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실업대책을 중심으로 본 영국사회복지제도 발달에 관한 연구

Title
실업대책을 중심으로 본 영국사회복지제도 발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ritish Social Welfare System Focusing on the Unemployment Provision
Authors
안혜영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실업대책영국사회복지제도실업문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경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dentifing the nature of the British Social welfare, focusing on the unemployment problem and the counter plan for i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its system. As for the United Kingdom, having headed the industrialization at one time,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system has socio-economic political concept which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incremental mitigation of poverty & inequality. The inequality & unemployment problem of the British society has been a serious issue as the unemployment become a chronic problem of a general public which result inevitably from the high degree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social welfare policy has been developed as an buffing mechanism for the structural problem. Thus the Socio-Structural view which encompasses the logic of its intrinsic industrialism, the socio-cultural structure & value system of the society is required to apprehend the development of the British social welfare from the point of the unemployment problem. This study adopt a paradigm of T.H. Marshall's democratic-welfare-capitalism for such structural analysis. It refers to the elements that a country with a capitalist market economy develops democratic political civil institution and practices out of which energe a mixed economy including both private and public capitalism similarly organized and using the same calculus, together with that complex of public social service insurances and assistances which is the eponymous element in what all the world knows as the welfare state. This study is to apply this paradigm to the British Society dividing it into three periodical stag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formative period from 1880 to 1910, when the unemployment problem was understood as a governmental responsibilities. Second, the period of the two World Wars when welfare policy was expanded as the seriousness of the unemployment problem intensified. Third, the period between 1945 to present, during which the balance between full employment policy and economic growth was sought as the economy recovered and the unemployment rate dropped. What are the nature of the unemployment problem and the pattern of social welfare policy in terms of this periodical classification; It was not until 1880, when capitalism entered the monopolistic era following of its early industrialization that unemployment emerge as a social problem. It was found that unemployment problem was not the result of any individual character disorder but the result of the socio-econo-political factors, and an awareness arose that to solve the unemployment problem government intervention was necessary. After than,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unemployment insurance and established labour exchange as ways to relieve the unemployment problem, but as the unemployment rate reached over 10% during the two World Wars, and over 20% in the early 1930's, unemployment itself became an important social problem, not to mention the economic loss resulting from unemployment. Especially, during the time of War when the ne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unity is great, the government faced with the chronic problem of mass unemployment, was forced to seek remedies in any way it could. Under these circumstances, employment policies went through several minor and major changes. However, after the World War Ⅱ, the unemployment rate dropped noticeably along with the economic boom and the goal of social welfare was changed from the achievement of national minimum standards of living to the achievement of optimal standards of living. So, i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ritical social issues to equilibriate between full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It is certain that the British social welfare policy, which has gone through these changes, has been an important instrument in mitigating the socio-economic difficulties and achieving social prosperity.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y and social welfare policy,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not be subordinated any economic policy simply for the reason of economic stagnation. To achieve that goal,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lternative social strategies to maintain the equilibrium between the economic and social goals, i.e. a structural alternative adequate to solve the dilemma of democratic-welfare-capitalism.;본 연구는 실업문제와 그 대책을 중심으로 영국의 사회복지제도의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실업에 관한 영국 사회복지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기본목적을 둔다. 공업화를 선두에서 경험해 온 영국에 있어서 사회복지제도의 발달은 빈곤과 불평등의 점진적 완화의 과정속에서 파악될 수 있는 정치·경제 및 사회적 산물이다. 영국사회내에서의 빈곤과 불평등은 고도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실업이 만성화 대중화되면서 심각한 형태로 나타났고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흡수해 나가기 위한 기제로서 사회복지정책이 전개된다. 그러므로 실업문제에 촛점을 맞추어 영국의 사회복지제도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고유한 공업주의 논리와 정치문화적 구조 및 사회의 가치이념을 포괄하는 사회구조적 시각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조적 분석을 위하여 T.H.Marshall의 democratic-welfare-capitalism의 파라다임을 적용하고자 한다. Marshall이 의미하는 democratic-welfare-capitalism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가진 나라가 민주정치나 시민제도를 발전시키게 되면,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사기업과 공기업이 같은 체계내에서 운영되면서 각기 이윤을 추구하는 혼합경제의 형태를 띠게 되고, 또한 모두가 복지국가라고 알고 있는 공공 사회봉사·연금·부조등의 복합체를 함께 적용하는 것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다임을 3단계의 시대적 구분을 통해 영국사회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우선 실업문제를 국가적 책임으로 인정한 1880년대∼1910년대의 복지형성기, 둘째 실업문제가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복지정책을 확대해 간 양차대전기간, 셋째, 전후 경기회복과 실업율저하에 따라 완전고용정책과 경제성장의 균형점을 찾고자 한 1945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으로 나누어 역사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기적 분류에 따른 실업문제의 성격과 사회복지정책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국에서 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는것은 1880년대이후 자본주의가 초기단계를 벗어나 독점화 단계로 들어서면서 부터이며, 그후 실업문제는 개인적 성격결함의 결과가 아니라 정치·사회·경제적요인의 산물이고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개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된다. 이에따라 실업구제책으로 직업소개소와 실업보험이 국가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20세기이후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실업률이 10%를 상회하고, 1930년대 초에는 20%를 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손실은 물론 실업자체가 중대한 사회문제로 인식된다. 특히 사회적 통합과 단결이 요구되는 전시상황에서 만성적인 대규모 실업사태에 직면한 정부는 어떤형태로든지 대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었으며, 실제로 여러 실업정책의 수정 및 개혁이 단행된다. 그러나 2차대전 이후부터 경제호황과 더불어 실업률이 급격히 저하되어 사회복지제도의 목표도 <국민적 최저생활조건>에서 <최적생활조건>으로 변모하게 되며, 사회의 중요한 문제는 완전고용과 경제성장의 균형점을 찾아나가는 것으로 변화되어 진다. 이렇게 변화과정을 겪어온 영국에서 실업과 관련된 사회복지정책이 경제적 번영과 사회적 곤경을 완화시켜 나간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앞으로도 경제정책과 사회정책간의 관계속에서 경기침체를 이유로 사회복지정책이 경제정책에 종속되어 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가 갖는 정치·경제 및 사회적 목표간에 균형을 유지시키는 대안적 사회전략 즉 democratic-welfare-capitalism의 갈등이 조화될 수 있는 적합한 구조적 대안의 개발이 요구 되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