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최소연-
dc.creator최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31-
dc.description.abstractJob satisfaction is a part of life satisfaction. Since a job is an important part of life, the adjustment to the job environment influences one's general life adjustment. Nowadays, as a result of placing enormous value only on the economic growth, the handicapped are at a particular disadvantage in terms of job status, promotion and wage differentials and undergo the maladjustment to work. So, the great efforts have been made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work adjustment of the handicapped. However, not so many studies are made up to present in Korea which clarif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work adjustment of the handicapp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handicapped and therefore to contribute to the work adjustment of the handicapped by inducing the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social workers into this area. For the above purpose, documentary studies and experimental method were selecte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documentary study, it explores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he adjustment to work. Regarding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it deals with the recipient situation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he characters of the crippled. In my research, suvery data are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54 crippled who had finish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Job satisfaction is measured by the Job Descriptive Index. (JDI : Smith, Kendall and Hulin, 1969-consist of 'Work itself' 'Pay', 'Supervision', 'Promotion' and 'Co-worke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crippled and Job satisfaction. 1) The age of the crippled have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2) The educational level and Job satisfaction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n the handicapped and the satisfaction for the 'Supervision' and 'the Whole Job' in terms of the handicapped. Thus, the more the positive perception on their handicap they hav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for the 'Supervision' and 'the Whole Job' 4) The degree of 'Co-work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motivation in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us, the higher the motivation in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for the 'Co-worker' 5) Th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turnove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for the 'Pay', 'Supervision', 'Promotion', 'Co-worker' and 'the Whole Job'. 2.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Job satisfaction. 1) In case that the crippled do not receive the vocational evaluation, the degree of 'Pay' satisfaction is high, however, in the opposite case, especially in case of choosing the trained Job,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Supervision', 'Promotion', 'Co-worker' and 'the whole Job' is high with the help of the vocational evaluation. 2) The longer the vocational training process,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for the 'Work itself', 'Supervision', 'Co-worker' and 'the Whole Job'. And the more helpful of vocational training for the recent Job,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crippled for the 'Work itself' and 'Co-worker'. 3)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Job placement. 4) In case that the crippled receive the follow-up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Supervision', 'Co-worker' and 'the Whole Job' is high. Finally,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practical aspect, social work service-offer,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in this area.;직업과 관련하여 느끼는 개인의 만족은 성인기 삶에 대한 만족의 한 부분이 된다. 특히, 현대 산업사회에서 직업은 인간생활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직업환경에 적응하는 것이야말로 성인기 삶에 대한 적응이라는 의미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장애자들은 현대 산업사회의 과다한 경제성장가치의 만연으로 인하여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취업 후 안정된 직장생활을 하는데 불익과 부적응을 경험해야만 했다. 물론 장애인구의 증가로 직업재활을 요하는 장애자가 증대함에 따라 이들의 능력을 개발하여 직업인으로서 안정감을 갖고 사회에 통합하도록 하는 직업재활의 노력이 전개되고는 있다. 그러나 취업한 장애자들의 직업적응과 관련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究明하고 또한, 그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직업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노력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가 직업환경에 보다 적응토록 하기 위하여 직업재활원을 수료하고 사업체에 취업한 지체부자유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이 어떠한 것인지 구명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와 직업재활프로그램이 취업 후 직업적응과 갖는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원을 수료하고 현재 사업체에 취업한 지 체부자유를 대상으로, 지체부자유의 개인적 특성 및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수혜상황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인지역의 직업재활원을 수료하고 현재 사업체에 취업한 지체부자유자 중 소재지가 확인된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위해서는 Smith, Kendall 그리고 Hulin의 JDI (Job Descriptive Index:「직무자체」,「임금」,「감독」,「승진」,「동료」의 5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인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1) 연령은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육정도는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직무수행상에 있어 지체부자유자가 장애정도를 약하게 지각할수록 「감독」과「전체」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직업훈련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갖고 있었던 사람일수록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직경험이 적을수록「임금」,「감독」,「승진」,「동료」,「전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2.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수혜상황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1) 직업평가를 받은 경험이 없을 경우에 「임금」에 대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평가를 받았을 경우에, 훈련직종을 선택하는데 있어 직업평가의 도움정도가 클수록 「감독」, 「승진」,「동료」에 대한 만족도와 「전체」직무만족도가 높았다. (2) 직업훈련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직무자체」,「감독」,「동료」,「전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훈련직종이 현직무에 주는 도움정도가 클수록 「직무자체」와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3) 취업알선여부는 직무만족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4) 사업체에 취업한 후 재활원으로부터 사후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을 경우에 「감독」, 「승진」에 대한 만족도와 「전체」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가 사회사업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점을 토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직무만족 = 6 B.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단계별 특성 = 11 Ⅲ. 조사방법 = 21 A. 표본추출 = 21 B. 조사도구 = 22 C. 자료수집 = 25 D. 분석방법 = 25 Ⅳ. 분석결과 및 주요발견 = 27 A.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7 B. 직무만족도 = 46 C.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 50 Ⅴ. 결론 = 63 A. 요약 = 64 B. 제언 = 67 참고문헌 = 72 부록 = 77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41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체부자유자-
dc.subject직무만족-
dc.subject직업재활원-
dc.subject사회사업학-
dc.title지체부자유자의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인지역 직업재활원 수료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 focusing on the crippled who had finished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Kyung Ki and Seoul-
dc.format.page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