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朴賢珠-
dc.creator朴賢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5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5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45년부터 1980년까지의 한국 유치원교육의 현황을 자료를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발전과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였다. 1. 한국 유치원교육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유치원교육의 양적변화를 본다. 2. 한국 유치원교육 법령자료 분석을 통해 유치원교육의 법적변화를 본다. 3. 한국 유치원교사 재교육의 관련자료분석을 통해 유치원교사 재교육의 질적 변화를 본다. 본 연구는 통계와 법령, 유치원교사 재교육의 관련자료를 수집, 체계화, 분석하였다. 한국 유치원교육은 통계와 법령, 유치원교사 재교육자료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치원교사 재교육은 한국어린이 교육협회를 중심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 한국 유치원교육 통계자료의 분석. 1. 유치원수, 원아수, 교원수에 있어, 1945년부터 1969년까지는 증감현상을 보였으나, 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2. 우리나라 유치원은 해방후부터 1980년에 이르기까지 지역별(서울), 설립별(사립) 편중현상을 보였다. 3. 정부는 1976년 공립유치원 설립(5곳)을 시작으로, 공립유치원 설립을 위한 계획과 방안이 구체적으로 세워졌다. 4. 유치원, 어린이집, 농번기탁아소는 기관수와 원아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지역별로도 다른 분포를 보였다. B. 한국 유치원교육 법령자료의 분석 1. 유치원은 1949년에 「교육법 」에 의해 학교기관으로 처음 규정되었다. 이때 규정된 유치윈의 법적위치와 목적, 목표, 취원대상은 전혀 개정됨이 없이 80년에도 적용되고 있다. 2.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1979년 1차 개정에 의해, 5개의 생활영역으로 구분되었던 것이 4개의 발달영역으로 개정되었다. 3. 유치원 교원자격은 1953년 처음 규정되었다. 1963년 개정에 의해 유치원이 별도 규정되었으나, 국민학교 자격자도 유치원교사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4. 탁아시설에 관한 규정은 1961년에 시작되었으며, 1969년에 탁아시설의 시설기준과 보육내용이 규정되었다. 5. 유치원 시설·설비와 수업료 및 입학금에 대해서는 1962 년에 처음 규정되었다. C. 한국 유치원교사 재교육의 질적 변화 1. 유치원교사 재교육을 위한 민간교원단체에서 주도한 강습회는 1948년 한국어린이교육협회에 의해 처음 개최되었다. 2. 1971년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원장 강습회를 시작으로, 70년대초에는 운영자를 위한 강습이 한국어린이교육협회에 의해 개최되었다. 3. 재교육은 강습회와 월례회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여기서는 유아교육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가 폭넓게 다루어졌다. 4. 재교육의 방법은 50년대는 강습회가 주로 개최되었다. 60년대는 새로운 주제로 연구회, 강연회가 월례회를 통해 이루어졌다. 70년대말에 와서는 세미나, 심포지움, 웍?僿還컥막?바뀌었다. 5. 재교육은 출판물과 「회보」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회보」를 통해 재교육되어진 내용의 연대별 주제는 1960 : 어린이 정서교육, 1961~62 : 민주시민교육, 1965 : 발달하는 어린이의 요구, 1966 : 어린이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요구, 1967~69 : 어린이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구를 이해하자. 올바른 관심을 갖자, 1970~ : 아동발달이해·조기교육·국제이해교육 등이다.;This study analyzed situation of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 from 1945 to 1980.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future progression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rough statistics, analysis quantitative change of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 was examined. 2. Through statutes, analysis statutory change related to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 was examined. 3. Through in-service education related materials, qualitative change of in-service education for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was examined. Statistics, statutes, and in-service education related literature was collected, systematized and analyzed. Kindergarten education was analyzed focused on statistics, statutes, and in-service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For in-service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material focused on Korea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KACE) was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Analysis of kindergarten education's statistics materials. 1. Numbers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teacher increased and decreased from 1945 to 1969, but increased consistently from 1970 to 1980. 2. Korean kindergarten showed preponderance according to distinct (Seoul) and institution (private) from 1945 to 1980. 3. In the beginning of establishing the public kindergarten in 1976, Korean government draw a concrete plan for establishment of public kindergarten. 4. Kindergarten, Children House and day-care center for busy farming seas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numbers of institution, children and district. B. Analysis of kindergarten education's statutes materials. 1. Korean kindergarten as school institution was prescribed by the Education Law of 1949. Statutory position, goal, objective and kindergarten subject parts of the Education Law has not been revised until 1980. 2. First Korean kindergarten curriculum was made in 1969. First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1979 changed five life areas into four developmental areas. 3 . Qualifi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was prescribed in 1953 for the first time. 1963s revision made kindergarten prescribe independently. B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be kindergarten teachers. 4. Prescription for day-care facilities began in 1961. In 1969, standard for day-care facilities and nurture contents was prescribed. 5. Kindergarten's facilities and equipments, tuition fee and entrance fee were prescribed in 1962 for the first time. C. Qualitative change of Kindergarte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1. First annual workshop for kindergarte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was held by KACE which was non-public teachers association in 1948. 2. In the beginning of annual workshop for administrators kindergarten and Children House in 1970, annual workshop for administrators and head teachers was held by KACE in early 1970s. 3.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was possible through annual workshop and monthly meetings. And at two kinds of meeting, theory and practic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reated broadly. 4. Main method for in-service education was annual workshop in 1950s. Main method in 1960s was lecture meetings, monthly meetings and research meetings. In the late 1970s, method was changed into seminars, symposiums and workshops. 5.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was possible through publications and bulletins. Chronological subjects of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through bulletins are as follows: 1960: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1961-62: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1965: need of developing children, 1966: need for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1967-69: understand need of decisive effects for children's growth and have right concerns to children, 1970-: understanding children's developmen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early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및 용어정의 = 5 Ⅱ. 한국 유치원교육 통계자료의 분석 = 7 A. 유치원수의 현황 = 7 B. 유치원아수의 현황 = 16 C. 유치원교원수의 현황 = 20 D. 기타 유아교육기관의 현황 = 23 Ⅲ. 한국 유치원교육 법령자료의 분석 = 26 A. 법적위치와 목적, 목표에 관한 규정 = 26 B. 교육과정에 관한 규정 = 28 C. 교원자격에 관한 규정 = 32 D. 탁아시설에 관한 규정 = 36 E. 시설·설비에 관한 규정 = 37 F. 수업료 및 입학금에 관한 규정 = 41 Ⅳ. 한국 유치원교사 재교육 관련자료의 분석 = 45 A. 교원단체의 개관 = 46 B. 한국어린이교육협회를 통해서 본 유치원교사 재교육의 질적변화 = 49 Ⅴ. 요약 및 결론 = 85 참고문헌 = 92 부록목차 = 97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149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교육-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Kindergarten Education-
dc.subject.ddc300-
dc.title해방후 한국 유치원교육의 자료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kindergarten education's materials in Korea-after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y-
dc.format.page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