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판소리붙임새에 따른 伽倻琴 散調의 리듬分析

Title
판소리붙임새에 따른 伽倻琴 散調의 리듬分析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of Rhythm in Kayagum Sanjo in Comparison with P'ansori - Buchimse : with priority given to Kayagum Sanjo of Kim, Chuk-pa
Authors
孫炅湳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판소리 붙임새가야금 산조리듬김죽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Sanjo is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Sinawi in the provinces of Juoˇnlado. But it is P'ansori that have had a greater musical influence on Sanjo than Sinawi, and it is also P'ansori that has played a major role in making Sanjo what it is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hythm pattern of Sanjo in comparison with that of P'ansori -Buchimse. This paper, therefore, represents a research on the rhythm, patterns which exist in each movement of Kayagum Sanjo of Kim, Chuk-pa-Chinyangjo, Chungmori, Chungjungmori, Chajinmori, Hwimori, Sesanjoshi and free rhythm-compared with rhythm patterns of P'ansori-Buchimse. For convenience, here, the basic unit of each movement, that is, the length of rhythm is 6 beat in Chinyanjo, 12 beat in Chungmori, 4 beat in Chungjungmori, Chajinmori, Hwimori, Sesanjoshi. A result of analytic research on the' rhythm which is included in the respective movements of Kim, Chukpa's Sanjo in comparison with that of P'ansori-Buchirn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hinyangjo you can find, in most part, Temadidejangdan pattern with a few Oˇtbuchim, Ingoˇgoˇri and you can hardly find the variation of Buchimse. Second, in Chungmori the ratio of Temadidejangdan is the highest as in Chinyangjo and there are a few patterns of Ingoˇgoˇri, Kyodejuk and Wanjakori. Third, in Chungjungmori, you can find various kinds of Buchirnse, many of which are composed of Temadidejangdan. You can also find a lot of Kyodejuk Ⅰ- and Kyodejuk with a few Oˇtbuchim, Wanjakoˇri and Soribalgo-naom. Forth, in the movement of Chajinmori which is faster in tempo than Chungjungmori you can find much more variation in rhythmic pattern. Buchimse which appears most frequently in Chajinmori is Kyodejuk Ⅰand Wanjakori. Next Temadidejangdan and original Kyodejuk are also to be found in it. You can find a very few patterns of WanjakoˇriI, Kyodejuk Ⅲ, Kyodejuk IV, Poˇdum Ⅰ and KyodeJuk Ⅴ Fifth, in Hwimori you can find the style of Buchimse and the change of rhythm occurs most diversely in all the movements of Kayagum Sanjo of kim, Chuk-Pa. There appears the style of Wanjakoˇri most often in Hwimori, and next come Temadidejangdan and Chusoˇbuchim. And throughout this movement, you can easily find all the patterns of Kyodejuk Ⅰ, Kyodejuk Ⅱ, Wanjakoˇri Ⅰ, Kyodejuk , Poˇdum, Kyodejuk Ⅲ and Poˇdum Ⅰ, Kyodejuk Ⅳ, Wanjakoˇri Ⅰ Lastly Sesanjoshi is the movement which is quick in tempo like Chajinmori and Hwimori, but the kinds of Buchirnse are very few. It is chiefly composed of Temadidejangdan and Chusobuchim, and only a few of Ingoˇgoˇri and Oˇtbuchim are included. In conclusion it is estimated that the variation of rhythm and the kinds of Buchirnse in Kayagum Sanjo of Kim, Chuk-pa are more and more complex and diverse down from the movements of Chungjungmori which include quick tempo especially in the movements of Chajinmori and Hwimori than in the movements which include slow tempo.;散調는 전라도 地方의 시나위에서 根源을 찾을 수 있다고는 하지만 시나위보다 音樂的으로 더 많은 影響을 주었고 오늘날의 散調와 같은 모습을 갖추기 까지 決定的인 역할을 한 것은 바로 판소리였다. 그렇다면 판소리 붙임새에 나타난 리듬 形態가 散調 리듬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考察해 보려고 하는 것이 이 硏究의 目的이다. 本 論文에서는 판소리에 나타난 붙임새와 金 竹坡 伽倻琴 散調의 各 樂章 別로 즉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無長短, 세산조시, 無長短에 나타난 리듬과를 比較하여 살펴 보았다. 各 樂章의 基本單位 즉 한 長短의 길이는 진양조를 6拍, 중모리를 12拍,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세산조시는 各各 4拍으로 定했다. 판소리 붙임새에 나타난 리듬과 金 竹坡 散調에 나타난 全 바탕의 리듬을 各 樂章 別로 分析하여 살펴 본 結果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첫째, 진양조에서는 거의 大部分을 대마디대장단이 차지하고 있고 약간의 엇붙임과 잉어걸이가 나타날 뿐이어서 붙임새의 변화는 별로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둘째, 중모리에서는 진양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마디대장단의 比率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약간의 잉어걸이와 교대죽 그리고 완자걸이의 形態도 보이고 있다. 셋째, 중중모리에서는 제법 多樣한 붙임새의 種類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붙임새로는 아직까지도 대마디대장단이며 그 다음 順으로 많이 出現하는 것은 교대죽 I과 교대죽이다. 그 外의 엇붙임, 완자걸이, 소리밟고 나옴의 形態들로 多樣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중중모리보다 빠른 자진모리 樂章에서는 더 많은 리듬의 變化를 보이고 있는데 자진모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붙임새는 교대죽 I과 완자걸이이다. 대마디대장단과 순수한 교대죽이 그 다음 比重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주 조금씩의 比率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완자걸이Ⅰ, 교대죽Ⅲ, 교대죽Ⅳ, 뻗음I 그리고 교대죽V의 形態들도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휘모리는 金 竹坡 伽倻琴 散調 全 樂章을 통하여 가장 붙임새의 形態와 리듬의 變化가 多樣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樂章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완자걸이 形態이고, 그 다음 順으로 나타나는 것이 대마디대장단과 주서붙임이다. 그리고 교대죽I과 교대죽Ⅱ, 완자걸이Ⅰ, 교대죽, 뻗음, 교대죽Ⅲ, 또한 뻗음Ⅰ, 교대죽Ⅵ, 완자걸이Ⅱ의 여러 形態들이 比較的 골고루 分布되어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세산조시는 자진모리나 휘모리처럼 빠른 樂章이기는 하지만 붙임새의 種類는 簡單하게 나타나고 있어 대마디대장단과 주서붙임이 主를 이루고 있고, 그 外의 약간의 잉어걸이와 엇붙임이 나타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김 죽파 가야금 散調 리듬의 變化나 붙임새의 種類는 느린 樂章에서 보다는 중중모리 以後의 빠른 樂章에서 특히 자진모리나 휘모리와 같은 樂章에서 더욱 더 複雜하고 多樣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