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포괄적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음악수업 실태 조사연구

Title
포괄적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음악수업 실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TEACHING PRATICE IN JUNIOR HIGH SCHOOL MUSIC CLASSES IN THE VIEW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Authors
김희정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교육중학교음악수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홍수
Abstract
현대의 음악교육은 개념과 경험을 중심으로 음악의 본질을 학생 스스로가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즉 포괄적인 음악 지도를 통해 전인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보다 질 높은 인간을 양성하려 한다. 1981년 이래 제정·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제5차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현대의 음악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포괄적 음악교육의 이념을 수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의 음악교육이 지향하는 포괄적 음악교육의 내용을 고찰하고, 서울시내 중학교를 대상으로 음악교육 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현대 음악교육의 새로운 사조들을 고찰하고 포괄적 음악교육의 개념을 검토한다. 또한 문교부에서 설정한 우리나라의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등을 살핀다. 포괄적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음악 수업의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YCP, CMP, Yale Seminar, MMCP, Tangleood Symposium, Rockefeller Panel에 대한 문헌 연구를 하였다. YCP로 현대 음악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보다 실제적인 CMP연구를 가능케하였다. CMP는 작곡을 통해 현대음악의 생성과정을 알아야 되며 이해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North Western Seminar 이후에는 음을 창조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포괄적 음악성개발을 위한 연구를 하였다. Yale Seminar는 음악성 개발을 위해 음악교육 교수법과 교수자료를 개발토록 하였다. MMCP는 작곡을 통해 음악의 본질을 이해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Tanglewood는 모든 문화권의 음악을 가르쳐야 하며 일반 학생을 위한 음악 교육을 하도록 주장하였다. Rockefeller Panel은 음악·미술 등 기타 모든 예술을 통합하여 학생의 감각을 개발하고 학습의 활력소가 되도록 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의 중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을 탐색하였다. 셋째, 포괄적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음악 수업의 실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연구한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포괄적 음악교육의 개념을 수용하고는 있으나, 현장에서의 학습방법이나 내용·활동들은 이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관 음악 수업들은 전반적으로 가창위주의 수업으로, 개념적·통합적·경험적·창의적인 수업이 아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은 보다 구체적인 학습지도개념과 활동 범위를 제시해 주어야 하며, 현직 음악교사들이 포괄적 음악교육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들에 대한 재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수업참관을 위해 서울시내의 중학교중 10개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20학급의 수업을 참관하였다. 중학교를 대상으로한 이유는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가 지도하는 국민학교와는 달리 음악을 전공한 교사가 가르치기 때문이며, 고등학교는 대학입시로 정상적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연구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Current music education is objected to teach the students to discover the nature of music by themselves with centering on concepts and experience. Through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the primary aim of current music education is to achive the object of education of the whole man, and of training the students as higher quality man. The fifth junior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n Korea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1981 include the concept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directed by current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and the improve the practices which were conducted the place of music education of junior high school in Seoul.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new trends of current music education through references, and examine the concept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and analyse the objects and contents of junior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nd finally teacher's teaching methods were surveyed and discussed in the view of music educatio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through references about YCP, CMP, Yale semina, MMCP, Tanglewood symposiu, Rokefeller panel. From necessity of understanding of current music, YCP enabled CMP to study more practically. At the CMP the fact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urrent music by com position was noticed. After the North-Western seminar, studies for developing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which deals the music( tone) more creative were carried out. At the Yale seminar,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of music education were developed for comprehensive musicianship. MMCP participators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music by composition. Music educators at Tanglewood agreed that music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the cultures and should be conducted for general students. The participators of the Rockefeller panel viewed all the arts including music and drawing as a means of making people more sensitive and awakening all the senses- the learning pores. Second, research on the junior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n Korea. Third, analysis of music class practices in the view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The reason for selection junior high school as subjec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n't major in musics and in high schools normal clsassworks may not be carried out because of entrance examination for a university.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hough music curriculum in Korea comprises the concept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the methods and contents used at the place of education have no relation to the ideas. Because all observed music classes were mainly centering on singing, it was not conceptual, comprehensive, experimental norcreative. Thus, music curriculum in Korea must indicate more concrete musical concepts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musical activities, and it is urgent to reeducate the music teachers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musicianship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