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중학교 연합모의고사 음악과 문항분석

Title
중학교 연합모의고사 음악과 문항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Item Analysis of Trial Examination for the High School Entrance
Authors
조혜경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문항분석연합모의고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교육평가란 교육목적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느냐를 따져보는 교육의 반성적, 자각적 과정이다. 이러한 평가의 기본적 의도에서 볼 때 단지 학업 성취도를 따져 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고 채점에서 얻은 점수로 학생들을 등급지우는 잘못된 평가관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선발적인 입시 체제 속에서 중학교 학습평가가 당면하는 중요한 과제는 선발에 대한 분류와 예언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연합 모의고사가 학생 선발에 대한 분류와 예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인지를 밝히기 위해 연구와 관련된 음악교육 평가, 교육목표분류, 문항분석 등을 문헌을 통해 연구하여 정리하고. 1986학년도에 실시된 3회의 연합 모의고사 음악문항을 수집하여 내용 타당도와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합 모의고사 음악과 문항의 내용은 기본능력, 표현능력에 치우쳐 감상능력이 매우 미약하게 출제되었다. 또한 행동영역에서는 지식, 이해력의 출제 비율이 매우 높은데 이것은 적응력 수준 이상의 고등정신 능력을 측정하기보다는 단편적인 사실의 암기나 기억에 비중을 두는 출제 경향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2. 문항 난이도는 대체로 쉬운 편의 문항들이 출제되었고 문항 변별력은 매우 좋아 문항 양호도면에서는 선발적 기능에 적합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합 모의고사 음악과의 문항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출제 문항의 보다 높은 내용 타당도를 취해 교육내용과 행동영역의 출제비율이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난이도의 적절한 조절과 변별력은 물론 선택지의 내용, 표현방법, 논리성, 연계성과 문법적 오류 등에 대한 검토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보다 신뢰도와 객관도 높은 양질의 평가문항 제작을 위한 담당교사의 끊임없는 노력이 전문서적 연구와 연수를 통해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출제된 문제는 동일교과 교사간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정리되어야 하고, 평가문항카드를 이용한 문제은행의 제작, 실시도 문항의 개발, 교정과 차후의 출제에 도움을 줄 것이다.;Educational evaluation is not limited to measuring students' achievements and grading. It encompasses not only measuring educational results but also all the procedural materials, teaching methods and other matters which are related to educational endeavor. In this study,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music education, particularly it's item analysis a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The test items a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item difficulty and power of item discrimin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In the contents of items, most items in the test were concerned with measuring fundamental and expressive abilities, while there were less items about appreciative ability. In the behavioral domain, there were many items about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s a result, giving items for examination had a tendency that evaluation of memorizing simple facts were treated more importantly than that of high-level ability including application. 2. In item difficulty, there were many easy items. Discrimination was also very good. And they were not related to each other. From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observations may be made. First, Question-rate between contents and behavior field must be reconsidered for the higher validity of item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on proper control in difficulty levels, discrimination of items, relevancy, expressive method, and grammatical mistakes. Second, Teacher's study and training will be needed for the higher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items. Given items must be also arranged after thorough discussion among the same-subject teachers. If the teachers make item-pool and put them into practice this will be able to help the teachers to develop new it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