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정신질환자와 비정신질환자의 사회적 지지 비교연구

Title
정신질환자와 비정신질환자의 사회적 지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support of psychiatric patients and non-psychiatric patients
Authors
이숙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비정신질환자정신질환자사회적 지지비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as emerged as a major psychosocial variable in health related research and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nursing science. A central emerging theme is that person's social suppor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mental health. This study was purpo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al network dimension, the functional network dimension, and the need for suport between psychiatric patients and non-psychiatric patients. This comparative study on social support of psychiatric patients and non-psychiatric patients was applied to people who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in-patients and day hospital patients of seven mental hospitals in Seoul. (80 persons). The other is in-patients of medical, surgical, gynecological, orthopedic, and plastic of two hospitals in Seoul. (80 persons). For the measurement of the social support the total was used made by Park, see-won for the scale of social support, which is amended through preliminary test.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2 to October 8, 1986.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e of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Psychiatric patients had lower degree of social support than non-psychiatric patients (p 0.01). 2. Psychiatric patients had lower degree of the structural network dimension : the number of supportive resource persons, the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the frequency of contact (p 0.01 or p 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network dimension :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p 0.05). 4. Psychiatric patients had lower degree of social support from spouse or a confidant, friends (p 0.05). It is especially noticed that psychiatric patients had higher degree of social support from nurse or doctor (p 0.01).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network dimension, the functional network dimension, an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in psychiatric patients (r=0.27-0.53, p 0.00 or p 0.01). 6. The results from the test for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ubjects social-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ex, marital status, religion, and family income (p 0.05).;과학의 발전으로 질병은 여러가지 요인들의 동시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리하여 질병의 원인으로 인간의 내·외적환경과의 관계를 검토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에 따라 인간의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써 의미있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인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리 사업에서 근래에 이르러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또한 사회적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기술되었는데, 특히 사회적 지지정도로써 정신과적인 증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의 강도를 완충시켜 정신질환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로부터 보호하고, 질병의 결과를 중재할 수 있다는 정신과적인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상황에 있는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정도를 비정신질환자와 비교 분석하여 봄으로써 정신질환자의 구조적 지지, 기능적 지지, 지지욕구 측면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 개념을 정신질환자의 간호과정에 포함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7개 종합병원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자 88명, 비정신질환자 89명으로 총177명이었으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대상은 정신질환자 80명, 비정신질환자 80명으로 총160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박(1985)이 연구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86년 9월 12일부터 10월 8일까지 26일 동안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는 비정신질환자보다 사회적 지지도가 유의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P< 0.01) 2. 정신질환자는 비정신질환자보다 의미있는 사람의 수, 접촉빈도, 안정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P<0.05) 3. 정신질환자는 비정신질환자보다 주위 사람에 대한 신뢰감, 사회관계에서 느끼는 유대감이 유의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P<0.05) 4. 정신질환자는 비정신질환자보다 배우자, 친구로부터 받은 사회적 지지도가 유의한 차이로 낮았고 (P<0.05), 간호원 혹은 의사로부터 받은 사회적 지지도는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P< 0.01). 5. 정신질환자는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 (r=0.27, P<0.01), 구조적 지지와 지지욕구(r= 0.53, P<0.001), 기능적 지지와 지지욕구 (r=0.53, P<0.001) 각 영역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질환자와 비정신질환자의 사회적 지지도 비교에서는 연령의 경우 20대가, 성별의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결혼상태에서는 기혼, 기타의 경우보다 미혼이, 종교에 있어서는 불교, 기타종교인보다 기독교인의 경우가, 형제순위의 경우 중간 막내보다는 장남(녀)가, 가족형태에서는 핵가족보다 대가족형태가, 주택의 경우 30평이하 50평이상의 자기집을 가진 사람이, 월수입에 있어서 50만원이하, 150만원이상의 경우보다 51~150만원의 경우에 있어서 정신질환자가 비정신질환자보다 사회적 지지도가 유의한 차이로 낮았다 (P<0 05). 7. 사회적 지지도와 유의한 관계에 있는 일반적 특성은 성별, 결혼 상태, 종교, 월수입등이었다. 성별의 경우 남자보다는 여자가, 결혼상태에 있었서는 미혼, 기타의 경우보다 기혼이, 종교에 있어서는 종교가 없는 사람보다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월수입의 경우 월수입이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들이 고려된 큰 모집단에서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사회적 지지의 경험과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정신질환자의 가족지지 증진을 위한 지지적 간호중재 전략의 고안이 필요하다. 4.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에서 성별상태, 종교, 경제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