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6 Download: 0

지층의 율동적 표현 연구

Title
지층의 율동적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hythmic Expression of the Strata
Authors
김효순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지층율동적표현생활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태호
Abstract
19세기 이후 科學文明이 급속도로 發達함에 따라 인간에게 무한한 感動을 주며 創作活動을 하는데 있어 原動力이 되어왔던 自然을 보는 시각은 무한대로 확장되어 肉眼으로 볼 수 없는 자연현상까지도 우리는 쉽게 경험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創作活動에 있어 대상을 表現素材로 삼아 猫寫하는데만 그치지않고 형태를 變形시켜 본연구자의 독특한 表現世界를 구축하려 하는데 그 目的을 두고 있다. 이러한 目的을 위하여 理論的 背景으로 表現素材의 擴張, 形態의 變形, 地層構造의 造形性에 대하여 考察하고 作品形成을 통하여 표현소재, 표현재료 및 기법을 모색하여 10점의 작품을 製作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에 도달하였다. 첫째, 예술가가 表現하는데있어 과거에는 肉眼으로 볼수 있는것만을 表現對象으로 삼았으나 근래에 와서는 科學文明의 발달로 인해 즉, 科學的 手段을 이용하여 人間의 시각범위가 넓어져감에 따라 예술에 있어 표현소재 또한 다양해짐을 알았다. 둘째, 자연의 調和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보는 觀點에 따라 각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그 속에 내재된 자연의 질서와 리듬감은 조형작품의 적절한 소재가 되었다. 셋째, 作品製作에 있어 분무기를 이용한 表現效果의 가능성과 그것의 사용에 따른 技術的 方法을 알게 되었다. 한편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 또한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 분무염은 납방염에 비해 작업과정이 單純하지만 염료가 섬유위에 부착만 되고 완전히 염착되지 않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분무염은 다른 技法과는 달리 염료의 입자가 분사됨으로 직물의 질감에따라 민감한 反應을 보였다. 천의 표면이 고운직물 일수록 표현효과적이었으며 앞으로는 직물의 특성에따라 분무효과를 좀더 다양하게 실험해야 할 必要性을 느꼈다. 셋째, 표현대상의 형태를 변형시켜 反復하는 과정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했던 것 같다. 이와같은 결론을 바탕으로하여 본 연구자는 앞으로의 造型活動에 있어 문제점을 점차 개선하여 새로운 표현방법을 硏究 摸索함으로써 더욱 발전된 조형세계를 구축해 나아갈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From the nineteenth century on, science has made a great progress, accordingly, the methods of seeing nature, which has been the unfailing source of artistic impression and creative activity, has become varied; what we cannot see with the naked eyes, we can experience by dint of the virious scientific means. Hence the broadening of the range in the subject matter and style in the artistic expression. I chose the strata as my subject matter, aiming to build my own artistic world. Such problems as diversification and reshaping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structure and the artistic formation of the strata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ses for my purpose in this thesis. Besides, I searched after the possibilities of renovating the subject matters,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en pieces of work, which led me to follwoing conclusions. First, I came to realize that today the methods of expression have become diversified thanks to the scientific development while in the past only the visible objects were dealt with by the artist. Second, the natural phenomena can be presented in various ways, which do pend upon how one sees them; and thd order and rhythm inherent in them can be an adequate subject matter for art. Third, I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effective expression of my artistic vision through the air brush work and also came to understand the techniques proper to the implement. But I also encountered the follwoing problems. Above all, though the air brush work is more convenient than the batik, the former requires more cardful attention since the air brush merely coats the fabric. Second, the air brush work, unlike other techniques, is sensitive to the quality of the texture since the air brush only jets the corpuscles of the dyeing colors, and does not dye the texture. Thus, the smoother the texture is, the more effective the result. is. I felt that it is quite necessary to experiment with the air brush technique to find out the more effective way of using the implem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quality of the texture. Third, I realized that my presentation in the repeated reshaping of my subject matter requires more appropriate techniques if it is to be fully satisfactory. With these conclusions in mind, I hope to build my own world of art, solving the probledms in my field and searching for the new ways of giving expressions to my creative v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