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용길-
dc.contributor.author黃孝順-
dc.creator黃孝順-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01-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은 인간 생명에 의한 감동이나 생존 등을 실감케 하는 제반의 표현양식으로, 이러한 작품들은 그 작품을 낳게 한 각 문화의 숨겨진 모습을 비춰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전통회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기 위해서 동·서양 문화의 미적 속성을 제시할 수 있는 회화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하여 볼 필요가 있다. 本 硏究는 서양화 중 靜物畵와 동양화 중 器皿折枝畵의 발생, 주제와 기법의 변천, 구도와 공간 표현법 등 조형적 특성을 비교하여 우리의 전통회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도구는 문헌 및 작품이며 17세기에서 20세기까지의 유럽의 정물화와 중국 및 우리 나라의 기명절지화를 대상으로 한다. 자료처리는 서적이나 화집에 실린 도판과 우리 나라의 박물관, 미술관 도록 등을 참고하여 그 중 동·서양화의 조형적 특징이 나타난 작품 중 100점을 대상으로 비교하였으며 문헌에서 器皿折枝畵와 靜沕畵에 관한 글을 참고로 하였다. 기명절지화와 정물화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물화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하였으며, 기명절지화는 대략 13세기 이전 중국에서 발생하였다. 2. 정물화는 식탁그림의 의미로 시작되었으며, 기명절지화는 그리게 된 목적이 뚜렷이 밝혀지지 않았다. 3. 정물화와 기명절지화는 움직이지 않는 사물을 그린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정물화의 소재는 식사를 연상하는 소재와 일상용품, 조형성을 실험하는 도구로써 그 소재가 다양하게 선택되며 기명절지화는 문인의 방에서 볼 수 있거나 연상되는 것으로 古銅器, 문방제구, 折枝, 화병, 채소 등 제한되어 선택되었다. 4. 서양은 양식의 변화가 다채로우며 정물화는 각 시대마다 많이 그려진 영역으로 각 시대의 화법을 잘 보여주는 데 비해 동양화는 화풍의 변화가 크지 않고, 기명절지화는 각 시대마다 고루 그려진 그림이 아니므로 화풍의 변화가 다양하지 않다. 5. 서앙화의 화면은 물체의 배열 뿐만 아니라 배경처리까지 화면 구성의 요인이 되므로 구도가 다양하나, 동양화의 화면은 배경을 여백으로 처리하므로 구도의 변화가 다양하지 않다. 6. 서양의 정물화에서는 구체적인 공간설정을 하므로써 상황의 설명이 구체적인데 비하여, 기명절지화에서는 여백을 살림으로써 배경을 설명하지 않고 보는 사람의 상상에 맡김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공간으로 만들고 있다.;The aim of this present dissertation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fine arts, compar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evolution, the changes of theme and tecknique, composition and space expression, etc. - of a kimyoungchuˇlchi in the Oriental painting with those of a Still life in the Western painting. Because a work of fine arts reflects the hidden side of its culture, it is worthwhile to compa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each other, which suggests the nature of beauty in the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in order to get the accurat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fine arts. The books and the works, particularly a Still life in Europe and a Kimyoungchuˇlchi in China and Korea,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twentieth century, are mainly used for this research. The number of main materials is one hundred, which are selected among the plates in the books of paintings and the pictorial records of the national museum and the art museums in Korea, because they show well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The books and the articles on a Kimyoungchuˇlchi and a Still life are also consulted.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 1. A still1 life appeared on Netheurlands of the seventeenth century ; A Kimyoungchulchi appeared in China before the thirteenth century approximately. 2. A Still life was begun as the paintings of something on the table ; The beginning of a Kimyoungchuˇlchi is not clear. 3. Both have the commonness, namely, to picture the unmovable things. However, the materials in a Still life are various, including something associated with the dinner, a thing of daily necessity, and the instrument to figure a certain forma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s in a Kimyoungchuˇlchi are limited as the ancient wares made of bronze, the things of the scholar, the cut branches, the vase, and the vegetables, which can be seen and remind us of a scholar's room. 4. In Western paintings, the change of technique is diverse and a still life well illustrates the peculiar art of drawing in each period because it has been drawn indiscriminately in every period: In Oriental paintings, the change of technique is restrictive, especially that of a Kimyoungchuˇlchi is not diversified because a Kimyoungchuˇlchi was not drawn evenly in every period. 5. In Western paintings, the way of composition is plural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ings and the dealing of its background become the component of its composition : In Oriental paintings, there are no varieties in its composition because the background. 6. In a Still life of the Western paintings, the interpretation of its setting is definite by establishing the concrete space ; in a Kimyoungchuˇlchi of the. Oriental paintings, the interpretation of its setting is ambiguous and illimitably possible, because it gives the endless imagination to its audiences not by explaining the background but by leaving it as a blan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ⅹ Ⅰ. 緖論 = 12 A. 硏究의 必要性 및 硏究目的 = 12 B. 硏究의 內容 = 14 C. 硏究의 方法 = 14 Ⅱ. 理論的 背景 = 15 A. 西洋 靜沕畵와 東洋 器皿折枝畵의 發生 = 15 Ⅲ. 比較 및 分析 = 25 A. 主題와 技法의 變遷 = 25 B. 構圖와 空間表現 = 50 Ⅳ. 結論 = 63 參考文獻 = 65 參考圖版 = 6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879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서양-
dc.subject정물화-
dc.subject동양-
dc.subject기명절지화-
dc.subject미술교육-
dc.subject.ddc700-
dc.title西洋의 靜物畵와 東洋의 器皿折枝畵 比較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a Still life in the Western paintings and a Kimyoungchulchi in the Oriental Paintings-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