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양수-
dc.contributor.author兪賢京-
dc.creator兪賢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9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92-
dc.description.abstractTraditional grammar is the collection of grammatical explanation and rules that has been used by teachers of English for the past 200 years. It has its foundation in the 18th century studies of the prescriptive grammarians, who were concerned with formulating rules for the correct usage of English. Criticism of traditional grammar has concentrated on two faults inherent in the principle of the grammarians: (1) they based their description of English on inflected languages like Latin and Greek; (2) they failed to give a systematic and through description of the language as it is actually used. The main defect of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based on traditional grammar is that little stress is laid on accurat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Communication skills are neglected. There is much stress on knowing rules and exceptions, but little training in using the language actively to express one's own meaning. The student's role in the classroom is, for the most part of the time, a passive one. Advocates of active classroom methods continued to voice their own principles in various countries throughout the 19th century and some of them have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foreign language teachers. These theorists shared a common belief that students learn to understand a language by listening to it and that they learn to speak it by speaking. The various oral and natural methods which developed at this time can be grouped as forms of the direct method or oral metho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ropenants of the oral method for Korean teachers of English was Harold E. Palmer. The origin of the oral approach may by found in the work of the American structural linguists who working in the same climate of opinion as the behaviorist psychologists. Structural linguists tried to describe the sound patterns and word combinations of each language as they observed them. They regarded language as a living, evolving thing, not as a static unit of forms and expressions. Charles Carpenter Fries, the advocate of the oral approach, points out that a person has learned a foreign language when he has first, within a limited vocabulary, mastered the sound system and has, second, made the structural devices matters of automatic habit. It is true that Palmer's oral method and Fries's oral approach have a number of things in common. In both the emphasis is upon the actual use of the foreign langage. In both translation is eliminated. In the oral approach the language of the pupil is avoided as much as possible but it is used when necessary to make sure that explanations are thoroughly understood. Generalizations concerning structure are a regular feature of the oral approach although they are always related to the oral practice of the language. A classroom technique of the oral approach that has come under attack is pattern practice and the various types of drills associated with it. The principal objection has been the lack of transference from the rigidly controlled patterns that constitute the core of the classroom activities to real communication situations.;전통적 영어 교수법은 언어의 음성적 면의 본질음 무시하고 오로지 그 형태적 특징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영어 학습의 목적도 소극적인 수용면 만을 강조해온 결함이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의 문법편중주의를 통하여 전통문법은 체계화되고 거의 완벽에 가까운 정도로 형식화되고 정비되어서 수동적인 학습에 편의를 제공하고 교양 및 이성적 판단력의 양성을 위하여 많은 효과가 있었다. 19세기 초에 이르러 전통적 교수법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개혁적 이론이 대두되고 그것은 주로 음성 중시의 구두교수를 주창하는 내용들이었다. 그 중에서 한국의 영어 교육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 두 교수법으로 Harold E. Palmer의 Oral Method와 Charles Crpenter Fries의 Oral Approach를 들지 않을 수 없다. Palmer는 체계적, 혁신적, 동적, 현실적인 언어 실체를 포함하는 지식으로서의 언어를 말하며 후자는 인간이 언어체계에 준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수법에서는 언어체계만을 대상으로 하고 지식으로서의 언어면 만이 처리되었다. 이것은 언어의 단편적 처리에 불과하다. 특히 언어가 습관형성의 문제라면 지식의 제공 만으로는 학습이 완전하지 못하다. 습관은 단지 지식의 문제가 아닌 반복연습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 소위 신 교수법들인데, 그중에 Palmer의 Oral Method의 원리는 이 점을 더욱 명백히 강조하였다. Fries의 Oral Approach의 기본적 학습 원리는 제한된 어휘 범위 내에서 우선 음조직을 구두로 습득하고 다음에는 발화구조상의 기본적 배열을 자동적으로 습관화 시키는 것이다. Fries의 구조주의적 방법론의 특징은 교재의 선택, 그 배열 및 지도기술의 구체화에 있다. 어휘 중심이 아닌 구조 중심의 교재의 배열, 음성이나 구조의 대립적 요소를 기본으로 하는 지도법, 음성 및 구조의 완전학습, 언어운용을 목표로 하는 습관형성, 최소한의 시간에 최대한의 연습량의 확보, 문형연습 및 모방암기법에 의한 효과적인 연습 등의 기본적 원칙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는 또한 교재 작성의 지침으로 목표어와 모국어의 대조분석에 의한 교재의 작성, 구조중심적 언어 재료의 단계적 도입, 제공되는 언어 재료와 관련된 장면의 설정을 강조하였다. 결국 교수법의 문제는 대단히 복잡, 다양하며 중복적이므로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 당사자들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Palmer의 Oral Method = 5 A. 언어관 = 6 1. 영어학습의 3단계 및 5습성 = 7 2. 언어전달 경로(speech circuit) 및 방법 = 11 3. 장면의 중요성 = 15 B. 지도기술 = 19 1. 정형회화 (conventional conversation) = 19 2. 명령연습 (imperative drill) = 22 3. 동작연쇄 (action chain) = 22 4. 정상속도 = 23 C. 적용범위 = 24 Ⅲ. Fries의 Oral Approach = 30 A. 언어관 = 32 B. 교재론 = 33 C. 지도기술 = 35 1. 구두도입 (Oral Introduction) = 35 2. 대립(contrast)의 원리 = 36 3. 모방-암기 연습 (mim-mem practice) = 37 4. 교사 대 학생의 문답 (teacher-pupil questions and answers) = 37 5. 읽기연습 = 38 6. 쓰기연습 = 39 7. 문행연습 (pattern practice) = 39 Ⅳ. Oral Method와 Oral Approach의 비교 = 44 Ⅴ. 결론 = 49 참고문헌 = 52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06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Oral method-
dc.subjectOral approach-
dc.subject언어관-
dc.subject영어교육-
dc.titleOral Method와 Oral Approach의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Oral Method and Oral Approach-
dc.format.page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