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란-
dc.contributor.author金靜鮮-
dc.creator金靜鮮-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89-
dc.description.abstractResearch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constituents of leaves of Hedera rhombea Bean. (Araliaceae) was undertaken to examine its possible application as a useful new drug. The expected anti-convulsant (strychnine and picrotoxin induced) and coagulation activities were not found. On the contrary, the MeOH and BuOH fractions revealed a significant (p<0.05, p<0.01) decrease in the number of acetic acid-induced writhing syndrome, and reduction of tail clip test responses, indicating a potent analgesic activity comparable to that of NSAIDs. Moreover, inhibition of carrageenin-induced edema was observed in MeOH, BuOH and Et_(2)O fractions although the acute anti-inflammation mechanism has not yet been clarified except for the in vitro test results showing no anti-histamine and no anti-serotonin activities. HPLC analysis of the BuOH fraction acid hydrolysate yielded 1.89% of hederagenin (Rt=5.49), an aglycone of triterpenoid glycosides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plant's stem and bark.;常春藤(송악) Hedera rhombea Bean은 오가피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만목으로 민간에서는 지혈, 육혈, 황달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항경련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직 그 잎에 관한 생리활성 및 성분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송악잎의 MeOH추출물 및 그로부터 얻은 분획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여 송악의 의약품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색해 보았다. 예상했던 바와는 달리 Picrotoxin 및 strychnine에 의한 항경련 작용과 혈장응고 시간 측정을 통한 지혈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진통ㆍ소염 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acetic acid induced writhing test와 tail clip test 에서 유의성있는 writhing횟수의 감소와 tail clip반응의 저하를 MeOH ext.와 BuOH분획에서 보였으며 carrageenin유발 부종의 현저한 억제가 MeOH ext.와 BuOH 분획뿐 아니라 Et_(2)O 분획에서도 나타나 송악의 NSAID (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s) 와의 유사한 작용을 추정할 수 있었다. 더 나가 항염증 기전을 밝히려는 시도로 실시한 적출장관 실험을 통해 관여된 chemical mediator는 histamine과 serotonin이 아님을 밝힌 동시에 Kinin류나 prostaglandin이 관여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한편, BuOH분획을 산 가수분해하여 hederagenin이 1.89%함유됨을 HPLC(Rt= 5.49)로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Ⅱ. 실험 = 4 A. 생리활성연구 = 4 1. 재료 및 시약 = 4 a. 시료의 추출 및 分劃 = 4 b. 실험동물 = 4 c. 시약 및 기기 = 6 2. 검액의 조제 = 7 3. 실험방법 = 7 a. 급성독성실험 = 7 b. 항경련실험 = 7 c. 혈액 응고 억제 실험 = 8 d. 진통실험 = 9 e. Carrageenin 유발부종에 대한 항염증작용 = 9 f. 항 histamine 및 항 serotonin작용 (적출장관실험) = 10 B. 화학적 연구 및 Hederagenin 동정 = 11 1. 시약 = 11 2. 기기 = 11 3. 각 fraction의 화학적성질 및 분석 = 11 a. 정성반응 = 11 b. TLC 및 HPLC에 의한 Hederagenin동정 = 12 Ⅲ. 결과 및 고찰 = 13 A. 생리활성 연구 = 13 1. 급성독성 실험 = 13 2. 항경련 실험 = 13 3. 혈액응고 억제 실험 = 17 4. 진통 실험 = 17 5. Carrageenin 부종 실험 = 26 6. 항 histamine·항 serotonin 효과 = 36 B. Hederagenin 동정 = 39 Ⅳ. 결론 = 50 REFERENCES = 51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4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춘등잎-
dc.subject생리-
dc.subject활성-
dc.subject연구-
dc.title常春藤잎의 生理活性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eaves of Hedera rhombea-
dc.format.page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약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