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奉愛-
dc.creator金奉愛-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how and to what extent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given in middle schools can influence high school studehts on their ability to carry out their household-work. In an effort to do this an investigation was made on their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ir household-work ability. Six hundred girl students chosen optionally from sir liberal high schools, three co-eds and three girl's high, were the objects of this investigation. The number of the final answer sheets used in the analyses of data was 539 out of them.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Electronic Computer Center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s,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ount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investiga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purposes and character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ost students regarded it as family life education, and only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y traditionally regarded it as female education. 2. Household-work ability in the fields of clothing, meals and housing, students showed the highest household-work ability in the sphere of housing sanitation in the field of housing, and showed high household-work ability in the following order, the sphere of management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sphere of preparing table the sphere of management in the field of meals, the sphere of housing management and instrument management in the fields of housing, the sphere of working and wearing and the sphere of composition. 3. The household work ability based on the environment factors. It was found that mother's school careers had a great influence on all spheres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mother's occupation on the sphere of wearing in the fields of clothing, the standard of living on every sphere in the field and the sphere, of cooking in the field of meals, the sphere of cooking in the fields of meals,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house maid on all sphere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he sphere of preparing table in the field of meals and the sphere of housing sanitation in the field of housing, and the mode of housing on all sphere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he sphere of cooking in the field of meals and the sphere of housing sanitation in the field of housing. 4. Household work ability according to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family life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dressing ability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he preference degree in the field of clothing life could influence the compsition ability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preference degree in the field of housing had an effect on the instrument handling ability in the field of housing. And the whole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 had an effect on every sphere in the field of clothing, but the achievements of home economics had little influence on household-work ability. Finally we can se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s have a great influence on high school girls clothing life ability. Therefore it is demanded that th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so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may be applied to their home life in the spheres such as eating, housing, as well as clothing.;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사 능력을 조사하여 중학교 가정과 교육이 여고생의 가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서울 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으로 6개교 (남여공학 3개교, 여자고교 3개교)에서 임의로 선정된 600명이다. 그 중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539부였다. 자료는 전산 처리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환경 변인에 따른 가사 능력, 가정과 교육에 따른 가사 능력은 요인별로 변량 분석 또는 t-test 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 가정과 교육의 목적, 성격을 「가정생활 교육」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가정과 교육의 내용에서만은 「여성교육」이라는 전통적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의, 식, 주 생활별 가사 능력 「주생활」의 '주거 위생'이 전체 가사 능력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이 「의생활」의 '관리'영역, '상차림' 「식생활」의 '관리'영역, 「의생활」의 ‘착용’영역, 그리고 '구성'영역의 순으로 가사 능력이 나타났다. 3. 환경 변인에 따른 가사 능력 어머니의 학력은 「의생활」의 전 영역,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의생활」의 '착용'영역, 「식생활」의 '조리'영역, 가정의 생활 수준은 「의생활」의 전 영역, 「식생활」의 '조리'영역, 그리고 가사 조력자 유무는 「의생활」 전 영역, 「식생활」의 '상차림 '영역, 「주생활」의 '주거위생 '영역, 주택양식은 「의생활」의 전 영역「식생활」의 '조리 '영역, 「주생활」의 '주거위생 '영역 등 가사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4. 가정과 교육에 따른 가사능력 가정과교육을 통해 가정생활에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은 「의생활」의 착용 능력, 「의생활」 영역의 선호도는 「의생활」의 구성 능력, 「주생활」 영역의 선호도는 「주활」의 '기기관리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중학교 성적은 「의생활」 전 영역에 영향을 미쳤으나 중학교 가정 성적은 가사 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중학교 가정과 교육은 여고생의 「의생활」 능력에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에서는 의생활 뿐만 아니라 식생활, 주생활 분야가 실제 가정생활에서 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천교육의 강화가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중학교 가정과 교과 과정 분석 = 4 B. 가사 노동의 의의 = 15 C. 가사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 D. 선행 연구 = 24 Ⅲ. 문제의 서술 = 31 A. 연구 문제 = 31 B. 연구의 제한점 = 32 C. 용어의 정의 = 33 Ⅳ. 연구방법 및 절차 = 35 A. 조사 대상 = 35 B. 조사 방법 및 기간 = 35 C. 조사 도구 = 35 D. 자료 처리 방법 = 36 Ⅴ. 결과 및 논의 = 37 A. 조사 대상자의 환경 변인 = 37 B.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 = 39 C. 의, 식, 주생활별 가사 능력 = 49 D. 환경 변인에 따른 가사 능력 = 52 E. 가정과 교육에 따른 가사 능력 = 61 Ⅵ. 요약 및 결론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82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76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가정과교육-
dc.subject여고생-
dc.subject가사능력-
dc.title中學校 家政科 敎育이 女高生의 家事能力에 미치는 影響-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s on high school girls in their household-work ability-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