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성-
dc.contributor.author박성희-
dc.creator박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28-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them in high social anxiety pers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 (a) whether the high social anxiety person has self-schemata related to social anxiety ; (b) the high social anxiety person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elf-preoccupation so that the information congruent to self-preoccupation from others could reduce the such self-preoccupation in high social anxiety person. 48 subjects a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 24 subjects have high social anxiety and 24 subjects have low social anxiety. Both the high social anxiety group and low social anxiety group are randomly assigned to Positive/Negative evaluation conditions. Positive evaluation condition is a treatment condition to give the information that subject's social anxiety level is normal while negative evaluation condition to give the information that the subject's social anxiety level is very high. In each conditions subjects have to judge Yes/No response whether each displayed word in the moniter is related to herself? After judging the words distracting task is given for 3minutes and then the subjects are requested to recall they have seen in monitor. The rate the subject judged, the ratio of recall and reaction time the subjects use to judge are measured. The data are analyzed b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are : (a) In high social anxiety person the words related with social anxiety are checked more as they are related with herself, recalled more and the reaction time is shorter when they judge the words related to social anxiety in negative evaluation condition but no such difference in positive evaluation condition (b) In low social anxiety person the words related with low social anxiety are checked more, recalled more and the reaction time is shorter when they judge the words related to low social anxiety, both in positive and in negative evaluation condition. In other words, the low social anxiety person doesn't show any difference in information processing by evaluating condition.;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인지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은 사회적 불안과 관련된 정보에 어떻게 자기도식(self-schema)을 형성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둘째,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은 자기(self)와 관련된 정보에 더욱 자기 편중(self-preoccupation)적인 주의(attention)를 하여 이러한 영역에 더많은 정보처리를 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세째, 타인의 긍정적인 평가가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의 자기 편중적 경향을 감소시키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불안이 높은 집단에 24명, 사회적 불안이 낮은 집단에 24명, 총 48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여 실험을 하였고 두집단을 긍정적인 평가조건과 부정적인 평가조건에 각각 12명씩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긍정적인 평가조건이란 사회적 불안도가 보통이라고 피험자에게 알려준 조건이고 부정적 평가조건이란 사회적 불안이 높다고 알려준 조건이었다. 각 조건의 피험자들은 무선적으로 제시되는 사회적 불안단어(15개)와 사회적 안정단어(15개)에 대해 이러한 단어들이 "자신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예", "아니오"로 판정하도록 하였다. 평정후에 3분간 방해과제를 실시한 다음 평정한 단어를 자유회상하도록하고 피험자들의 평정내용, 회상율,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변량분석(ANOVA)과 일련의 t검증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사회적 불안단어를 더 자기와 관련있다고 평정하고, 사회적 불안단어를 더많이 회상했으며, 사회적 불안단어에 더 빠르게 반응하였다. 2.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사회적 안정단어를 더 자기와 관련있다고 평정하고, 사회적 안정단어를 더 많이 회상했으며, 사회적 안정단어에 더 빠르게 반응하였다. 3.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평가조건에서는 사회적 불안단어를 더 자기와 관련있다고 평정하였으나 긍정적 평가조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4.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부정적 평가조건과 긍정적 평가조건 모두에서 사회적 안정단어를 더 자기와 관련있는 것으로 평정하였다. 5.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 평가조건에서는 사회적 불만단어를 더많이 회상했으나 긍정적 평가조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6.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부정적 평가조건과 긍정적 평가조건 모두에서 사회적 안정단어를 더많이 회상하였다. 7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 평가조건에서는 사회적 불안단어에 더 빠르게 반응했으나 긍정적 평가조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8.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부정적 평가조건과 긍정적 평가조건 모두에서 사회적 안정단어에 더 빠르게 반응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Ⅲ. 연구방법 = 8 A. 피험자 = 8 B. 도구 = 9 C. 실험절차 = 10 D. 설험설계 = 11 E. 결과처리 = 12 Ⅳ. 연구결과 = 14 A. 독립변인 조작효과 = 14 B. 사회적 불안단어와 안정단어 평정수 = 14 C. 사회적 불안단어와 안정단어의 회상율 = 18 D. 사회적 불안단어와 안정단어의 반응시간 = 22 Ⅴ. 전체논의 = 26 참고문헌 = 29 부록 = 34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29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적 불안-
dc.subject자기 편중-
dc.subject평가요인-
dc.subject교육심리-
dc.title사회적 불안과 자기 편중적 주의에 미치는 평가요인의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evaluative condition on the social anxiety and self-peroccupational attention-
dc.format.page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