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스트레스 지각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스트레스 지각에 관한 비교연구
Authors
남유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취업주부비취업주부스트레스건강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근후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사건에 대해 지각하는 취업주부군과 비취업주부군의 스트레스량을 비교 평가하여 스트레스로 지각하는 정도와 내용에 있어서 두 집단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Holmes와 Rahe의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상황내에서 주부들이 겪는 심리적 스트레스 사건을 추가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사회경제계층을 고려하여 취업주부 100명과 비취업주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주부와 관계가 깊은 스트레스 항목 18개를 추가함으로써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 42개 문항, 예비조사에서 추가된 18개 항목을 합해서 총 60개 항목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취업주부 220명, 비취업주부 259명이었고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나 실제 자료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취업주부 174, 비취업주부 198이었다. 자료분석은 60개 생활사건 항목의 구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Factor analysis을 시도하였고 집단간 비교분석시는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단순상관 등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60개 생활사건 항목을 요인 분석한 결과 9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요인 1은 생활방식의 변화, 요인 2는 갈등 및 내적 불만감, 요인 3은 상실, 요인 4는 부부 및 결혼생활, 요인 5는 경제문제, 요인 6은 친족관계, 요인 7은 성 및 출산, 요인 8은 여가, 요인 9는 신체적 노쇠의 내용이었다. 2. 60개 생활사건에 대한 전체 스트레스 값은 비취업주부군이 취업주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1) 두 그룹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이 모두 47개 항목이었는데 모두 비취업군이 높게 나타났다. 3.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군 모두가 놓은 스트레스량을 부여한 항목은 배우자의 죽음이었으며 가장 큰 유의적 차이를 보인 요인은 「경제문제」(P<0.001)로서 비취업군이 높은 스트레스 량을 부여했다. 4. (1) 60개 생활사건에 부여된 스트레스량은 전체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간에는 비취업주부 경우 4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높은 값을 부여했는데 취업주부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취업주부군에서는 별 차이는 없었으나 비취업주부 군에서 학력이 낮을수록 높은 값을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그외가족크기, 가정경제 월 지출수준, 종교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스트레스 경험집단이 무경험집단보다 높은 스트레스량을 부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5. (1) 병원 경험이 있는 사람은 주로 내과를 갔으며, 진단명은 위염, 위궤양이 많았고 병원 무 경험자의 신체. 정신적 자각 증상은 두통이 가장 많았으며 자가치료 방법은 약국을 주로 이용하거나 자가진단하여 약물 복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병원 유경험자가 높은 스트레스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전체점수가 높을수록 병원 경험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stimate the quantity of the stress perceived from the life incidents by two groups, i.e., the working housewife group and the non-working housewife group, and the clarity of the difference in degree and detail of the stress perception between two group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have translated the works of Holmes and Rahe, and referred to their estimating measures of social readaptation. And the researcher have carried out a preliminary survey to a revise to those measures of the cases of psycholocial stress that the housewives in this country experience under the peculiar social, cultural circumstances. The preliminary survey has been executed to 100 working housewives and 100 non- working housewives after the social and economical stratum was empolyed. And 18 items that seemed to be deeply connected with housewives among those resulted from this survey have been added to the existing 42 estimating measures of social readaptation, therefore, the total 60 items has been used as the measuring means in this study.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220 working housewives and 259 non-working housewives in Seoul area were selected at first.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o them all, but the actual number of sample for data analysis is 174 among the number of working group and 198 among the number of non-working group. For data analysis,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define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items of life incidents, an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earcher inspected with such tests as t-test, ANOVA, Duncan-test, and the Pearson coefficient of correlation. The outlined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xty items of life incidents have been analyzed, and nine factors have come out as the result. The detail of each factors is as follows; the first is a change in the mode of living; the second is a conflict and internal insecurity; the third is a loss; the fourth is a conjugal and married life; the fifth is an economical problem; the sixth is a kinship; the seventh is a sex life and childbirth; the eighth is a leisure and the nineth is a physical decrepitude. 2. As for the whole stress value on sixty life incidents, that of non-working housewife group is significantly high than that of working housewife group (P<0.00l). The item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number in 47 on which the stress value of non-working housewife group in high. 3. The items that grants stress a great deal on both groups is the "death of a spouse", and the factor that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s the "economical problem" from which the non-working group perceives more stress. 4.1) The general quantity of stress given to sixty life incidents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ges, those above 45 years old show the high stress value. But, in case of the working housewife, there is not any significant stastic difference among the ages. 2) The qiantity of stress does not differ very much according to school career in the working housewife group, but in the non- working housewife group those who have shorter school career grant higher value of stress. 3) Besides, such elements as family scale, level of monthly expenditure and religion of a family has not brough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ntity of stress. But it is revealed that those who experienced-stress grant higher value of stress than that of those who experienced no stress. But it is revealed that those who experienced stress grant higher value of stress than that of those who experienced no stress. 5.1) To dispel the stress, housewives who have been often treated in a hospital mostly go to the internal department. The major names of diagnosis are such as gastritis and gastric ulcer. In cases of those who haven't gone to a hospital at all, the most frequent physical, mental symptom is the headache. It is revealed that they go to a drugstore and take drugs for self-cure in general. 2) As a whole, housewives who have received treatment of a hospital doctor sometimes grant high stress value, and the higher the whole value, the more is the frequency of medical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