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정금희-
dc.creator정금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84-
dc.description.abstractHysterectomy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operations done to women to treat uterine cancer or other disease. For a woman, the uterus functions as a symbolic organ which bestows on her the meaning and role of a complete woman. Hysterectomy patients feel physically threatened by the operation itself and that they have lost their identity and beauty as women by the removal of the uterus; they usually suffer emotional pain along with the physic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and among select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two study variables. The purpose was to provid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lients' perceptions of physical change and related depression. The ultimate goal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interventions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body image and the alleviations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hysterectomy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5 to April 20, 1988 from 87 patients in seven hospitals in Seoul, who had had hysterectomies in the period prior to data collection ranging from seven days to two years. The instruments were a body image scale designed by the investigator using the phystcal self items out of Fitts' Tennessee Self-Concept Scale and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body image percived by hysterectomy patients was a mean of 50.68 (SD=±10.50). The level of depression was a mean of 43.63(SD=±8.78); 74%(64) patients showed normal depression, 24% (21) showed mild depression and 2%(2) showed moderate depression. 2.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lower the level of body image percieved by hysterectomy patient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upported ( r = -.5187, p = .001 ). 3. (1)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body image were the monthly income of the home, the experience of artificial abortion, the spouse's attitude and sexual satisfaction posthysterectomy ( F = 3.407, p = .0378; t = -2.71, p = .008; F = 3.967, p = .0228; F = 6.159, p = .0055 ). (2)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the degree of education, the hope for children, the spouse's attitude and sexual satisfaction posthysterectomy ( t = -1.76, p = .082; t = 2.20, p = .030; F = 6.745, p = .0020; F = 4.059, p = .0409 ). For these subjec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nurse caring for hysterectomy patients needs to plan nursing interventions toward helping clients establish a positive body image and work through the grieving process after the loss of a body part to prevent and alleviate depression.;오늘날 자궁적출술은 자궁암이나 그외 질환의 근본적 제거 등을 목적으로 전체 부인과수술의 2/3를 차지하는 수술이다. 자궁은 여성에게 완전한 여성으로서 의미와 역할을 부여하는 상징적 장기이다. 따라서 자궁적출술을 한 환자는 자궁의 상실로 인해 수술자체로 인한 신체적 위협뿐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주체성과 아름다움을 상실한 것으로 지각하므로 신체상의 변화와 함께 정서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궁을 적출한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상의 변화와 우울상태를 파악해 봄으로서, 환자가 긍정적인 신체상을 재형성하고 우울을 완화·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자료는 1988년 3월 25일 부터 4월 20일까지 서울시내 7개 종합병원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후 7일에서 2년이내의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Fitts의 자아개념검사중 신체적 자아문항과 Osgood의 신체의미척도를 중심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신체상 측정도구(Cr-onbach's Alpha=.8099)와 표준화된 도구인 Zung의 자가평가우울 도구 (Self-rating Depression Scale)를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궁적출술 환자가 지각한 신체상정도는 평균 50.68점 (SD=±10.50)이었고, 우울정도는 평균 43.63점( SD =± 8.78 )으로 정상적 우울이 74%(64명), 경증우울이 24%(21명), 중증우울이 2%(2명)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의 가설인, "자궁적출술 환자가 지각한 신체상점수가 낮을수록, 우울정도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5187, p=.001) 3. 1) 신체상정도와 관계있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가정의 월수입, 인공유산 경험과 수술후 배우자태도 및 성생활 만족도로 나타났다. 즉, 가정의 월수입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인공유산의 경험이 없는 집단이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신체상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F = 3.407, p = .0378; t = - 2.71, p = .008), 수술후 배우자태도가 좋아졌다고한 집단이 나빠졌다고한 집단보다, 수술후 성생활에 만족하는 집단이 불만족한 집단보다 높은 신체상정도를 보였다(F = 3.976, p= .0228 ; F = 6.159, p= .0055). 2) 우울정도와 관계있는 일반적 특성은 교육정도, 자녀희망여부와 수술후 배우자태도 및 성생활 만족도로 나타났다. 즉, 교육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녀를 희망하는 집단이 희망하지 않는 집단보다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t = -1.76, p = .082; t = 2.20 p = .030), 수술후 배우자태도가 좋아졌다고한 집단이 나빠졌다고한 집단보다, 수술후 성생활에 만족한 집단이 불만족한 집단보다 낮은 우울정도를 보였다( F = 6.745, p = .0020 ; F = 4.059, p = .0409).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자궁적출술 환자에 있어서 신체상과 우울정도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자궁적출술한 환자를 간호함에 있어 환자가 긍정적인 신체상을 형성하도록 하며,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시키므로서 신체상실후 적응과정을 돕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가설 = 3 D. 용어정의 = 3 E.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신체상의 변화 = 4 B. 신체상과 우울 = 8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1 B. 연구도구 = 12 C. 자료분석 = 13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4 A. 대상자의 신체상정도와 우울정도 = 14 B. 신체상정도와 우울정도간의 관계 = 15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정도 및 우울정도 = 17 Ⅴ. 결론 및 제언 = 24 A. 결론 = 24 B. 제언 = 26 참고문헌 = 27 부록 = 34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42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궁적출술-
dc.subject환자-
dc.subject우울-
dc.subject신체-
dc.title자궁적출술 환자의 신체상과 우울과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