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수준 연구

Title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수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TUDENTS' AWARENESS OF REFERENC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Y
Authors
조윤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대학도서관참고봉사학생인식수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세익
Abstract
대학도서관은 인류문화의 계승과 인격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대학교육과 연구계획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참고봉사를 중추적인 봉사로 발전시켜 왔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한 문헌조사를 배경으로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를 측정하고 참고사서와 학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하며 그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조사분석은 이용자 중심의 봉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보다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의 바탕위에, 실태조사를 위해 학생에 대한 질문지법과 참고사서에 대한 면담을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의 기본기능 및 내용, 참고사서와 학생과의 인간관계, 참고봉사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 측정사례를 살펴보았다. 실태조사를 위한 질문지는 서울시내 3개 대학 600명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는데 이것은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한 그들의 인식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사에서 회수율 87.7%, 응답율은 82.0%(492부)를 보였다. 참고사서와의 면담은, 해당 참고봉사의 제공여부 확인과 참고사서와 학생과의 상관관계 측정을 위해 실시되었으며 각 학교 참고사서가 대표로 1부 작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실태분석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참고실을 알게된 경위는 홍보책자 등의 인쇄매체와 도서관이용 지도를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친구나 선배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다. 2. 전체학생의 80%이상이 참고실을 「참고장서를 정리하고 유지하는 곳」, 「일반자료의 이용을 도와주는 곳」, 「간단한 참조를 위한 질문에 답해주는 곳」, 「보고서 작성이나 연구활동에 필요한 정보자료를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해 주는 곳」이라고 답해서 비교적 참고실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참고질문의 경험여부는 6 : 4의 비율로 질문의 경험이 있는 학생이 더 많았으나 질문의 내용은 단지 참고장서의 위치를 묻는 방향지시형 질문이 가장 많았다.(43.6%) 4. 참고사서와 학생간의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은 사서에 대한 신뢰감 부족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36.4%). 다음으로는 이용자가 자신의 무지를 표출하지 않으려는 자존심 때문(26.0%), 사서는 불친절하다는 선입견 때문(21.4%)의 순이었다. 5. 학생들이 받은 도서관이용지도는 오리엔테이션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실제 도서관 이용에 있어서 결정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어 체계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6. 대학도서관 참고봉사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도는 낮았으나, 비교적 그들이 많이 이용하거나 접근이 용이한 봉사일수록 인적도가 높았다. 7. 참고사서와 학생과의 상관관계 측정을 위해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두 집단은 확실히 상관이 있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8. 학생들은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17가지의 참고봉사 내용중, 전체의 44.3%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분산분석 실시결과 참고봉사의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참고실 이용정도, 참고면담여부, 도서관이용지도 이수여부, 학년, 전공 등이었으며 이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도서관이용지도 이수여부였다. 10. 기타 조사된 내용으로는 도서관홍보의 필요, 도서관이용지도의 필요 사서의 불친절, 다양한 정보와의 접촉, 참고직원의 확충, 참고사서의 능력 참고장서의 부족, 복사문제, 참고실 분위기 개선 등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The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reference service as a major part supporting the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aimed at inheritance of human culture and build-up of their character, and their own studies and researches. This study is intended to measure students,' awareness rate about the reference servic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regarding reference service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ference librarians and students and to find out variables effecting the students' awareness rate. This survey and analysis would provide every librarian who wants to supply user-oriented services more reasonable, desirable and fundamental data. On the basis of bibliographic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for case study and an interview with the reference librarians were adopted in surveying. Upon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I examined a basic function and substance of reference service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relationship between reference librarians and students and case study of user's awareness rate to the reference services. The questionnaires for the case study were distributed to 600 students randomly from 3 universities in Seoul. This was designed to measure their awareness rate for the reference servic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t showed 87.7% of collection rate and 82.0%(492 copies) of response rate. The interview with the reference librarians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reference services were supplied or not, and to measure a correlation degree between reference librarians and students. With this interview, a reference librarian from among 3 universities drew out a report on behalf of other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Most of students get familiar with the reference room through press media such as public information books, and booklet for using library. Their friends and seniors also take an important part of it. 2) More than 80% of students have a right conception about the reference room. They respond that the reference room is - where the reference books have been kept and organized, - to help the students use general data, - to answer to simple reference questions, - to supply various kinds of data for students' reports and studies and help them solve the problems. 3) At the tate of 6 to 4, there were mor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 reference questions than others who have not. Those questions, however, were almost restricted to the directional ones asking where the reference books are(43.6%) 4) In communication between reference librarians and students, 3 obstacles were conspicuous as follows : - lack of trust to librarians (36.4%) - self -respect (26.0%) users don't want to betray their ignorance - preconception that librarians are unkind (21.4%) 5) Most of students have received an orientation about the way to use their libraries. They feel that it is not enough to know how to use their libraries fully. Therefore, they feel necessity to get a systematic. way of using libraries. 6) The students' awareness rate for reference servic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was low, but, when it comes to efficient and accessible services, the rate marked relatively high. 7)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ference librarian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t is concluded that both group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is shows low degree of interaction. 8) 44.3% of the students got a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reference services. 9) In the consequence of distributed analysis, the variables effecting their reference awareness degree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 - using degree of the reference room - reference interview - whether the students have finished the way of using their libraries or not - grade - major - etc. The third point above of all is the most effective. 10) 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 - necessity of library PR - need for a guide how to use library - unkindness of librarians - contact with various information - expansion of reference librarians - reference librarians' capability - lack of reference books - copy troubles - surroundings in the reference 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