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문자-
dc.contributor.author張賢哉-
dc.creator張賢哉-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44-
dc.description.abstractSpace is an intrinsic quality in a picture. Space reflects composition and painter's inner world through formative idea. "Although completed, there is yet to be desired", implies that Oriental painting is an art of suggestion. Therefore, space, in Oriental Painting, is introduced intentionally to give room for imagination. Without any drawing, space acts as a ground to generate suggestion, and consequentially supports the picture as well as an extension of the real picture. By inspiring appreciator's imagination, it leads him toward a more wider and higher world overruling trifles. Noting the meanings of space, I have tried to give most possible value to it while I evaluate its effec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scribe the concept of space in both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 as well as the spirit and meaning of space in Oriental painting. Through this opportunity, I would like to observe how space is expressed and how it fits into the whole picture in my pictures, to facilitate a more effective self-expression technique.;繪畵에 있어 空間은 畵面의 本質的인 要素로서 존재한다. 給畵에 나타나는 空間의 槪念은 造形 意識을 통하여, 畵面의 構成과 作家의 內面 世界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車洋畵는 「그림은 다 그렸어도 뜻은 남아 있다」는 말이 암시하듯 아직 表現 할 수 없는 뜻이 남아 있어 餘韻이 충만된 技術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東洋畵의 餘白은 表現 形體에 대한 思惟的인 背景을 의도적으로 畵面 內에 만듬으로서 생겨난다고 하겠다. 餘白은 畵面에서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으면서도 무언가 餘韻이 감도는 듯한 空白의 부분 즉, 形體 外의 부분을 말하며 이 表現되지 않은 부분은 畵面을 돋보이거나 연장으로 보이게 하여 그려진 부분과 마찬가지로 生命을 갖게 한다. 또한 鑑賞者의 想像力을 키워 한편으로 卑小한 것을 버리고 보다 넓고 보다 높은 것으로 인도하는 힘을 갖는다. 이와 같이 餘白도 하나의 空間으로서 意味를 갖고 있음에 기인해 本人은 作品 제작에 있어 이와 같은 餘白의 意味를 畵面上에 최대한 부여해 보려고 하였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餘白의 효과를 모색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本 論文에서는 理論的 基盤으로서 일반적으로 갖는 東·西洋畵의 空間 槪念과 東洋畵 畵面上에서의 空間, 즉 餘白의 精神과 意味에 대해 진술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本人의 作品속에서는 이와 같은 餘白이 어떻게 表現되었고 전체 畵面속에서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內面 表現을 위한 계기가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 目的 = 1 B. 硏究 內容 = 1 C. 硏究 方法 = 2 Ⅱ. 理論的 基盤 = 3 A. 繪畵에 있어 望間 槪念 = 3 1. 東洋畵의 空閣 槪念 = 3 2. 西洋畵의 空間 槪念 = 5 B. 畵面上의 餘白 = 6 1. 餘白이 갖는 精神的 背景 = 6 2. 餘白의 意味 = 9 Ⅲ. 作品分析 = 14 A. 作品 背景(餘白 의 造形性) = 14 B. 作品 解說 = 18 Ⅳ. 結論 = 36 參考文獻 = 38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442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백-
dc.subject동양화-
dc.subjectSpace in Picture-
dc.subject작품-
dc.title작품에 나타난 여백의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aning of Space in Picture-
dc.format.page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