoi in 1933, when the term of Changgeuk was regularly used and. Changgeuk group played mainly Changgeuk performance, the factors are studied that Changgeuk is popularized till 1940, the Korean classics was dramatized staging one complete work, the idea of staging is introduced and the role of dramatizer stands out, in the other hand the real stage setting and performance begin to need. After 1940, Changgeuk group increased in number, and when the performance of creative historical drama became greater in number, its popular character is remarkable in the fields of not only contents development but also stage effect. In tile chapter Ⅴ, the Chaaggeuk's historical character of drama is searched through the previous chapters. It is pointed that changing Pansori's performance method and enlarging the character of drama in the aspect of form, Changgeuk did not establish independent drama aesthetics and has the limit of its popular inclination, even though it was popularized. But in spite of this limit it shows the opportunity of overcoming the breaking phenomenon of the Korean drama history, which folk drama and literary drama used to be separated, that Changgeuk's continual performance and the drama was written on the foundation of Pansori literature such as Yu Kyuhyung's drama version of Chinese writings and "Jeungsangyonyeokjunggamin"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