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종윤-
dc.contributor.author金成姬-
dc.creator金成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8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835-
dc.description.abstractIt has been investigated whether the contents of chemistry textbook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have a good curicular articulation relationship. With the analysis criteria set up on the basis of the theoritical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studies, the contents of current chemistry textbooks such as Natural Science in primary school, Science in middle school and Chemistry I and Ⅱ in high school, were classified into 62 principal items for analysis and comparison. Viewing cirriculums from primary to high school,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grades with in the same schgole unit were more closely related than among school unit. Unified course was provided up to middle school while the course was devided in high school, hence there was remarkable unrelatednes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he relationship study between schools revealed the fact that the relatedness in cirriculum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was much closer tha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In comparison with units, unit Ⅰ,Ⅱ,Ⅳ and Ⅷ were loosely connected. And with items, espacially (solid state and crystal, boiling point), (energy change with state transitions) were closely connected, but (pure substances, compounds), (nature of gases, gas molecule kinetics) had relatively loose connec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aper, conclusions can be made as follow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are weaker than between grades, a lot of efforts are required when entering a middle or high school. therefore textbooks of each school are to be written with more consider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in the way of expressing contents or developing a description of concepts. And curriculums proceeding fromprimary to high school should be spirally composed of concepts from lower to higher with repetition so as that students may learn chemistry with much more interests.;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중 화학 영역의 교과 내용이 나선형식의 연계성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 과정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의 준거를 설정하여, 현행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 고등학교 화학 Ⅰ·Ⅱ 교과서의 내용을 62개의 주요 항목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비교 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초·중·고등학교의 교과 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에서 고등학교 화학Ⅰ·Ⅱ 교과서로 전이되면서 각급 학교의 학년별 교육과정이 학교별 교육과정 보다 잘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국민학교에서 중학교로 가면서 과학교육이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다가 고등학교로 가면서 분과 교육이 이루어져 중→고 간에 비교적 많은 비연계가 나타났다. 또한 국민학교에서 중학교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학교별 연계성을 비교해 보면, 국민학교에서 중학교로의 교과 내용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교과내용이 연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중·고 교과서에서 각 단원별 연계성 비교에서는 Ⅰ·Ⅱ·Ⅲ·Ⅳ·Ⅷ 단원이 전반적으로 연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항목별 비교에서는 특히 고체상태와 결정·녹는점, 상태변화에 따른 에너지 변화등이 연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순물질·혼합물, 기체의 성질, 기체분자 운동론등에서 비연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초·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중 화학영역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해보면, 초·중·고 각급 학교의 학년별 연계가 학교별 연계보다 비교적 잘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국민학교에서 중학교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교육과정이 전이될때 마다 학습자들이 학습하는데 많은 고충이 따르리라 예상되므로, 각급 학교별 교과서가 내용 표현의 방법이나 내용 서술 전개에 있어 보다 면밀한 연계성의 검토하에 쓰여져야 하겠다. 끝으로 이러한 내용분석적 연계성 연구가 앞으로의 화학교과서 편찬, 개선에 참고자료로서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사 = 3 Ⅱ. 이론적 배경 = 7 A. 과학 교육 과정 = 7 B. 과학 학습 내용 = 8 C. 화학교육 내용면에서 본 연계성 = 10 D. 교육과정 연계성의 준거 = 12 Ⅲ. 자료 및 연구방법 = 14 A. 자료 = 14 B. 연구방법 = 14 C. 분석의 준거 및 내용 = 16 D. 분석의 제한점 = 21 Ⅳ. 결과 및 고찰 = 22 A. 전체 주요 개념(항목)에 대한 분석 = 22 B. 각 단계별 전체 단위수에 대한 연계, 비연계의 분류 = 22 C. 각 단계별 전체 단위수에 대한 연계, 비연계의 비교 = 22 D. 각 단계별 중복, 격차, 연계의 비판 = 36 E. 전체 주요개념(항목)에 대한 '분석내용'조합의 분류 = 48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37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중등학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과학교과서-
dc.subject화학-
dc.subject초중고-
dc.title초·중·고 과학교과서의 화학영역에 관한 연계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icular articulation of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Chemistry Content in the Textbook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화학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