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8 Download: 0

학교지식의 성격에 대한 주지주의와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의 비교

Title
학교지식의 성격에 대한 주지주의와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의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knowledge between the liberal education and the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학교지식주지주의교육과정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봉호
Abstract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 즉 학교지식은 그것을 보는 두 관점, 즉 주지주의의 관점과 교육과정 사회학의 관점에 따라 그 성격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관점에서의 학교지식의 성격을 알아보고, 학교지식의 성격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관점의 주장은 어떠한 배경에 근거한 것인가, 또한 두 관점에서의 학교지식의 성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어떤 것인가 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교육과정 구성시에 균형잡힌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주지주의 관점에서는 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을 '지식의 형식' 으로 보고, 이 지식의 형식이란 인류가 공동으로 노력하여 이룩한 '공적인 언어에 담겨 있는 공적 전통'을 말한다. 그러므로 교육이란 개인을 지식의 형식에 입문시킴으로써 개인이 보다 공적이고 분화된 의식을 통해 세계를 보는 '안목'과 '지적 이해력'을 키울 수 있도록 이끄는 일이다. 이 관점에서의 교육내용은 '선험적 논의'에 의하여 내재적으로 정당화된다. 2. 교육과정 사회학의 관점에서는,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교육내용이란 각 사회 집단이 발휘하는 영향력과 사회적 상황에 의하여 결정되는 사회적·역사적·정치적 산물이다. 그리하여 교육내용은 지배 집단의 이익이 강하게 반영되며, 지배 집단에게 유리하도록 사회 통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교육내용관은 교육과정 사회학이 그 연구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식사회학에 근거한 것이다. 3. 두 관점에서의 주장을 논의해 본 결과, 일부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은 현대적 주지주의 교육 이론의 대표자인 허스트와 피터즈의 지식의 형식을 지배 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 이데올로기라고 비판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들이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허스트와 피터즈의 이론을 잘못 이해한 데에 기인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구성시에 지식의 형식을 학교 교육에서 사회 계급과 문화를 초월한 최소 필수교육과정으로 가르치는 것은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불러 일으키지 않는다. 4. 교육과정 구성의 문제에서 교육과정 사회학의 교육관은 주지주의 교육관에 대하여 대안적인 의미로서보다는 보완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5. 허스트와 피터즈는 그들의 '성년식 모형'을 전통적인 주지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의 대안적인 모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그 모형 또한 방법론상의 문제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모순점을 안고 있다. 6. 교육과정 사회학의 교육내용관은 그 자체의 모순점으로 일련의 수정이 불가피하다.;The school Knowledge thought in school is characterized differently with its views - the view of the Liberal Education and of the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knowledge of the two views and to discus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knowledge in those two view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view of the Liberal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dealt with in school is considered as "forms of knowledge", which represents "Public tradition enshrined in Public language" established by collaboration of humanity. Hence, by initiating the man into the forms of knowledge, the education enhances his 'cognitive perspective' and 'intelligent understanding' of the world with more specialized public consciousness. In this view,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intrinsically justified by 'transcendental argument'. 2. From the view of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in school are the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products of a social class and the social circumstances. Accordingly, the educational contents strong1y reflects the interests of the governing class, and contribute in reproducing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society to be advantage to the governing class. This view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s based up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which is the basis of studying the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3. Some Sociologists of the School Curriculum claim that "the forms of knowledge" of P.H. Hirst and R.S. Peters theory with Marxist's view.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clusion discussing this study, it never brings out the problem of ideology to teach "the forms of knowledge" as the minimum compulsory curriculum above the social class and culture in school education. 4.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view of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has the compensatory meaning rather than the alternative meaning about the Liberal Educational content's view. 5. But 'the education as the initiation' of P.H. Hirst and R.S Peters could not be considered to perfectly over-come the demerits of the Traditional Liberal Education methodologically. 6. In the Educational content's view of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a series of correction is inevitable because of the contradiction of it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