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 수행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 수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Function Achievement of Family with Mental Patients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정신질환자정신질환자 가족가족기능사회사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인숙
Abstract
In modern times many health nursing systems have a growing tendency to have a holistic approach and emphasis on patient's family is increasing, Most specialists of mental health began to realize the necessity of bringing patient's family in his medical treatment. Family system treatment became a part of a psychopathological approach. The view that individual health is maintained and develops within family and family reveals and cures its members' health problems at first from health science and social psychopathology began to have persuasivencess. The direction of interest is changing from the past cure-centered approach to the preventive and the curerelife aspects. Therefore, I measured the achievement level of family's function with FFFS(Feethan Family Function Survey) based on a system theory that a mentally sick person may have an effect on the accomplishment of his family's function, FFFS classifies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ves and relation with communities into 21 categories using 4 intermediation variables of present level, expectancy level, importance level and contentment level, Comparing family with a mentally sick member with regular family by the method, I tried to prescribe and establish the cure direction of family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yphothesis 1-1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the present level of family function achievement" is supported by analysis (p<0.0001). Hyphothesis 1-2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iving the expectancy level of family function achievement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ients" is rejected by analysis (p>0.599). Hyphothesis 1-3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the importance level of family function achievement" is rejected by analysis (p>0.600). Hyphothesis 1-4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the contentment level of family function achievement" is supported by analysis (p<0.000). Hyphothesis 2-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present, expectancy, contentment and importance levels" is supported in the aspects of present(p<0.001) and contentment (p<0.024) levels but rejected in the aspects of expectancy(p>0.175) and importance (p>0.091) levels through analysis. Hyphothesis 2-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present, expectancy, contentment and importance levels in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ves" is supported in the fields of expectancy (p<0.000) and contentment (p<0.000) levels but rejected in the fields of present (p>0.639) and importance (p>0.364) levels. Hyphothesis 2-3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r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in perceiving present, expectancy, contentment and importance levels in relationship with communities" is supported in the present level (p<0.002) but rejected in the aspects of expentancy (p>0.259) importance (p>0.841) and contentment (p>0.052) levels by analysis. The fact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resent and contentment levels betwee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ve a mental patients and the group of regular parents became clear by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patient turned out to have no effect on the level of family function achievement.;현대에 이르러 건강 간호 체계들이 질병 치료에 있어서 가족을 중심으로 한 전체적 접근을 함에 따라 가족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사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병인학적인 입장에서 주로 다루어 졌고, 이에 대한 치료적 접근의 개입 방법이 연구되어져왔다. 그러나, 가족은 질병의 발생과 건강의 유지를 좌우하는 일차적인 간호 체계로 볼 때 문제 예방과 환자의 재활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한 가족 내의 정신질환자의 발생은 그 가족 내의 안정과 균형을 깨뜨리며, 질병의 발생 원인이 가족 내에서 비롯되었을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하겠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병인학적 입장에서만 가족을 다루었을 뿐이고 재활적 측면에서 가족을 다룬 연구는 부실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족과 사회환경과의 관계를 현재도·기대도·중요도·만족도라는 4개 매개변수를 이용, 세가지 영역에 걸쳐 측정할 수 있게 고안·검증된 FFFS(The Feetham Family Functioning Survey)를 사용하여 일반가족군과의 단순비교를 통해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수행 정도를 고찰하고, 가족개입을 위한 가족기능사정(Family function assessment) 시의 진단적 근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을 가족기능수행 현재도에서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의 평균점수는 3.8202,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4.1591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현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76)=.025, p<.001) 2.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을 가족기능수행 기대도에서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의 평균점수는 4.7851,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4.7299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기대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76)=.037, p>.599) 3.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을 가족기능수행 중요도에서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의 평균점수는 4.7005,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4.7776으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차이가 없었다. (t(76)=.281, p>.600) 4.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을 가족기능수행 만족도에서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의 평균점수는 .9646,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5708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76)=.040, p<.000) 5. 가족구성원간의 관계에서 정신질환자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현재도, 기대도, 중요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현재도(3.7061, 4.2690), 기대도(4.0655, 5.0673), 중요도(4.9708, 5.2442), 만족도(1.1594, .7982)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 기능수행 현재도(t(76)=.274, p<.001))와 만족도(t(76)=.103, p<.024)에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대도(t(76)=.099, p>.175)와 중요도(t(76)=.160, p>.097)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6. 가족과 친구 친척간의 관계 에서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의 가족 기능수행 현재도, 기대도, 중요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 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현재도(3.0564, 2.9944). 기대도(4.0188, 3.4530), 중요도(4.3365, 4.1842), 만족도(.9624, .4586)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기대도(t(76)=.82, p<.000)와 만족도(t(76)=.139, p<.000)에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현재도(t(76)=.315, p>.639)와 중요도(t(76)=.298, p>.364)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7.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현재도, 기대도, 중요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정신질환자부모군과 일반부모군의 평균점수는 현재는(5.0947, 5.5921), 기대도(5.7132, 5.9105), 중요도(4.7237, 4.7684), 만족도(.6184, .3184)로 나타나 두 부모군의 가족기능수행 현재도(t(76)=.371, p<.002)에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대도 (t(76)=.493, p>.259)와 중요도(t(76)=.434, p>.841) 그리고 만족도(t(76)=.000, p>.052)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정신질환자로 인하여 그 가족의 기능수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가족치료의 효과적인 사회사업적 중재를 위하여 보다 과학적인 가족기능에 대한 사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임상전문가의 가족기능사정에 대한 지식은 치료적 방향과 구체적인 계획을 용이하게 할 것이므로, 이에 임상에서의 FFFS도구의 활용과 더불어 더욱 구체적인 가족치료 접근 방법을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가족기능수행척도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임상전문가들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program이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가족치료를 위한 사회사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