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서-
dc.contributor.author김미라-
dc.creator김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55-
dc.description.abstract산업사회의 발전 추세 속에서 자동화 혁명과 정보산업, 지식산업의 등장은 산업사회와는 전혀 다른 사회적 양상을 변증법적으로 발전시켰다. 이 사회는 전문지식이 사회의 새로운 생산력으로 대두하는 사회로 후기산업사회라고 불리워진다. 이 사회에서 생산은 노동을 통한 생산뿐만 아니라 과학적 지식과 기술 등의 문화적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때 과학적 지식의 축적은 창조적인 작업과 연결되어 역사성(historicity)의 기초가 된다. 이 사회는 사회관리체계로 부상한 정부가 조작을 통해 고도의 정치적 합리화를 꾀하며 동시에 사회발전의 주체로 기능하는 사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지식이 새로운 생산력으로 등장함으로써 생산관계와 사회관계와 역시 변화하였다고 보고, 이를 불평등의 측면에서 비판적이고 분석적으로 고찰하는데에 있다. 이의 논의는 다음의 세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이 사회에서 지식은 독립적인 잉여가치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권력에 접근하는 전략자원이다. 정보는 지식의 변형형태로서 자유, 평등, 참여의 기본요건이며, 동시에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계획, 설계하고,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동의 요소들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역사성의 전제조건이 된다. 지식은 정부의 정책결정의 기초가 되고, 정보는 효과적인 사회통제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요인이다. 둘째,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은 이를 소유하고 생산하는 전문가 집단을 영입이나 자문의 형식, 또는 연구 정책을 통해 정책결정과정에 흡수시켰다. 이들은 이 사회의 기능 엘리트로서 새 계급이라 불리워진다. 이들은 비판적 논술문화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지위에 접근한다. 이들은 국가에 대해서 모호한 도덕성을 보이고 있고,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 여부에서도 분열적이다. 네째, 정부는 새 계급의 흡수와 정보기술 장비의 도입, 그리고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사회내 제1의 지식 생산자이자 제1의 소비자로 등장한다. 정보의 측면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지식 생산능력의 불균형과 정치적 정보에의 차등적인 접근 가능성은 사회내에 새로운 불평등화 현상을 초래한다. 이는 지식 재생산과 지식 소통의 폐쇄성, 그리고 왜곡된 정보환경 속에서 더욱 강화된다. 이처럼 기술과 교육, 그리고 이에 따른 권위의 차등적인 분배는 사회내에 긴장을 야기시킨다. 이는 더 나아가 정책결정에의 참여여부와 이에 따른 역사적 행위체계의 통제 여부를 둘러싸고 집단갈등을 야기한다. 결국 참여에의 욕구가 고양된 정치화된 사회에서 새로운 불평등 현상은 착취보다는 순응주의를 조장함으로써 사회성원을 소외시킨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이 새 계급과의 연합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The adve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dustry, and the automatization-revolution in the developmental trend have dialectically developed a social phase totally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his is the Post-Industrial Society where the professional knowledge becomes the new productive power of the society. Production in such a society includes not only one through labor, but also one of cultural concept such as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 and the accumul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ogether with creative work becomes the basis for historicity. It is a society in which the government, as the sole social management organization, attempts an incense political. rationalization through manipulation while functioning as the main body of social develop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es is to critically and analytically examine the new inequality which arose from the advent of knowledge as the new productive power which brings about changes on productive and social relationships. Discussion on this is dealt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knowledge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as a resource producing independent surplus value, conducts social life and is the strategy-resource approaching power. And information, a variation of knowledge, is the pre-requisite to historicity that regulates the elements of change which affects itself and plans, freedom, equality, participation, and future for itself. Professional knowledge becomes the basis for policy decision-making of the government, and control over information becomes indispensable to effective social control. Secondly, the centrality of knowledge assimilates professional group which possess and produces knowledge into the policy decision-process by co-optation, consultation, and study-policy. As a New Class, they are the functionary elites of this society. They possess the culture of careful and critical discourse. And through this, they approach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osition, They also show ambiguous morality towards the nation, and are dissentive on the matter of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 process. Thirdly, the government enters as the prime social producer of knowledge as well as the major consumer through assimilation of New Class, introduction of information-technology-equip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It is the same on the side of information. Thus, the new problem of inequality in the society is brought about by knowledge-production ability and differential access-possibility to political information. This is more reinforced by the lock-outness of knowledge-reproduction and knowledge communication, and distorted information environments, Therefore, discriminating distribution of authority according to skill and education, creates tension in the society. Furthermore, this brings new group-conflict, and the main issues in this conflict are the matter of participation in policy-decision and the matter of control in the System of Historical Action arising from it. And social constituents, in the intense political rationalization through manipulation, become familiar with conformism. This creates alienation. Therefore, a social movement to overcome this alienation appears in the form of a new alli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머릿말 = 1 Ⅱ. 지식과 정보 = 9 A. 사회관리에 대한 요구 = 9 1. 산업화와 관료제화 = 10 2. 위기 관리 = 12 3. 인간과 사회의 본질에 대한 사고의 변화 = 13 B. 정보 경제론 = 15 1. GNP내 부가가치적 산출 = 16 2. 사회내 노동력 구조 분석 = 17 3. 정보 지수 분석 = 19 C. 후기산업사회에서의 지식과 정보의 의미 = 21 1. 사회 구조적 측면 = 23 2. 사회 행위자의 측면 = 26 3. 사회통제의 측면 = 29 Ⅲ. 새 계급의 등장 = 32 A. 교육의 확대와 교육제도의 성격 변화-정당화 체계 = 32 B. 이론적 지식의 정책화와 새 계급의 정책참여 = 37 C. 새 계급의 성격 규명과 그 역할 = 40 1. 새 계급의 성격규명 = 40 2. 정치영역내에서의 새 계급의 역할 = 44 Ⅳ. 새로운 불평등화 현상 = 47 A. 지식 재생산의 폐쇄성과 이성의 제도화 = 47 1. 지식 재생산의 폐쇄성 = 48 2. 이성의 제도화 = 54 B. 정보의 통제와 왜곡된 정보 환경 = 56 1. 정보기술과 정치적 결정 = 57 2. 정보의 정치성과 정보의 통제 = 61 3. 폐쇄적인 정보흐름과 왜곡된 정보환경 = 66 C. 집단갈등, 소외, 새로운 사회운등 = 70 1. 집단 갈등 = 70 2. 소외 = 75 3. 새로운 사회운동 = 79 Ⅴ. 맺음말 = 83 참고문헌 = 87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44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식-
dc.subject정보-
dc.subject불평등 현상-
dc.subject후기 산업사회-
dc.subject.ddc300-
dc.title지식과 정보의 불평등 현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후기 산업사회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ISSUE OF KNOWLEDGE AND INFORNATION-
dc.format.page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