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지역별 초등학교의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 비교 및 분석

Title
지역별 초등학교의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 비교 및 분석
Other Titles
Comparison and Analysis on Selection System of Gifted Children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Each Cities
Authors
오진화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초등학교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여 지역 간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부분을 찾고, 각 지역의 우수한 점을 찾아 앞으로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각 지역에서 활용하고 있는 선발도구의 사용이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 각 지역의 영재 선발도구에 나타난 영재성의 요소를 비교 및 분석하여 관찰·추천 영재선발에 필요한 공통적인 영재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지역의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에 대한 그 지역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를 바람직하게 정착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경상남도 함양,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전라북도 무주교육지원청의 선발매뉴얼 및 신입생 선발요강, 연구보고서 등을 수집하였다. 각 지역의 선발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발도구 개발주체, 선발단계, 선발주체, 선발도구, 체크리스트의 종류 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또한 각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사용, 학부모용, 학생용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영재성의 구성 요소를 지적능력, 특수학업적성, 창의성, 리더십, 동기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위의 비교 및 분석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 질문지를 통해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남도 함양,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지역 대학교에 위탁하여 개발한 선발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연구 단계부터 현장의 일반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선발단계를 살펴보면 각 지역은 주로 1단계에서 담임교사 및 학부모, 학생 본인, 동료학생에 의한 관찰 및 추천이 이루어졌는데, 부산광역시와 전라북도 무주교육지원청은 1단계에서만 담임교사에 의해 관찰·추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달리 경상남도 함양교육지원청은 1단계의 담임교사에 의한 관찰·추천과 영재캠프를 통한 수업 관찰이 이루어졌고, 서울특별시교육청은 1단계 담임교사 관찰, 2단계 학교 차원의 수업을 통한 관찰, 3단계 창의적 문제해결 수행 관찰 등 3번의 관찰을 통해 선발이 이루어졌다. 관찰·추천이라는 선발목적에 각 단계가 얼마나 부합한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관찰에 초점을 두어 선발하는 것인지, 교사의 추천에 초점을 두고 선발하는 것인지에 대한 목표가 선발단계 안에 나타나야 할 것이다. 선발도구를 살펴보면, 일부 지역은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성 부족으로 인해 영재성 검사의 결과 비중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재성 검사의 결과를 선발에 일부 활용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영재성 검사에 의존하는 것은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의 본래 취지에 위배될 수 있기 때문에 영재 캠프 및 창의적 문제 해결 수행 관찰과 같은 대안적인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도되어야 한다. 둘째, 모든 지역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도구는 체크리스트이며 선발결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지나치게 체크리스트 결과에 의존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분리된 척도의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더라도 전체 총점으로만 선발을 할 경우 각 영재성 영역에서 뛰어난 학생들이 선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선발하고자 하는 영재성의 요소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용 체크리스트는 아직 지적능력 요소에 대한 문항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은 동기 요소에 대한 문항이 매우 적거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동기 요소는 지적능력, 창의성과 함께 중요한 영재성의 구성 요소이지만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간과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창의성 요소 역시 창의적 사고도 중요하지만 창의적 인성에 대한 내용이 적어 분야에 대한 열정, 흥미, 과제집착력, 창의적 인성 등을 포함한 정의적 요소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관찰·추천 영재선발제도의 취지와 목적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지만, 교사와 학부모의 영재성에 대한 이해 부족, 업무 과다, 추천에 대한 부담, 수업 진행의 어려움 등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취지와 달리 관찰·추천의 객관성 및 타당성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인해 캠프나 수업 관찰을 통한 추천보다 영재성 검사에 의존하는 것을 지적하였고, 지역별 차이나 초등학교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것도 문제점으로 제기하였다. 현재 이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는 홍보나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국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이해를 높이는 것은 상당이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영재교육과 선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산발적인 연수보다 신규 임용 교사 연수,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와 같이 전 대상이 함께 참여하는 연수 과정에 영재교육과 선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Each city implements a new system of recommendation and observation for gifted children. The new system is a way to recommend students who have been identified as gifted or talented based on a long-term observation of teachers and is run differently from one city to another, reflecting features of each c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ts that could be applied in common and great things of each city’s system after a great deal of analysis and comparisons on the selection system derived from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in order for the new selection system of gifted children to be properly implemented. Furtherm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ost common elements of giftedness which are necessary for its selection. Therefore, the selection methods currently used in each city for gifted children were compared to one another. Teachers in each city were surveyed and asked what they think about the selection system of gifted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their recognition of the system which is conducted by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a right policy that could establish the selection system. Therefore, number of reports and outline for the system were collected from cities conducting a selection system for gifted children such as HamYang in Gyeongsangnamdo, Pusan, Seoul, and Muju in Jeollabukdo. After that, elements of gifted children, selection method and teachers’ perceptions were analyzed in depth. Each city has its own selection method so for the comparison purpose, a development subject of selection method, a subject participated in it, its process, various methods of it and types of checklist were evaluated. Components of giftedness which were included in checklist for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specific academic aptitude, creativity, leadership and motivation. Based on the outcome derived from each section mentioned above, a research questionnaire was give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ach city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election system resulted from observation and recognition for gifted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of selection methods show that Muju was using GED recommendation system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s a selection method while Hamyang, Pusan and Seoul were using other systems developed by universities in each city on a consignment basis. On the first stage in all cities, there were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from class teachers, parents, the student him or herself and classmates. Pusan and Muju were conducting the existing examination of giftedness and observational recommendation from class teacher on stage one was made. As well as the observational recommendation on stage one, in Hamyang, on the other hand, additional observation was made through a camp for gifted children. In Seoul there was third stage which was ability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observations from each stage affect the final nomination.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all cities for the nomination and with the exception of Seoul, the student him or herself also participated. The only city where the fellow students recommend a candidate was Seoul. Teachers were mainly influenced the result of the nomination whereas recommendation from others were found to have only minor effect on the result and therefore, used as a reference data.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was a checklist which had substantial impact on the result. In Muju and Seoul were carrying out an in-depth interview. While selection system of gifted children was conducting, new selection systems was taking place for example, Hamyang nominated students after a long observation in a camp for gifted children and Seoul focused on the ability of students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during the classroom observation. In the cases of Pusan and Muju, with the method, related to observational recommendation, an examination for giftedness was conducted and this type of examination still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entire nomination. All cities were using number of checklists but checklist for teachers and parents mostly consisted of criteria to assess giftedness whereas checklist for students included things as leadership, creativity, and motivation characteristics. Second, elements of giftedness which was included in checklist were divided into intellect, specific academic aptitude,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dership. The checklist for teachers in all cities included three elements which were intellect, creativity and leadership showing us that thos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nomination of gifted children. Most checklists for teachers still had questions about intellect most. Checklists for teachers used in Hamyang and Seoul did not include or barely had questions about motive part. Checklist for Students was mainly filled up with elements of creativity, leadership and motive. Furthermore, in terms of creativity, it was more focused on personality than thinking in checklist for students. The same as checklist for teachers, the one for parents includes all of five elements. Third, current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selection system found the purpose of selection system for gifted children right however, they felt difficulties due to overwork, lack of understanding of gifted children, meeting their needs and the pressure of recommendation. Unlike its purpose, some questioned its validity and objectivity and criticized that the selection system depended more on examination for giftedness than recommendation based on long-term observation in a camp or in a class. Moreover,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or differences in cities were not considered was also criticized. Some suggested that the system should include elements such as creative personality and motive more than things related to intell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