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우리나라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구성 비교와 분석 및 교사 인식

Title
우리나라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구성 비교와 분석 및 교사 인식
Other Titles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urriculum in Department of gifted Education of Korean graduate school and Awareness of Teachers
Authors
한슬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최경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in department of gifted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with respect to operational overview,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and also the offered subjects. And, the study investigated not only research about curriculum for teachers, gifted education, the proces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US, Singapore, but also awareness and demands of the gifted teacher about the graduate degree programs. The subjects were 17 graduate schools which had established since 1998 in Korea and also been operated with independent department, the gifted education.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with analysis on handbook of the graduate school, and contacts with department assistants through phone call and e-mail. In addition, the subject were 9 male and female gifted teachers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the gifted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made use of survey, with a qualitative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operational overview was analyzed by Operating Principals, time, name of department and graduate dept. Objectives were separately different with their form of the graduate school, and not explicit.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credits for the major. one graduate school suggested 16 credits as a standard for completion of a major but another school suggested 27 credits. Also courses which were offered were different individually. The study suggest that the schools should offer courses including assessment, participation in real gifted education, and intensive course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language. Secondly, teachers who were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reported that they were not completely satisfied with curriculum and school because school's curriculum was not organized. However it is represented that the graduate degree programs were positively effective on competence of gifted teachers which was awared by themselves. This study can draw the following discussions. At first, It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f the department of gifted education to integrate the curriculum including credits, courses. With the standard curriculum, it will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students. Secondly, because it is observed that most of schools offer mathematics and science- based courses, more diverse courses such as arts, language should be offered.;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교육에 관한 고찰, 영재 교육 담당 교원 전문성, 영재 교육 교원 및 전문가 양성 현황 및 양성 체제를 살펴본다. 이 후에 각 대학원 별로 어떠한 윤영 개요를 가지고 있는 지, 교육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개설 교과목 편제 현황을 통해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현황을 알아본다. 현재 국내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영재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한 개별 면담 질문지 결과로 향후 영재교육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에 개설된 23개 영재교육학과 중 독립된 학과로 구성되어 있는 17개 영재교육학과를 대상으로 국내 대학원 홈페이지에 나온 커리큘럼을 수집하였으며 각 학과 실무 담당자에게 통화 및 E-MAIL을 통해 강의 계획안 및 기타 자료 조사를 하였다. 또 서울에 위치한 대학원 3 군데에 재학 중인 9명의 영재교육 담당 교사에게 개별 설문지를 E-MAIL로 배포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이 소속되어 있는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이라는 대학원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운영 형태의 차이가 있었다. 대개 직업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대학교의 경우, 계절제와 야간제로 개설되어 있었으며, 학문적 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대개 주간제로 설치, 운영되고 있었다. 또 지역적 균형 있게 영재교육학과가 설치되어 있어 해당 지역 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거나 배우기를 희망하는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둘째, 많은 영재교육학과들이 전문가 양성, 계속 교육을 통한 영재 교원의 양성하고, 영재교육 전문가로서의 유능성을 함양하게 하는 데 교육 목적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원이 제시하고 있는 교육 목표나 목적이 명시적이지 않은 경우와 더불어 목표와 목적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다. 학문적 수월성이나 연구 기능을 추구하는 대학원은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개설된 교육과정 편제 현황을 통해 학교 간 석사학위 취득을 위한 학점에 큰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적은 학교는 전공 이수 학점이 16학점 이 었으며 많은 학교는 27학점으로 그 차이가 9학점으로 이수해야할 과목이 최하 3가지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 차이가 학교마다 극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과내용학의 경우, 수학과 과학에 치중하여 있었다. 다섯째, 현재 서울에 위치한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영재 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영재교육학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실태 분석과 마찬가지로 비체계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며, 실제로 영재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영재 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을 키우는 데 대학원 과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담당 교원 및 전문가의 육성과 전문성 제고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통한 영재교원자격증을 마련하거나 전문영재교원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재교육학과의 석사학위의 등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석사 취득을 위한 이수학점, 졸업학점, 논문, 교육과정 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즉, 전국 영재교육학과의 전공별 교수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수과목의 과목명, 강의목표, 강의내용, 운영방법등과 관련 있는 영재교육과 교육과정 표준안 모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교육학과의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교사 재교육이나 재훈련의 기능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연구와 교육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다양한 교과 영재교육이 대학원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자세히는 수학, 과학 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교육을 다양한 학문을 다루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대학원 영재교육학과 학생 졸업생 및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내용과 시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만족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