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순경-
dc.contributor.author鄭美賢-
dc.creator鄭美賢-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56-
dc.description.abstractK. 바르트의 신학적 시간 개념을 다루기 위한 본 논문은 특히 그가 말하는 하나님의 계시의 시간성과 역사성에 초점을 맞추려 하였다. "하나님이 스스로를 계시하셨다."는 말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한 시간을 가지시며 또한 우리에게 시간을 허락하셨다는 것이다. 그것은 곧 우리의 삶을 허락하셨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본 논문의 서론인 제1장에서는 K. 바르트의 신학적 시간개념이 나타나 있는 교회교의학의 연구범위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제Ⅱ장에서는 K. 바르트 교회 교의학의 시금석인 "하나님의 말씀론"으로 부터 하나님의 계시와 계시의 시간성과 역사성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 사건 안에서 하나님의 계시는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시간이다. 그 시간은 예수 그리스도 사건 그 자체 안에서 성취된 시간으로서 우리의 상실된 시간의 의미를 밝혀준다. 그리고 구약성서의 대망의 시간과 신약성서의 회상의 시간도 이 사건에 대한 증거의 시간으로서 계시의 시간에 의하여 의미를 갖는다. 하나님의 영원성은 시간의 계기성을 포함하면서 동시성을 소유하며 그러한 그의 동시성은 인간의 모든 시간과 역사를 결정하는 원천이다. 제Ⅲ장에서는 K. 바르트의 시간 이해의 핵을 이루고 있는 예수그리스도 사건에 비추어 예수의 시간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예수그리스도의 시간은 '참 하나님 참 인간'의 시간으로서 시간의 한계를 폐기하신 시간과 역사의 主의 시간이다. 우리의 시간은 제한속에 있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시간성에 정초하여 하나님의 영원과 만난다. 제Ⅳ장에서는 하나님의 계시에 나타난 시간성과 역사성이 '지금 여기'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세계와 세계 역사와의 관련성에서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20C 신학에서 독특한역사 이해방법을 제시한 R. 불트만과 O. 쿨만의 역사 이해 방법을 설명하였고, K. 바르트의 관점에 입각해서 어디에 역사 이해의 문제점이 있는가를 해명하였다. R. 불트만의 "點的인 종말론적 실존 이해"의 신학에서는 구속사적 계기성이 없고 따라서 구약과 신약과의 연속성이 없게 되며, 예수 그리스도와 세계의 역사성과의 연결도 없다. 또한 단순히 線的 의미로 파악된 O. 쿨만의 구속사 이해에서는 구속사의 사실들이 한 줄기를 이루는 연대기적 연속성만 있고 시간의 3차원의 동시성 개념은 약하다. 이들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K. 바르트는 R. 불트만에게서 결여된 연속성과 O. 쿨만에게 결여된 불연속성을 포괄하는 구속사의 의미를 밝혀 주었다. K. 바르트의 설명에 의하면 부활한 그리스도의 빛으로 부터 조명받은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는 세계사의 의미와 방향을 새롭게 구성한다는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영원성이 우리에게 드러난 것이며, 바로 이러한 사건의 시간성을 통해 인간의 시간은 재규정된 것이다. 이 세계의 주체인 인간에게 부여된 은총의 시간의 의미는 우리의 시간과 역사를 구원사적으로 규정하며 우리로 하여금 역사 안에서 행위하도록 촉구한다. 제Ⅴ장에서는 전체의 내용을 총괄하고 평가와 아울러 더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Die vorliegende Untersuchung handelt von der Zeitlichkeit und der Geschichtlichkeit der Offenbarung Gottes bei Karl Barth. "Gott offenbart sich" bedeuter fu¨r Barth, dass Gott Zeit Fu¨r uns hat und uns die Zeit erlaubt, d.h. uns das Leben erlaubt. Diese Arbeit bescha¨ftigt sich mit der "kirchlichen Dog-matic", in der K. Barth den theologischen Zeitbegriff konkret behandelt hat. Nach dem ersten einfu¨hrenden kapitel behandelt das zweite Kapitel die Beziehung der Zeitlichkeit und der Ges-chichtlichkeit der Offenbarung Gottes in Bezug auf 'die Lehre vom Gottes Wort', die das Zentrum von Barths "kirchlicher Dogma-tik" ist, Gottes Offenbarung, die das gegenwa¨rtige Geschehen Jesu Christi ist, bedeuted die Zeit Gottes fu¨r uns. Die Zeit ist die erfu¨llte Zeit im Geschehen Christi. Die Offenbarungs-zeit als die erfu¨llte zeit enthu¨llt den Sinn unserer verloren-en Zeit. Die alttestamentliche Zeit der Erwartung und die neu-testamentliche Zeit der Erinnerung