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태련-
dc.contributor.author염미영-
dc.creator염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on the basis of diagnosis of their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in order to consider th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ch have experienced seperation from their parents and have placed in institution. Following is the content that will be mentioned in this study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according to their sex and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y had been cared for by their natural parents during the period born to six or not.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according to the period they have been cared for in institutions. 4. Is there any relation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5. Is there any difference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between standarized students at home and students in institutions. To find out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 study was put in operation with Spielberger's trait anxiety test and Jung, Won Shik's self concept tes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13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2nd grade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in 21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Kyungki Province, Pusan, Junjoo, and Choog Chung Province. The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And all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at on the standarized students at home.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according to different ages (2nd grade in junior and senior) and different sexes. Campared with students at home, male students in institutions of junior high school has lower anxiety tendency, and the ones of senior high school has higher one. In self concept(T.P.),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y have lower self concept tendency than students at home. 2. Trait anxiety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ther or not they had been cared for, born to six, by their natural parents And it's also the same in comparison with students at home. But self concep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in the female studen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 accepting and moralistic self conscept. Compared with standarized students being cared for at home, both groups experienced natural parents' caring and didn't show a significant that has lower standard in self concept (T.P.). 3. In the trait anxiety according to the period of being cared for in institutions, just in male students group, anxiety of the group that have been cared for more than 10 years is far higher than that of 5 years. But in self concep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compared with students at home, only male students who have been cared for more than 10 years have much higher tarit anxiety. In self concept, there i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when they are compared with students at hom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both groups have been cared for less than 5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have lower self concept (T.P.) and in male students, i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longer the period of being cared for in institution, the lower the self concept in female students 4. The relativity betwee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shows static relativity (r=.49, p=.000), and submeasure shows unstatic relativity (-.68<r<-.43). From this, we can recognized that the group which has low trait anxiety has higher self concept tendency on the average than that of high trait anxiety. From these results, therefore, it proved to have rather colse relation betwee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ng self concept (T.P.) of group of students in institutions that is under 25% of trait anxiety and group of students at home.;본 연구는 부모와의 분리경험·보호 양육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시설 청소년의 성격특성을 살펴 보기 위하여, 그들이 가진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을 진단하고, 또한 특성불안과 자아개념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설 학생들은 연령별·성별에 따라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2. 시설 학생들은 출생후 6세까지의 부모의 양육여부에 따라 특성불안 및 자아 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3. 시설 학생들은 시설입소후 양육기간에 따라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4. 특성불안과 자아개념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5. 시설학생들과 일반가정 학생들은 특성불안 수준 및 자아개념(총 자아긍정)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부산·전주·충청도에 있는 육아시설중 21개 시설에서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과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 총 134명을 대상으로 Spielberger의 특성불안검사(STAI 중 Form X- Ⅱ, 김정택, 1978) 와 정원식의 자아개념검사(1968)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연구문제의 순서대로 기술하고, 표준화시킨 일반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1. 시설 학생들은 연령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과 성별에 따른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 수준에 유의한 차가 없다. 일반가정의 학생들과 비교하면, 중학교의 남학생이 낮은 불안경향이 있고, 고등학교 남학생이 높은 불안경향을 보였다. 자아개념은 일반가정 학생보다 낮은 유의한 차가 있다. 2. 시설 학생들은 출생후 6세까지의 부모의 양육여부에 따른 특성불안에 유의한 차가 없고 일반가정 학생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는 없다.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을 받지 못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도덕적 자아에서는 유의한 차를 보였고, 또한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양육여부에 따라 자아수용과 도덕적 자아에서 유의한 차가 있다. 일반 가정 학생과의 비교에서는, 부모의 양육을 경험한 집단이나 경험하지 못한 집단 모두 자아개념 수준에서 낮은 유의한 차를 보였다. 3. 시설 입소후 양육기간에 따른 특성불안은, 남학생의 경우만 양육기간이 10년 이상의 집단이 5년이하의 집단에 비해 불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 학생과의 비교에서도, 시설의 10년 이상의 입소기간을 가진 남학생만이 유의하게 특성불안이 높았다. 자아개념은 시설 학생에게 양육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는 없으나, 일반 학생과의 비교에서, 양육기간은 5년이하나 10년이상의 집단 모두 자아개념 수준에서 낮은 유의한 차가 있다.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가 여학생에 비해 양육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4. 특성불안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는, 자아평가에서는 정적상관( r= .49, p= .000 )을 보였고, 그의 하위척도에서는 -. 68 < r < - .43 의 부적상관( p= .000 ) 을 보여 특성불안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자아개념이 평균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특성불안과 자아개념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했다. 그리고, 일반가정의 학생집단과, 특성불안수준이 하위 25%에 있는 시설 학생집단의 자아개념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과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불안과 불안특성 = 5 B. 자아개념 = 9 C. 선행연구의 개관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A. 연구대상 = 16 B. 측정도구 = 16 C. 검사일시 및 자료처리 = 18 Ⅳ. 결과 및 해석 = 20 A. 시설 청소년의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 = 20 B. 표준화집단과 시설집단의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 비교 = 27 Ⅴ. 논의 및 결론 = 35 A. 요약 및 논의 = 35 B. 결론 = 39 참고문헌 = 40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35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시설청소년-
dc.subject특성불안-
dc.subject자아개념-
dc.subject표준화집단-
dc.title시설 청소년의 특성불안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rait Anxiety and Self Concept of Student in Institution-
dc.format.page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