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매자-
dc.contributor.author최해리-
dc.creator최해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5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9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10-
dc.description.abstractThis is a study about Dance Notation which measns a record by regular symbols, signs, or a system of dance. Dance notation is a language of movements-as there is a score in Music which describes the changes of phonemics that can be a record of all movements in dance and the whole dance work organized creatively by promised signs. For a long time, until very recently dance was preserved only by the way of students' imitation of teachers' movements or as a way of a folk dance tradition. In case of Korean Dance the subtle technic of dance was initiated only from person to person. Therefore it has always been a big obstacle in organizing technics and inheritance, re-cre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spite of these important assignments of preservation of tradition dance and reknown works of time, and recording the dancer's own achievements, it is true we are still using the old method of 17th century in Korean Dance. My purpose is to organize Dance Notation scientifically and theoritically that analyzes all movements of dance and introduce other Dance notation practically used in other countries, and also to find a suitable method t o preserve Korean Dance. Therfore, in chapter 2 as a background theory of Dance Notation Ⅰtried to clear out the characters of Dance based by three main concepts of time, space, humanbody and also quotate Nelson Goodman's method of a dual classification system of divide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that makes records possible, Also, Ⅰ tried to study the basic concepts and purpose of Dance Notation in microscopic view and macroscopic view. In chapter 3 Ⅰtried to show the development of Dance Notation in west countries, that appeared first in 15th centure and had made progress until1 20th century as modern technic of using the computer. In chapter 4 Ⅰ explained the practical value and limits of film recording and dance notation. Fin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new method of Dance Notation because in Korean Dance mental aspects -inner energy, breathing system - are more important, and also the nessecity of utilizing the Notation system of Laban which is used world-wide until recently.;본 논문은 무용을 일정한 상징기호나 체계에 의해 기록하는 무용 표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전통적으로, 또 극히 최근까지도 무용은 스승에게서 제자로의 동작 모방에 의해 전달되거나 민속전통으로만 보존되어 왔다. 한국무용의 경우는 특히 전혀 무보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그 자체의 한계와 불충분으로해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무용 기법의 전수는 오로지 의인승계(依人乘繼)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므로, 무용기법의 체계화 및 전통무용의 기록과 보존은 큰 문제점이 되어 있다. 본인은 이것이 무용 표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부재에서 기인되었다고 보며, 본 논문을 통해 한국무용의 독특성을 포함한 모든 움직임을 기록할 수 있는 새로운 무용 표기법의 개발을 기대하고, 또한 그 이전에 세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의 도입으로 무용 표기법의 실용화를 위한 전제 작업으로서 무용 표기법에 대한 전반적 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무용 표기법의 이론적 배경으로 먼저 무용의 본질을 인간 신체의 움직임으로 시간과 공간속에서 창조되는 예술로 간주하고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의 이 3가지 개념으로써 표기 대상인 무용의 특질을 밝히며, 예술을 autographic(자서전적)과 allographic(재생가능한)으로 양분한 Nelson Goodman의 이원적 예술 분류법에서, 무용을 기록 가능한 allographic한 예술로 간주하고, 표기법이 대상의 모든 미묘함과 복잡성을 표기할 필요는 없다는 전제 아래 무용 표기법 연구의 정당성을 마련하였다. 이어지는 제2장 2절에 무용 표기법의 목적과 기본개념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 조합하여 보았다. 그리고 저3장의 무용 표기법의 발달사에서 서구는 기호에 의해 체계적으로 발달되어 온 무용표기법을 시대별로 분류하여 15세기 최초의 원시적 문자기호 형태에서 20세기 첨단 기술인 컴퓨터를 사용하는 표기법에 이르기까지를 고찰하였으며, 한국은 문헌에 기록된 무보의 발달과정으로서 현존하는 문헌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고려사악지에서부터 최근에 제작된 무보까지, 그 특성과 의의를 기술하였다. 나아가 통합적인 한국형 무보가 지닌 무용 표기로서의 한계성을 살펴 보았다. 제4장에서는 무용 표기법을 현재 그 활용가치가 높은 필름 기록법의 가치와 한계성에 접맥시켜 고찰하였다. 또한 무보의 가치가 확인되는 과정으로서의 해석을 미학적 견지에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의 특성을 살펴 봄으로써, 그 미묘한 특성을 이해하고 포착할 수 있는 적절한 표기법 개발의 필요성과 현재 세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 중에서 특히 Laban의 표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실용화를 강조하며 본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제1장 서론 = 1 제2장 무용 표기법의 이론적 배경 = 5 제1절 표기 대상으로서 무용의 특질 = 5 제2절 무용표기에 대한 접근 = 11 1. 거시적 접근 = 11 2. 미시적 접근 = 20 제3장 무용 표기법의 발달사 = 25 제1절 서구 무용 표기체계의 발달과정 = 25 제2절 한국의 무보 발달과정 = 47 제4장 무용 표기법의 가치 = 61 제1절 필름 기록법을 통해 본 무용 표기법의 가치 = 61 제2절 무용표기의 해석과 인식 = 67 제5장 결론 = 73 참고문헌 = 79 그림 = 82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53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
dc.subject표기법-
dc.subjectNotation System-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 표기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ance Notation System-
dc.format.page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