bekommen ihre Bedeutung als die das Geschehen Gottes bezeugende Zeit durch die Offenbarungs-zeit, die Gottes Ewigkeit umfasst das Nacheinander der Zeit, hat die Gleichzeitigkeit der Zeit und ist die Quelle, die die ganze manschliche Zeit und Geschichte bestimmt. Das dritte Kapitel handelt von der Zeitlichkeit Jesu Chri-sti die das Zentrum des Zeitbegriffs bie K. Barth ist. Die Zeit Jesu Christi ist die Zeit von 'Vere Deus vere home', die Zeit des Herrn der Zeit und der Geschichte, der die Grenze der Zeit aufgehoben hat. Unsere Zeit ist die begrenzte Zeit. Aber sie begegnet der Ewigkeit Gottes in der Zeitlichkeit Jesu Christi. Das vierte Kapitel zeigt, was die Zeitlichkeit und die Geschichtlichkeit der Offenbarung Gottes fu¨r uns 'heute und hier' in Bezug auf die Welt und die weltliche Geschichte be-deuten. Wir vergleichen dabei das Geschichtsversta¨ndnis von K. Barth mit dem von R. Bultmann und von O. Cullmann, die Vertre-ter der wesentlichen Geschichtsversta¨ndnismethoden der Theo-logie des 20. Jahrhunderts sind. Dazu mu¨ssen wir auch klar machen, worin das Problem des Geschichtsversta¨ndnisses liegt. Im punktuellen eschatologischen Existenzversta¨ndnis bei R. Bultmann fehlt das heilsgeschichtliche Nacheinander, daher auch die Kontinuita¨t zwischen dem Alten Testament und dem Neuen Testament, wie auch die zwischen Jesus Christus und der wel-tlichen Geschichtlichkeit. Das lineare Versta¨ndnis des verso¨h-nungsgeschehens bei O. Cullmann zeigt nur die chronologische Kontinuita¨t und u¨berseht die Gleichzeitigkeit der dreifachen Ra¨ume der Zeit. K. Barth sieht diese Probleme deutlich, und er erga¨nzt jene Kontinuita¨t, die bei R. Bultmann fehlt, und u¨berwindet auch die Diskontinuita¨t, die O. Cullmann u¨bersieht. Die Heilsgeschichte Gottes, die sich im Hinblick auf den auf-erstandenen Christus offenbart, bestimmt neu die Bedeutung und die Orientierung der weltlichen Geschichte. Die Bedeutung der Zeit der Gnade, die dem Menschen als dem Subjekt dieser Welt gegeben ist, bestimmt unsere Zeit und Geschichte als das Heilsgeschichtliche, und fordert von uns, dass wir als Hande-lnde in der Geschichte sind. Das letzte Kapitel fasst das Ergebnis, zu dem die vorlie-gende Arbeit gelangt ist, noch einmal zusam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2 Ⅱ. 계시의 시간성과 역사성 = 5 A. 예수 그리스도의 성취된 시간 : 대망과 회상 = 5 B. 하나님의 영원과 시간성 = 21 Ⅲ. 인간의 시간성과 역사성 = 32 A. 예수의 영원한 시간 = 32 B. 우리의 시간성의 문제 = 37 Ⅳ. 하나님 나라와 세계 = 59 A. R. 불트만의 역사와 종말론 이해 = 59 B. O. 쿨만의 구속사 이해 = 65 C. K. 바르트, R. 불트만, O. 쿨만의 차이점과 문제 = 73 Ⅴ. 결론 = 87 A. 총괄 = 87 B. 평가와 과제 = 89 참고문헌 = 93 Zusammenfassung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1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바르트-
dc.subject하나님-
dc.subject계시-
dc.subject.ddc200-
dc.titleK. 바르트에 있어서 하나님의 계시의 시간성과 역사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R. 불트만과 O. 클만의 역사이해와 관련하여-
dc.title.translated(Die) Zeitlichkeit und die Geschichtlichkeit der Offenbarung Gottes bei Karl Barth : Im Vergleich mit dem Geschichtsversta¨ndnis von R. Bultmann und von O. Cullmann-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